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문산-봉일천 전투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인용문2|본 문서는 『6.25전쟁사2권 북한의 전면남침과 초기 방어작전』 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음을 알립니다| ISSN 1739-2705}}
{{인용문2|본 문서는 『6.25전쟁사2권 북한의 전면남침과 초기 방어작전』 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음을 알립니다| ISSN 1739-2705}}
{{전쟁 정보
{{전쟁 정보
|전쟁이름 = 개성-문산-봉일천 전투
|분쟁 = 개성-문산-봉일천 전투
|원어이름 =  
|전체 = [[서부지역 작전]]
|그림     = [[파일:Battle of Gaeseong-Munsan.jpg]]
|그림 = Battle of Gaeseong-Munsan.jpg
|그림설명 =  
|그림크기 =  
|포괄사건 = [[서부지역 작전]]
|설명 =  
|날짜     = 1950년 6월 25일 ~ 28일
|날짜 = 1950년 6월 25일 ~ 28일
|위치    =  
|장소 =
|결과     = 북한의 승리
|상태 =
|단체1    = 북한
|결과 = 북한의 승리
|지휘관1 = 최광 소장<br />방호산 소장<br />최율석 대좌
|이유 =
|병력1   = 약 2만 1000명<br />122mm 유탄포 24문<br />76mm 유탄포 72문<br />45mm 대전차포 168문<br />T-34 40대<br />자주포 32문<ref>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6.25 전쟁사:2권 북한의 전면남침과 초기방어작전』, p.172</ref>
|교전국1 = 북한
|피해1    =
|교전국2 = 대한민국<br>미국
|단체2    = 대한민국<br />미국
|지휘관1 = 최광 소장<br>방호산 소장<br>최율석 대좌
|지휘관2  = 백선엽 대령<br />최경록 대령<br />전성호 대령 (부상)<br />김점곤 중령<br />김익렬 대령<br />최영희 대령<br />유해준 중령
|지휘관2 = 백선엽 대령<br>최경록 대령<br>전성호 대령 (부상)<br>김점곤 중령<br>김익렬 대령<br>최영희 대령<br>유해준 중령
|병력2   =
|군대1 =
|피해2    =
제1군단
|단체3    =
* 제1보병사단
|지휘관3  =
* 제6보병사단
|병력3    =
** 제13연대
|피해3    =
** 제15연대
|단체4    =  
* 제105전차여단
|지휘관4  =  
** 제203연대
|병력4    =  
|군대2 =
|피해4    =  
제1사단<ref>제15, 제20연대는 본래 제5사단 소속으로 제1사단에 배속되었다.</ref>
|민간피해 =  
* 제11연대
|비고    =  
* 제12연대
* 제13연대
* 제15연대
* 제20연대
** 제3대대
* 서울특별연대
|병력1= 약 2만 1000명<br>122mm 유탄포 24문<br>76mm 유탄포 72문<br>45mm 대전차포 168문<br>T-34 40대<br>자주포 32문<ref>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6.25 전쟁사:2권 북한의 전면남침과 초기방어작전』, p.172</ref>  
|병력2 =  
|사상자1 =  
|사상자2 =  
|지도 =  
|지도설명 =  
|기타 =  
}}
}}


66번째 줄: 78번째 줄:


==== 개성 전투 ====
==== 개성 전투 ====
제12연대 제2대대는 예성강 동안에서 제13연대가 있는 대원리까지의 지역을 서에서 동으로 제5, 제6, 제7중대 순서로 배치된 상태였다. 04:00 포성에 잠을 깬 대대장 한순화 소령은 작전장교에게 교전 중이라는 보고를 받았다. 대대장은 먼저 연대장에게 상황을 보고하고, 각 중대장에게 현 진지 고수명령을 내렸다. 이때 개성시내에서도 포탄이 낙하되어 시내가 혼란에 휩싸였다.
제12연대 제2대대는 예성강 동안에서 제13연대가 있는 대원리까지의 지역을 서에서 동으로 제5, 제6, 제7중대 순서로 배치된 상태였다. 04:00 포성에 잠을 깬 대대장 한순화 소령은 작전장교에게 교전 중이라는 보고를 받았다. 대대장은 먼저 연대장에게 상황을 보고하고, 각 중대장에게 현 진지 고수명령을 내렸다. 이때 개성시내에서도 포탄이 낙하되어 시내가 혼란에 휩싸였다.  


지역 내 주요 도로를 담당했던 제5중대는 1개 대대규모의 북한군에게 기습을 받아 분산되고 연락선이 차단되었다.
지역 내 주요 도로를 담당했던 제5중대는 1개 대대규모의 북한군에게 기습을 받아 분산되고 연락선이 차단되었다.
156번째 줄: 168번째 줄:
14:40 제1대대가 전차를 상대로 전투를 치르고 있을 무렵 제2대대 제5중대가 중대규모의 북한군을 발견하였다. 중대는 장마루까지 접근하기를 기다렸다가 15분의 집중 사격으로 격퇴하였다. 그러나 15:00 북한군이 다시 장마루로 접근해 다시 교전이 시작되었다.
14:40 제1대대가 전차를 상대로 전투를 치르고 있을 무렵 제2대대 제5중대가 중대규모의 북한군을 발견하였다. 중대는 장마루까지 접근하기를 기다렸다가 15분의 집중 사격으로 격퇴하였다. 그러나 15:00 북한군이 다시 장마루로 접근해 다시 교전이 시작되었다.


제2대대는 고랑포쪽에서 임진강을 도하한 대대규모의 북한군을 맞았다. 북한군은 1번 도로를 따라 전차와 더불어 대대 중앙을 공격하였다. 북한의 전차가 대전차포를 뚫고 접근해 사격을 하자 병사들이 대오를 이탈하였고 우일선 중대가 분산되면서 우측 제1대대와의 사이가 벌어졌다. 보고를 받은 연대본부는 금곡리에 집결한 제3대대로 역습을 감행하도록 명령했다. 밤새도록 이어진 전투는 새벽이 되어서야 진정되었다.
제2대대는 고랑포쪽에서 임진강을 도하한 대대규모의 북한군을 맞았다. 북한군은 1번 도로를 따라 전차와 더불어 대대 중앙을 공격하였다. 북한의 전차가 대전차포를 뚫고 접근해 사격을 하자 병사들이 대오를 이탈하였고 우일선 중대가 분산되면서 우측 제1대대와의 사이가 벌어졌다. 보고를 받은 연대본부는 금곡리에 집결한 제3대대로 역습을 감행하도록 명령했다. 밤새도록 이어진 전투는 새벽이 되서야 진정되었다.


26일 서울특별연대 예하 육사교도대가 문산에서 밤새 행군해 파평산 우측에 도착하였다. 잠깐의 휴식 뒤 제1대대 우측을 보호하기 위해 357고지를 점령하려 했으나 이미 점령에 성공한 북한군에게 사격을 받았다. 이에 교도대는 목표를 바꿔 바로 아래쪽 무명고지를 점령했다.
26일 서울특별연대 예하 육사교도대가 문산에서 밤새 행군해 파평산 우측에 도착하였다. 잠깐의 휴식 뒤 제1대대 우측을 보호하기 위해 357고지를 점령하려 했으나 이미 점령에 성공한 북한군에게 사격을 받았다. 이에 교도대는 목표를 바꿔 바로 아래쪽 무명고지를 점령했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