격전의 아제로스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월드 오브 워크래프트]]{{게임 정보
[[분류:월드 오브 워크래프트]]{{게임 정보
|게임이름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격전의 아제로스
| 제목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 '''''격전의 아제로스'''''
|원어이름 = World of Warcraft:Battle for Azeroth
| 원제목      = World of Warcraft:Battle for Azeroth
|배경색  =
| 이미지      = [[파일:Wow-bfa.jpg|200픽셀|가운데]]
|글자색  =
| 개발사      =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그림    = [[파일:Wow-bfa.jpg|200픽셀|가운데]]
| 배급사     =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블리자드 코리아
|그림설명 =  
| 시리즈 = [[워크래프트 시리즈]]
|배급사   =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블리자드 코리아
| 플랫폼      = [[윈도우즈]], [[OS X]]
|개발사  =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 출시        = {{국기그림|미국}} {{국기그림|캐나다}} [[2004년]] [[11월 23일]]<br />{{국기그림|대한민국}} [[2005년]] [[1월 28일]]
|제작    =
| 장르        = [[MMORPG]]
|작가    =
| 모드       = 멀티플레이
|미술    =
| 이용가 등급 = [[오락 소프트웨어 등급 위원회|ESRB]]: T (Teen)<br />[[범유럽 게임 정보|PEGI]]: 12+ <br /> [[게임콘텐츠등급분류위원회]]: 15세 이용가
|작곡가  =
|미디어 = [[콤팩트 디스크|CD]], [[DVD]], 디지털 다운로드
|장르    = [[MMORPG]]
|입력장치 = [[키보드]], [[마우스]]
|출시일  = {{깃발|미국}} {{깃발|캐나다}} [[2004년]] [[11월 23일]]<br />{{깃발|대한민국}} [[2005년]] [[1월 28일]]
|종료일  =
|플랫폼  = [[윈도우즈]], [[OS X]]
|모드     = 멀티플레이
|언어    =  
|엔진    =
|시리즈  = [[워크래프트 시리즈]]
|이전작  =  
|후속작  =
|웹사이트 =
|비고    =  
}}
}}
===개요===
===개요===
https://youtu.be/6WzucACW0_U (격전의 아제로스 로그인 테마)
https://youtu.be/6WzucACW0_U (격전의 아제로스 로그인 테마)
43번째 줄: 33번째 줄:
호드의 대족장 [[실바나스 윈드러너]], 대군주 [[바로크 사울팽]], 길니아스 국왕 [[겐 그레이메인]], 얼라이언스의 국왕 [[안두인 린]]이 주요 인물로 등장하며, [[티리스팔 숲]]의 [[로데론]] 왕성, [[언더시티]]에서 벌어진 전투인 [[로데론 공성전]]을 배경으로 하고있다. 단일 규모로서는 최대의 스케일을 자랑하는 오프닝 시네마틱으로, 비슷한 대규모 전투를 다루었던 [[군단(월드 오브 워크래프트)|군단]]의 오프닝 시네마틱이 [[비행포격선]]으로 시야를 좁혀 주는 인상과는 달리 실제 규모가 그리 크지 않았던 것에 비해 [[워크래프트 3]] 시네마틱 이후 처음으로 얼라이언스 VS 호드의 대규모 전투를 영상화시켰다. 또한, 이전까지의 닥돌 전투가 아닌 병종 구분과 편제가 갖추어지고 갖가지 병기가 등장하는 조직적인 공성전이라는 것도 주목할 부분. 그러나 대형 전투가 펼쳐지는 와중에도 네임드급 캐릭터들 뿐만 아니라, 나이트 엘프/드워프/언데드 사격 사냥꾼, 트롤 방어 전사, 트롤 정기 주술사, 드레나이 징벌 성기사, 나이트 엘프 비전/화염 마법사 등의 플레이어블 캐릭터들이 강렬한 신스틸러로 등장한 것도 흥미롭다. 거의 모든 플레이어블 종족인 오크, 타우렌, 트롤, 언데드, 인간, 늑대인간, 나이트 엘프, 드워프, 드레나이가 다 나왔다. 블러드 엘프, 고블린과 노움은 시네마틱엔 등장하지 않았으나, 이중 노움 병력과 블러드 엘프 수장 로르테마르 테론은 로데론 공성전 시나리오에 등장한다.
호드의 대족장 [[실바나스 윈드러너]], 대군주 [[바로크 사울팽]], 길니아스 국왕 [[겐 그레이메인]], 얼라이언스의 국왕 [[안두인 린]]이 주요 인물로 등장하며, [[티리스팔 숲]]의 [[로데론]] 왕성, [[언더시티]]에서 벌어진 전투인 [[로데론 공성전]]을 배경으로 하고있다. 단일 규모로서는 최대의 스케일을 자랑하는 오프닝 시네마틱으로, 비슷한 대규모 전투를 다루었던 [[군단(월드 오브 워크래프트)|군단]]의 오프닝 시네마틱이 [[비행포격선]]으로 시야를 좁혀 주는 인상과는 달리 실제 규모가 그리 크지 않았던 것에 비해 [[워크래프트 3]] 시네마틱 이후 처음으로 얼라이언스 VS 호드의 대규모 전투를 영상화시켰다. 또한, 이전까지의 닥돌 전투가 아닌 병종 구분과 편제가 갖추어지고 갖가지 병기가 등장하는 조직적인 공성전이라는 것도 주목할 부분. 그러나 대형 전투가 펼쳐지는 와중에도 네임드급 캐릭터들 뿐만 아니라, 나이트 엘프/드워프/언데드 사격 사냥꾼, 트롤 방어 전사, 트롤 정기 주술사, 드레나이 징벌 성기사, 나이트 엘프 비전/화염 마법사 등의 플레이어블 캐릭터들이 강렬한 신스틸러로 등장한 것도 흥미롭다. 거의 모든 플레이어블 종족인 오크, 타우렌, 트롤, 언데드, 인간, 늑대인간, 나이트 엘프, 드워프, 드레나이가 다 나왔다. 블러드 엘프, 고블린과 노움은 시네마틱엔 등장하지 않았으나, 이중 노움 병력과 블러드 엘프 수장 로르테마르 테론은 로데론 공성전 시나리오에 등장한다.


트레일러의 퀄리티는 호평을 받았다([https://youtu.be/f_PH8dkcm1Q|2017 블리즈컨 공개 당시 영상]). 수많은 팬이 블리자드 최고의 시네마틱 영상이라고 평가한 [[리치 왕의 분노]] 트레일러 영상을 뛰어넘었다는 평가가 많이 나왔다. [[판다리아의 안개]] 이후 표면적으로 드러나지 않았던 호드와 얼라이언스의 갈등이 다시금 촉발되는 상황에서, 오랜만에 각 진영에 소속된 플레이어들의 심금을 제대로 울렸다는 의견이다. 또한, 실바나스와 안두인이 각각 {{색|red|'''호드를 위하여!'''(For the Horde!)}} 와 {{색|blue|'''얼라이언스를 위하여!'''(For the Alliance!)}} 를 외치는데, 확장팩의 원제가 '''아제로스를 위한 전투(Battle for Azeroth)'''다. 그래서 얼핏 얼라이언스와 호드가 피터지게 싸우는 것처럼 보이면서도, 이를 계기로 아제로스를 위협하는 [[느조스|진정한 적]]을 상대로 다시 뭉치게 될 가능성을 점치는 의견이 있다. 아이러니한 것은 두 진영의 분쟁 동안 정작 아제로스 세계영혼은 고통 속에 죽어가고 있고 아제라이트 채굴 등이 이를 가속화시키고만 있다는 것이다. 그뿐 아니라 텔드랏실, 테라모어 파괴에 대한 원한은 풀리지 않으리라고 보이며, 이는 호드의 줄다자르 진입 과정인 스톰윈드 감옥 탈출 시나리오에 등장하는 제이나의 버프 툴팁을 통해서도 드러난다. 제작진으로부터 '''제이나의 손상에 대해 깊이 다루겠다.'''는 언급이 있었으며, 무작정 힘을 합치거나 싸움을 통해서 강해졌다는 흐름보단 느조스와 관련된 문제, 고대 신 추종 세력만이 아니라 아제로스 그 자체의 불화와 연결될 수 있다.
트레일러의 퀄리티는 호평을 받았다([[https://youtu.be/f_PH8dkcm1Q|2017 블리즈컨 공개 당시 영상]]). 수많은 팬이 블리자드 최고의 시네마틱 영상이라고 평가한 [[리치 왕의 분노]] 트레일러 영상을 뛰어넘었다는 평가가 많이 나왔다. [[판다리아의 안개]] 이후 표면적으로 드러나지 않았던 호드와 얼라이언스의 갈등이 다시금 촉발되는 상황에서, 오랜만에 각 진영에 소속된 플레이어들의 심금을 제대로 울렸다는 의견이다. 또한, 실바나스와 안두인이 각각 {{색|red|'''호드를 위하여!'''(For the Horde!)}} 와 {{색|blue|'''얼라이언스를 위하여!'''(For the Alliance!)}} 를 외치는데, 확장팩의 원제가 '''아제로스를 위한 전투(Battle for Azeroth)'''다. 그래서 얼핏 얼라이언스와 호드가 피터지게 싸우는 것처럼 보이면서도, 이를 계기로 아제로스를 위협하는 [[느조스|진정한 적]]을 상대로 다시 뭉치게 될 가능성을 점치는 의견이 있다. 아이러니한 것은 두 진영의 분쟁 동안 정작 아제로스 세계영혼은 고통 속에 죽어가고 있고 아제라이트 채굴 등이 이를 가속화시키고만 있다는 것이다. 그뿐 아니라 텔드랏실, 테라모어 파괴에 대한 원한은 풀리지 않으리라고 보이며, 이는 호드의 줄다자르 진입 과정인 스톰윈드 감옥 탈출 시나리오에 등장하는 제이나의 버프 툴팁을 통해서도 드러난다. 제작진으로부터 '''제이나의 손상에 대해 깊이 다루겠다.'''는 언급이 있었으며, 무작정 힘을 합치거나 싸움을 통해서 강해졌다는 흐름보단 느조스와 관련된 문제, 고대 신 추종 세력만이 아니라 아제로스 그 자체의 불화와 연결될 수 있다.


"우린 이 세계를 나눠 가진 대가를 치렀고, 그렇게 강해지는 법을 잊었다."는 실바나스의 독백도 주목할 만하다. 개발진은 이 시네마틱의 주제가 '무엇이 우리를 강하게 하는지 기억하자.'라고 밝혔는데, [[판다리아의 안개]]에서 이미 다뤘듯 아제로스의 주민들을 강하게 만드는 것은 바로 두 진영 간의 분쟁이기 때문이다. 두 진영이 대립하지 않거나 경쟁 진영을 완전히 제거해버리면, 점점 싸우는 법을 잊어 결국 외세의 침공에 맞서지 못했을 것이다. '이 세계를 나눠가진'이라는 부분도 의미심장한데, 세계를 나눠가졌다는 것이 단순히 한 행성에 두 진영이 공존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지만 어쩌면 역시 판다리아의 안개에서 다뤄졌던 가로쉬의 사상인 "얼라이언스는 [[동부 왕국]]을, 호드는 [[칼림도어]]를 온전히 소유하고 완전히 찢어져 살자."를 의미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만약 이렇게 완전히 남남처럼 살게 된다면 서로 간의 분쟁이 없어지므로 강해지는 법을 잊었다는 뒷 문장도 어느 정도 일리가 있게 된다. 즉, "이 세계를 나눠 가진 = 두 진영이 각자의 대륙으로 완전히 나눠짐", "대가를 치렀고 = 대륙을 나눠가지기 위해 서로가 입은 피해", "강해지는 법을 잊었다 = 대륙을 나눠가진 후 분쟁이 사라져 점점 약해져간다"는 전반적인 스토리라인을 한 문장에 함축한 것이라는 해석이다.
"우린 이 세계를 나눠 가진 대가를 치렀고, 그렇게 강해지는 법을 잊었다."는 실바나스의 독백도 주목할 만하다. 개발진은 이 시네마틱의 주제가 '무엇이 우리를 강하게 하는지 기억하자.'라고 밝혔는데, [[판다리아의 안개]]에서 이미 다뤘듯 아제로스의 주민들을 강하게 만드는 것은 바로 두 진영 간의 분쟁이기 때문이다. 두 진영이 대립하지 않거나 경쟁 진영을 완전히 제거해버리면, 점점 싸우는 법을 잊어 결국 외세의 침공에 맞서지 못했을 것이다. '이 세계를 나눠가진'이라는 부분도 의미심장한데, 세계를 나눠가졌다는 것이 단순히 한 행성에 두 진영이 공존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지만 어쩌면 역시 판다리아의 안개에서 다뤄졌던 가로쉬의 사상인 "얼라이언스는 [[동부 왕국]]을, 호드는 [[칼림도어]]를 온전히 소유하고 완전히 찢어져 살자."를 의미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만약 이렇게 완전히 남남처럼 살게 된다면 서로 간의 분쟁이 없어지므로 강해지는 법을 잊었다는 뒷 문장도 어느 정도 일리가 있게 된다. 즉, "이 세계를 나눠 가진 = 두 진영이 각자의 대륙으로 완전히 나눠짐", "대가를 치렀고 = 대륙을 나눠가지기 위해 서로가 입은 피해", "강해지는 법을 잊었다 = 대륙을 나눠가진 후 분쟁이 사라져 점점 약해져간다"는 전반적인 스토리라인을 한 문장에 함축한 것이라는 해석이다.
55번째 줄: 45번째 줄:
* 기존의 전쟁 및 일반서버 구분이 없어지고 대신에 어떤 서버든 간에 특성창에서 우측 전쟁모드를 켜고 끌 수 있도록 수정되었다.
* 기존의 전쟁 및 일반서버 구분이 없어지고 대신에 어떤 서버든 간에 특성창에서 우측 전쟁모드를 켜고 끌 수 있도록 수정되었다.
* 유산방어구의 개념 도입. 8.3.7 현재는 동맹종족 및 늑대인간/고블린에 한해서만 110레벨 도달시 지급.
* 유산방어구의 개념 도입. 8.3.7 현재는 동맹종족 및 늑대인간/고블린에 한해서만 110레벨 도달시 지급.
* 동맹종족의 등장 : 이들은 캐릭터 생성시 아래 소개내역의 업적 및 세력평판 확고를 찍어야 하며<ref>어둠땅 확팩에서는 평판 확고부분이 수정될 예정</ref> 생성화면이 별도로 존재.
* 동맹종족의 등장 : 이들은 캐릭터 생성시 아래 소개내역의 업적 및 세력평판 확고를 찍어야 하며<ref>어둠땅 확팩에서는 평판 확고부분이 수정될 예정</ref> 생성화면이 별도로 존재.


75번째 줄: 66번째 줄:
===== 8.0 ~ 8.1.5 =====
===== 8.0 ~ 8.1.5 =====
얼라이언스는 쿨 티라스, 호드는 잔달라 제국과 접촉하여 각각 다른 이야기가 진행된다.
얼라이언스는 쿨 티라스, 호드는 잔달라 제국과 접촉하여 각각 다른 이야기가 진행된다.
* [[쿨 티라스]]
* [[쿨 티라스]]
:* [[티라가드 해협]](Tiraguard Sound): 쿨 티라스의 수도인 [[보랄러스]](Boralus)가 위치한 지역. 프라우드무어 가문의 영주인 제독(Lord Admiral) [[캐서린 프라우드무어]](Katherine Proudmoore)가 지배하고 있다.
:* [[티라가드 해협]](Tiraguard Sound): 쿨 티라스의 수도인 [[보랄러스]](Boralus)가 위치한 지역. 프라우드무어 가문의 영주인 제독(Lord Admiral) [[캐서린 프라우드무어]](Katherine Proudmoore)가 지배하고 있다.
:* [[드러스트바]](Drustvar): 고대 쿨 티라스에 인간들이 오기 전 원시적인 드루이디즘을 믿던 [[드러스트]](Drust)라는 종족이 살고 있었던 지역. 웨이크레스트 가문이 지배하고 있지만, 지도층은 영주 부부의 딸 루실을 제외하고 드러스트에 의해 맛이 간 상태이다. 현재 드러스트의 유령과 이들이 만든 허수아비 괴물들, 마녀들의 공격을 받고 있다.
:* [[드러스트바]](Drustvar): 고대 쿨 티라스에 인간들이 오기 전 원시적인 드루이디즘을 믿던 [[드러스트]](Drust)라는 종족이 살고 있었던 지역. 웨이크레스트 가문이 지배하고 있지만, 지도층은 영주 부부의 딸 루실을 제외하고 드러스트에 의해 맛이 간 상태이다. 현재 드러스트의 유령과 이들이 만든 허수아비 괴물들, 마녀들의 공격을 받고 있다.
:* [[스톰송 계곡]](Stormsong Valley): 조선업이 발달한 곳으로 [[진수식]]에서 첫 항해를 나가는 [[배틀십(워크래프트)|전함들]]을 비롯한 배들을 축복하는 [[파도현자]](Tidesage)들의 핵심 거점이 있는 곳. [[군주 스톰송]]을 비롯한 스톰송 가문이 지배하고 있다.
:* [[스톰송 계곡]](Stormsong Valley): 조선업이 발달한 곳으로 [[진수식]]에서 첫 항해를 나가는 [[배틀십(워크래프트)|전함들]]을 비롯한 배들을 축복하는 [[파도현자]](Tidesage)들의 핵심 거점이 있는 곳. [[군주 스톰송]]을 비롯한 스톰송 가문이 지배하고 있다.
* [[잔달라]]
* [[잔달라]]
:* [[줄다자르]](Zuldazar): 16,000년 이상 존속해 온 아제로스에서 가장 오래 된 도시이자 잔달라 제국의 수도 [[다자알로]]가 위치한 곳. [[라스타칸]] 신왕과 [[공주 탈란지]]가 지배하고 있다.
:* [[줄다자르]](Zuldazar): 16,000년 이상 존속해 온 아제로스에서 가장 오래 된 도시이자 잔달라 제국의 수도 [[다자알로]]가 위치한 곳. [[라스타칸]] 신왕과 [[공주 탈란지]]가 지배하고 있다.
86번째 줄: 79번째 줄:
===== 8.2 =====
===== 8.2 =====
* 나즈자타: 나가들의 고향이자 나가들의 수장 아즈샤라 여왕의 근거지.
* 나즈자타: 나가들의 고향이자 나가들의 수장 아즈샤라 여왕의 근거지.
* 메카곤: 노움들의 예전 왕 메카곤의 도착지점이며 메카곤의 음모가 진행되는 섬이다.
* 메카곤: 노움들의 예전 왕 메카곤의 도착지점이며 메카곤의 음모가 진행되는 섬이다.


97번째 줄: 91번째 줄:


군단 아르거스에서 중립진영 빛의 군대였다.
군단 아르거스에서 중립진영 빛의 군대였다.
:* [[공허 엘프]]<ref> 업적 "너흰 이제 준비가 됐다.", 아르거스 세력단 확고한 동맹 평판 필요</ref>: 사냥꾼, 마법사, 수도사, 사제, 도적, 흑마법사, 전사 직업 선택 가능.
:* [[공허 엘프]]<ref> 업적 "너흰 이제 준비가 됐다.", 아르거스 세력단 확고한 동맹 평판 필요</ref>: 사냥꾼, 마법사, 수도사, 사제, 도적, 흑마법사, 전사 직업 선택 가능.
:* [[검은무쇠 부족|검은무쇠 드워프]]: <ref>격아 전쟁 대장정 업적 '''전쟁준비 완료'''. 7군단 확고한 동맹 평판 필요</ref>: 사냥꾼, 마법사, 수도사, 성기사, 사제, 도적, 주술사, 흑마법사, 전사 직업 선택 가능.
:* [[검은무쇠 부족|검은무쇠 드워프]]: <ref>격아 전쟁 대장정 업적 '''전쟁준비 완료'''. 7군단 확고한 동맹 평판 필요</ref>: 사냥꾼, 마법사, 수도사, 성기사, 사제, 도적, 주술사, 흑마법사, 전사 직업 선택 가능.
:* [[쿨 티란}]:  흑마법사, 죽음의 기사, 악마사냥꾼 제외 모든 직업 선택 가능. 본래는 쿨 티란 인간이었으나 사실상 쿨 티란이라는 단어에 이미 쿨 티라스 人이라는 뜻이 있으므로 의미중복 단어였다. 결국 8.2 즈음에서 지금의 쿨 티란으로 정착.
:* [[쿨 티란}]:  흑마법사, 죽음의 기사, 악마사냥꾼 제외 모든 직업 선택 가능. 본래는 쿨 티란 인간이었으나 사실상 쿨 티란이라는 단어에 이미 쿨 티라스 人이라는 뜻이 있으므로 의미중복 단어였다. 결국 8.2 즈음에서 지금의 쿨 티란으로 정착.
* 기계 노움: 메카곤에서 봤던 중립진영 녹슨나사 저항군.
* 기계 노움: 메카곤에서 봤던 중립진영 녹슨나사 저항군.
* 호드
* 호드
:* [[높은산 타우렌]]<ref> 업적 "높은산이 높다하되 하늘 아래 뫼이로다.", 높은산 부족 확고한 동맹 평판 필요</ref>: 드루이드, 사냥꾼, 수도사, 주술사, 전사 직업 선택 가능.
:* [[높은산 타우렌]]<ref> 업적 "높은산이 높다하되 하늘 아래 뫼이로다.", 높은산 부족 확고한 동맹 평판 필요</ref>: 드루이드, 사냥꾼, 수도사, 주술사, 전사 직업 선택 가능.
110번째 줄: 106번째 줄:
이전의 추가 종족들이 완전히 새로이 만들어진 것과 달리 동맹 종족은 기존의 종족을 약간씩 편집하여 제작되었다. 나이트본과 잔달라 트롤은 나이트 엘프의 뼈대를 베이스로 제작되었으며, 높은산 타우렌은 기존 타우렌에서 뿔 모양을 바꾸었고 빛벼림 드레나이와 검은무쇠 드워프, 공허 엘프는 컬러링과 부분적인 커스터마이징이 변화되었다. 드루이드 변신 폼의 경우 잔달라는 순록 대신 랩터, 높은산 타우렌은 까마귀 대신 독수리로 변하는 등 조금 더 공들여 제작됐다. 다만 종족 특성을 제외하면 기존 종족에서 외형과 커스터마이징만 살짝 손 본 수준이라, 동맹 종족이란 것도 팔레트 스왑 수준의 추가 컨텐츠라는 비판도 있었다.
이전의 추가 종족들이 완전히 새로이 만들어진 것과 달리 동맹 종족은 기존의 종족을 약간씩 편집하여 제작되었다. 나이트본과 잔달라 트롤은 나이트 엘프의 뼈대를 베이스로 제작되었으며, 높은산 타우렌은 기존 타우렌에서 뿔 모양을 바꾸었고 빛벼림 드레나이와 검은무쇠 드워프, 공허 엘프는 컬러링과 부분적인 커스터마이징이 변화되었다. 드루이드 변신 폼의 경우 잔달라는 순록 대신 랩터, 높은산 타우렌은 까마귀 대신 독수리로 변하는 등 조금 더 공들여 제작됐다. 다만 종족 특성을 제외하면 기존 종족에서 외형과 커스터마이징만 살짝 손 본 수준이라, 동맹 종족이란 것도 팔레트 스왑 수준의 추가 컨텐츠라는 비판도 있었다.


동맹 종족 개방은 빛벼림 드레나이 · 공허 엘프 · 나이트본 · 높은산 타우렌은 격전 이후 바로, 검은무쇠 드워프 · 마그하르 오크는 8.0 전쟁 대장정 종료 이후 개방되었으며, 쿨 티라스 인간 · 잔달라 트롤은 8.15 패치에서 개방되었다. 이후 확장팩 스토리가 진행됨에 따라 추가적인 종족이 더 있을 수 있다고 첨언하였고, 아직 [[멀록]]은 [http://www.inven.co.kr/board/wow/1896/26559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이들은 새로운 종족 특성을 가지며, 부스팅이나 종족 변경 서비스 없이 만렙(120레벨)을 달성하면 형상변환에 사용할 수 있는 방어구 외형을 얻을 수 있다.
동맹 종족 개방은 빛벼림 드레나이 · 공허 엘프 · 나이트본 · 높은산 타우렌은 격전 이후 바로, 검은무쇠 드워프 · 마그하르 오크는 8.0 전쟁 대장정 종료 이후 개방되었으며, 쿨 티라스 인간 · 잔달라 트롤은 8.15 패치에서 개방되었다. 이후 확장팩 스토리가 진행됨에 따라 추가적인 종족이 더 있을 수 있다고 첨언하였고, 아직 [[멀록]]은 [[http://www.inven.co.kr/board/wow/1896/26559|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이들은 새로운 종족 특성을 가지며, 부스팅이나 종족 변경 서비스 없이 만렙(120레벨)을 달성하면 형상변환에 사용할 수 있는 방어구 외형을 얻을 수 있다.


그밖에 여우 수인 종족인 불페라의 남녀 모델이 구별되어 있고 신규 평판, 커스터마이징 모델 등이 있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유력한 추가 동맹 종족 후보로 점쳐지고 있다. 호드와 동맹을 맺고 얼라이언스의 공격을 받기 때문에 동맹 종족이 된다면 호드가 될 확률이 높지만, 불페라와 대척점으로 동시에 공개된 뱀 수인 종족 세스락은 커스터마이징 모델이나 남녀 모델 등이 없어 [[판다렌]]과 같이 중립 동맹 종족으로 등장하지 않을까 하는 추측도 있다.
그밖에 여우 수인 종족인 불페라의 남녀 모델이 구별되어 있고 신규 평판, 커스터마이징 모델 등이 있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유력한 추가 동맹 종족 후보로 점쳐지고 있다. 호드와 동맹을 맺고 얼라이언스의 공격을 받기 때문에 동맹 종족이 된다면 호드가 될 확률이 높지만, 불페라와 대척점으로 동시에 공개된 뱀 수인 종족 세스락은 커스터마이징 모델이나 남녀 모델 등이 없어 [[판다렌]]과 같이 중립 동맹 종족으로 등장하지 않을까 하는 추측도 있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