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종철도차량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6번째 줄: 6번째 줄:
갑종철도차량은 차륜이 달린 [[철도차량]] 그 자체를 화물열차로서 취급하는 경우 그 화물을 칭하는 명칭이다. 쉽게 이야기하면, 일반적인 철도차량이 원소속 바깥에서 자신의 동력으로 움직이는 것이 아니고 다른 차량에 연결되어 끌려 간다면 해당 차량은 갑종철도차량이 된다. 예시는 다양해서 공장에서 출고되는 신조 차량이나, 차량 기지간 검수를 위해 다른 전동차나 기관차에 끌려가는 차량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갑종철도차량은 차륜이 달린 [[철도차량]] 그 자체를 화물열차로서 취급하는 경우 그 화물을 칭하는 명칭이다. 쉽게 이야기하면, 일반적인 철도차량이 원소속 바깥에서 자신의 동력으로 움직이는 것이 아니고 다른 차량에 연결되어 끌려 간다면 해당 차량은 갑종철도차량이 된다. 예시는 다양해서 공장에서 출고되는 신조 차량이나, 차량 기지간 검수를 위해 다른 전동차나 기관차에 끌려가는 차량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흔히 '''갑종회송'''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엄밀하게 말할때 올바른 용어는 아니다. 현업에서 쓰는 속어도 아니고 일본쪽 잡지나 팬덤쪽에서 편의적으로 만든 용어(甲種回送)가 정착해버린 경우이다. 다만, 통례적으로 사용하는 표현인지라 틀렸다고 단언하기는 좀 애매해진 감도 있으나, 바른 용어는 아니다. 그 유래했다는 일본 쪽도 정식용어로는 화물 취급하여 "갑종수송(甲種輸送)"이라고 부르고 있으니 말이다.
흔히 '''갑종회송'''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엄밀하게 말할때 올바른 용어는 아니다. 현업에서 쓰는 속어도 아니고 일본쪽 잡지나 팬덤쪽에서 편의적으로 만든 용어(甲種輸送)가 정착해버린 경우이다. 다만, 통례적으로 사용하는 표현인지라 틀렸다고 단언하기는 좀 애매해진 감도 있으나, 바른 용어는 아니다. 그 유래했다는 일본 쪽도 정식용어로는 화물 취급하여 "갑종수송(甲種輸送)"이라고 부르고 있으니 말이다.


== 혼동하기 쉬운 개념 ==
== 혼동하기 쉬운 개념 ==
{{youtube|PzqBho8uF6k|||center|Talgo ICE L 가대차 운송(광궤)}}
* 가대차 [[파일:EH200-22_E6_series_Z9 Nishi-Kokubunji 20130601.jpg|thumb|가대차를 부착한 신칸센 운송]]
* 가대차 [[파일:EH200-22 E6 series Z9 Nishi-Kokubunji 20130601.jpg|thumb|가대차를 부착한 신칸센 운송]]
*: [[궤간]]이 달라 원래 [[대차]] 대신 가대차 내지 운송용 대차(Rollbock)를 따로 붙여서 견인하는 철도차량의 운송도 갑종철도차량으로 취급한다. 임시로 설치된 것이지만 자기에게 설치된 대차, 차륜으로 움직이는 것이니 <u>일단은 갑종철도차량 취급이 된다</u>.
*: [[궤간]]이 달라 원래 [[대차]] 대신 가대차 내지 운송용 대차(Rollbock)를 따로 붙여서 견인하는 철도차량의 운송도 갑종철도차량으로 취급한다. 임시로 설치된 것이지만 자기에게 설치된 대차, 차륜으로 움직이는 것이니 <u>일단은 갑종철도차량 취급이 된다</u>.


18번째 줄: 17번째 줄:
*: 과거에는 협궤선도, 노면전차도 운행중이다 보니 종종 쓰였지만, 현재에는 실제 운송례가 흔치 않은 사례가 되었다.<ref>가장 최근 수송사례는 구 [[서울도시철도공사]]의 7호선용 신차 초도분의 경우였다. 평판차에 대차를 분리한 차체를 올려서, 도봉산역에서 장암기지로 반입한 례가 있었다.</ref> 이 용어는 철도의 다양성이 높은 일본에서도 갑종회송에 대비되는 표현으로 심심치 않게 등장한다.
*: 과거에는 협궤선도, 노면전차도 운행중이다 보니 종종 쓰였지만, 현재에는 실제 운송례가 흔치 않은 사례가 되었다.<ref>가장 최근 수송사례는 구 [[서울도시철도공사]]의 7호선용 신차 초도분의 경우였다. 평판차에 대차를 분리한 차체를 올려서, 도봉산역에서 장암기지로 반입한 례가 있었다.</ref> 이 용어는 철도의 다양성이 높은 일본에서도 갑종회송에 대비되는 표현으로 심심치 않게 등장한다.
{{-}}
{{-}}
 
* 육·해송 [[파일:Hondekop_loaded_onto_Volvo_of_Klomp_International_Transport Zwolle, pic2.JPG|thumb|육송 작업]]
* 육·해송 [[파일:Hondekop loaded onto Volvo of Klomp International Transport Zwolle, pic2.JPG|thumb|육송 작업]]
*: 트레일러나 선박편 운송을 하는 것은 갑종철도차량운송이 아닌 각각 육송, 해송으로 적는게 맞다. [[인천국제공항철도]] 챠량 초기 도입때 연결된 선로가 없어서 트레일러에 선적한 뒤 바지선을 통해 용유기지로 차량을 반입한 적이 있는데, 이것은 엄밀히는 갑종철도차량 운송 이후 육·해송을 경유한 것이 되는 셈이다. 그 외엔 스크랩 반출 등이 있다.
*: 트레일러나 선박편 운송을 하는 것은 갑종철도차량운송이 아닌 각각 육송, 해송으로 적는게 맞다. [[인천국제공항철도]] 챠량 초기 도입때 연결된 선로가 없어서 트레일러에 선적한 뒤 바지선을 통해 용유기지로 차량을 반입한 적이 있는데, 이것은 엄밀히는 갑종철도차량 운송 이후 육·해송을 경유한 것이 되는 셈이다. 그 외엔 스크랩 반출 등이 있다.
*: 을종운송이나 육송이 잦은 국가는 전용으로 특수차량을 제작해서 건축 한계 안으로 운송할 수 있게 하면서 지지 마운트를 설치해서 하역과정에서 차체가 상하지 않으면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저상으로 설계된 경우 대차를 붙인 채로 차량을 적재할 수 있으며, 차체를 분리해서 얹으면 얼핏보면 대차가 있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 을종운송이나 육송이 잦은 국가는 전용으로 특수차량을 제작해서 건축 한계 안으로 운송할 수 있게 하면서 지지 마운트를 설치해서 하역과정에서 차체가 상하지 않으면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저상으로 설계된 경우 대차를 붙인 채로 차량을 적재할 수 있으며, 차체를 분리해서 얹으면 얼핏보면 대차가 있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29번째 줄: 27번째 줄:
기본적으로 제작사와 인수사가 수송계획을 수립하고, 이에 대한 운송신청을 철도회사(이 경우 [[한국철도공사]]가 주도)에 제출하여 검토를 받는다. 이후, 검토를 거쳐 열차편을 설정하고, 시종착역 및 도중 작업이 필요한 역(기관차 교체, 방향전환 등)에 대해서 협조를 진행하게 된다. 역에서 [[입환]] 등을 위한 인력 지원을 받을 수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인력지원이 가능한 역까지 추가로 열차를 보내거나 경로를 바꾸어 가기도 한다.
기본적으로 제작사와 인수사가 수송계획을 수립하고, 이에 대한 운송신청을 철도회사(이 경우 [[한국철도공사]]가 주도)에 제출하여 검토를 받는다. 이후, 검토를 거쳐 열차편을 설정하고, 시종착역 및 도중 작업이 필요한 역(기관차 교체, 방향전환 등)에 대해서 협조를 진행하게 된다. 역에서 [[입환]] 등을 위한 인력 지원을 받을 수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인력지원이 가능한 역까지 추가로 열차를 보내거나 경로를 바꾸어 가기도 한다.


갑종철도차량은 통상적으로 [[임시열차|임시화물열차]]로서 전세열차 취급을 하게 된다. 물론, 객차나 화차의 수송이나 [[모터카]] 등의 장비 이동의 경우는 일반 화물열차에 혼합 연결해 운송하기도 하지만 이쪽이 좀 더 예외적이다. 전동차, 특히 [[한국철도공사]]에서 사용하는 전동차 이외에는 기관차 견인 구원운전을 전혀 고려하지 않아서 [[열차표지]] 점등같은 최소 제어에 필요한 전기장치 및 운행에 필수적인 제동장치의 호환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를 위한 전환장치를 포함해야 하기 때문에 전세열차 취급이 필수적이다.
갑종철도차량은 통상적으로 [[임시열차|임시화물열차]]로서 전세열차 취급을 하게 된다. 물론, 객차나 화차의 수송이나 [[모터카]] 등의 장비 이동의 경우는 일반 화물열차에 혼합 연결해 운송하기도 하지만 이쪽이 좀 더 예외적이다. 전동차, 특히 [[한국철도공사]]에서 사용하는 전동차 이외에는 기관차 견인 구원운전을 전혀 고려하지 않아서 제동장치의 호환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를 위한 전환장치를 포함해야 하기 때문에 전세열차 취급이 필수적이다.


신조차량 갑종철도차량 운송 시에는 인수사 측 관계자와 제작사 측 관계자가 동승하여 여객 대피를 위해 역에 정차할 때마다 이상이 있는지 점검한다. 중련으로 간단하게 견인이 되면 좋겠지만, 기술적으로 호환이 되지 않아 갑종철도차량 자체적으로 최소한의 관리용 전력을 확보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도시철도 차량일 경우 코레일이 차량기지까지 들어가진 않고, 주요 연결선에서 인수사 측 모터카나 전동차가 나와서 병결해간다. 드물게 코레일이 지하철까지 들어가는 경우가 있는 데, 그날은 지하에서 특대가 우렁찬 엔진소리를 몰고다니는 것을 목격할 수 있다.
신조차량 갑종철도차량 운송 시에는 인수사 측 관계자와 제작사 측 관계자가 동승하여 여객 대피를 위해 역에 정차할 때마다 이상이 있는지 점검한다. 중련으로 간단하게 견인이 되면 좋겠지만, 기술적으로 호환이 되지 않아 갑종철도차량 자체적으로 최소한의 관리용 전력을 확보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도시철도 차량일 경우 코레일이 차량기지까지 들어가진 않고, 주요 연결선에서 인수사 측 모터카나 전동차가 나와서 병결해간다. 드물게 코레일이 지하철까지 들어가는 경우가 있는 데, 그날은 지하에서 특대가 우렁찬 엔진소리를 몰고다니는 것을 목격할 수 있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