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색하이에나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생물 분류 정보
{{생물 분류 정보
|이름    = 갈색하이에나
|이름    = 갈색하이에나
|그림    = Brown Hyena (Parahyaena brunnea) (6472926331).jpg
|그림    = [[파일:Brown Hyena (Parahyaena brunnea) (6472926331).jpg|섬네일]]
|그림설명 =  
|그림설명 =  
|학명    = ''Parahyaena brunnea''
|학명    = ''Parahyaena brunnea''
|명명    = [[Linnaeus]], 1758
|명명    = Linnaeus, 1758
|생물분류 =  
|생물분류 =  
  {{생물 분류 정보/분류
  {{생물 분류 정보/분류
42번째 줄: 42번째 줄:
}}
}}


{| style="margin: auto;"
{| class="wikitable" style="margin: auto;"
| [[파일:Parahyaena brunnea 5.jpg|x500px]]
| [[파일:Parahyaena brunnea 5.jpg|x500px]]
|}
|}
49번째 줄: 49번째 줄:
​외형적으로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하이에나의 모습보다는 개나 늑대와 더 비슷하게 생겼다. 길고 덥수룩하며 칠흑같이 짙은 갈색을 띠는 털가죽에 길고 뾰족한 귀, 짧은 꼬리를 가지고 있으며 다리에는 갈색과 흰색의 줄무늬가 나 있다. 목과 어깨 주변에는 크림색의 갈기가 있으며 흥분할 경우 약 305mm 정도 곧게 서서 자신의 덩치가 크게 보이도록 과시하는 효과를 가졌다. 또한 점박이하이에나와 마찬가지로 스프링복의 다리뼈를 분쇄할 정도로 강력한 턱을 가지고 있으며, 두개골은 줄무늬하이에나보다 더 크고 이빨도 더 튼튼하다.
​외형적으로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하이에나의 모습보다는 개나 늑대와 더 비슷하게 생겼다. 길고 덥수룩하며 칠흑같이 짙은 갈색을 띠는 털가죽에 길고 뾰족한 귀, 짧은 꼬리를 가지고 있으며 다리에는 갈색과 흰색의 줄무늬가 나 있다. 목과 어깨 주변에는 크림색의 갈기가 있으며 흥분할 경우 약 305mm 정도 곧게 서서 자신의 덩치가 크게 보이도록 과시하는 효과를 가졌다. 또한 점박이하이에나와 마찬가지로 스프링복의 다리뼈를 분쇄할 정도로 강력한 턱을 가지고 있으며, 두개골은 줄무늬하이에나보다 더 크고 이빨도 더 튼튼하다.


평균적인 갈색하이에나의 크기는 몸길이 110~125cm, 어깨높이 70~80cm, 꼬리 길이는 25~35cm, 몸무게는 27~54kg 정도로 하이에나 중에서는 [[점박이하이에나]] 다음으로 덩치가 크며,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이에나의 인식과는 다르게 몸무게는 수컷이 약 40.2~43.7kg, 암컷은 37.7kg~40.2kg 정도로 암수간의 크기 차이는 거의 없다. 굳이 비교해보자면 수컷이 암컷보다 조금 큰 정도.
평균적인 갈색하이에나의 크기는 몸길이 110~125c, 어깨높이 70~80cm, 꼬리 길이는 25~35cm, 몸무게는 27~54kg 정도로 하이에나 중에서는 [[점박이하이에나]] 다음으로 덩치가 크며,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이에나의 인식과는 다르게 몸무게는 수컷이 약 40.2~43.7kg, 암컷은 37.7kg~40.2kg 정도로 암수간의 크기 차이는 거의 없다. 굳이 따지자면 수컷이 암컷보다 조금 큰 정도.
== 생태 ==
== 생태 ==
[[파일:Brown Hyaena area.png|220px|섬네일|갈색하이에나의 분표 지역]]
[[파일:Brown Hyaena area.png|220px|섬네일|갈색하이에나의 분표 지역]]
61번째 줄: 61번째 줄:


​갈색하이에나는 같은 무리의 구성원들끼리 서로 의사소통을 할 때 소리를 내는 대신 냄새 등의 화학적인 신호를 이용한다. 꼬리 아래에 위치한 항문선에서 나오는 분비물을 통해 초목과 바위에 냄새 신호, 즉 '페이스팅'을 남기며, 분비물 속 서로 다른 물질이 반응하여 영역 전반에 냄새로서 퍼져나간다. 평소에 홀로 먼 거리를 이동하는 ​갈색하이에나에게 있어 이러한 페이스팅은 마치 부재중일 때 상대에게 남기는 음성 메시지와도 비슷하며, 이렇게 페이스팅을 남긴 지역으로부터 아무리 멀리 나가더라도 500m 밖으로는 벗어나지 않는다.
​갈색하이에나는 같은 무리의 구성원들끼리 서로 의사소통을 할 때 소리를 내는 대신 냄새 등의 화학적인 신호를 이용한다. 꼬리 아래에 위치한 항문선에서 나오는 분비물을 통해 초목과 바위에 냄새 신호, 즉 '페이스팅'을 남기며, 분비물 속 서로 다른 물질이 반응하여 영역 전반에 냄새로서 퍼져나간다. 평소에 홀로 먼 거리를 이동하는 ​갈색하이에나에게 있어 이러한 페이스팅은 마치 부재중일 때 상대에게 남기는 음성 메시지와도 비슷하며, 이렇게 페이스팅을 남긴 지역으로부터 아무리 멀리 나가더라도 500m 밖으로는 벗어나지 않는다.
야생에서 갈색하이에나의 수명은 평균 12~15년 정도이다.
=== 식단 ===
=== 식단 ===
[[파일:Brown hyena with food in mouth - DPLA - 2d1ac7c7911d980594bb59f38aacd73b.jpg|250px|섬네일|입에 음식을 물고 가는 갈색하이에나]]
[[파일:Brown hyena with food in mouth - DPLA - 2d1ac7c7911d980594bb59f38aacd73b.jpg|270px|섬네일|입에 음식을 물고 가는 갈색하이에나]]
갈색하이에나는 잡식동물이자 청소동물로, 움직임이 굼뜨고 사냥을 잘 하지 못하기 때문에 주로 사자나 표범, 치타 등이 먹다 남긴 시체를 찾아서 먹는다. 남아프리카의 트란스발 지역에서 갈색하이에나는 죽은 가축의 시체를 먹기도 한다. 시체 이외에는 설치류나 곤충, 새알, 과일, 곰팡이 등을 섭취하며 그중에서 직접 [[남아프리카뜀토끼]], [[박쥐귀여우]]나 [[느시]], 새끼 [[스프링복]] 등 살아있는 동물을 사냥하는 경우는 식단에서 고작 4.2%에 불과하다.
갈색하이에나는 잡식동물이자 청소동물로, 움직임이 굼뜨고 사냥을 잘 하지 못하기 때문에 주로 사자나 표범, 치타 등이 먹다 남긴 시체를 찾아서 먹는다. 남아프리카의 트란스발 지역에서 갈색하이에나는 죽은 가축의 시체를 먹기도 한다. 시체 이외에는 설치류나 곤충, 새알, 과일, 곰팡이 등을 섭취하며 그중에서 직접 [[남아프리카뜀토끼]], [[박쥐귀여우]]나 [[느시]], 새끼 [[스프링복]] 등 살아있는 동물을 사냥하는 경우는 식단에서 고작 4.2%에 불과하다.


다만 [[나미브 사막]] 해안가에서 사는 갈색하이에나는 해안에 쓸려 온 물고기를 먹거나 [[남아프리카물개]]의 새끼를 사냥해 뇌를 파먹기도 한다. 갈색하이에나의 식단에서 물개 새끼가 차지하는 비율은 2.9%를 차지하는데, 뇌만 파먹어버리는 다소 엽기적이고 특이한 식습관에 대해서는 단백질을 섭취하기 위함이라는 의견과 수분 보충을 위해서라는 의견으로 갈리고 있다.
다만 [[나미브 사막]] 해안가에서 사는 갈색하이에나는 해안에 쓸려 온 물고기를 먹거나 [[남아프리카물개]]의 새끼를 사냥해 뇌를 파먹기도 한다. 갈색하이에나의 식단에서 물개 새끼가 차지하는 비율은 2.9%를 차지하는데, 뇌만 파먹어버리는 다소 엽기적이고 특이한 식습관에 대해서는 단백질을 섭취하기 위함이라는 의견과 수분 보충을 위해서라는 의견으로 갈리고 있다.


=== 번식 및 생애주기 ===
=== 번식 ===
[[파일:Parahyaena brunnea puppy.jpg|250px|left|섬네일|갈색하이에나 새끼]]
[[파일:Parahyaena brunnea puppy.jpg|250px|섬네일|갈색하이에나 새끼]]
갈색하이에나에게는 특별히 정해진 발정기가 없지만, 2살 이후부터 주로 5월에서 8월 사이에 짝짓기를 한다. 특이하게도 암컷은 같은 무리 내의 개체와는 짝짓기를 하지 않는 대신 외부에서 찾아온 다른 무리의 수컷과 짝짓기를 하며, 다른 수컷들은 짝짓기를 하지 않는 대신 새끼를 키우는데 전념한다. 이러한 번식 전략 탓인지 갈색하이에나는 종종 다른 암컷의 새끼에게 젖을 물려주거나 다른 암컷이 먹이를 찾으러 나가있는 동안 새끼를 대신 길러주기도 하며, 이례적으로 어미를 잃은 새끼를 입양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갈색하이에나에게는 특별히 정해진 발정기가 없지만, 주로 2살 이후에 5월에서 8월 사이에 짝짓기를 한다. 특이하게도 암컷은 같은 무리 내의 개체와는 짝짓기를 하지 않는 대신 외부에서 찾아온 다른 무리의 수컷과 짝짓기를 하며, 다른 수컷들은 짝짓기를 하지 않는 대신 새끼를 키우는데 전념한다. 이러한 번식 전략 탓인지 갈색하이에나는 종종 다른 암컷의 새끼에게 젖을 물려주거나 다른 암컷이 먹이를 찾으러 나가있는 동안 새끼를 대신 길러주기도 하며, 이례적으로 어미를 잃은 새끼를 입양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암컷은 20개월에 한 번, 97일 가량의 임신 기간 끝에 천적에게 들키지 않도록 굴을 파고 숨어서 평균 1~5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갓 태어난 새끼의 몸무게는 고작 1kg 수준으로, 점박이하이에나 새끼와는 다르게 새끼는 태어난지 약 8일 정도가 지나야 눈을 뜰 수 있다. 새끼들이 태어난 지 약 4개월이 지나 굴 밖으로 나오게 되면 무리 내의 모든 성체들이 새끼를 위해서 먹이를 준비하게 되며, 이후 생후 14개월이 되면 젖을 떼고 굴을 떠나게 되며, 생후 약 16개월이 되면 성적으로 성숙해진다.
암컷은 20개월에 한 번, 97일 가량의 임신 기간 끝에 천적에게 들키지 않도록 굴을 파고 숨어서 평균 1~5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갓 태어난 새끼의 몸무게는 고작 1kg 수준으로, 점박이하이에나 새끼와는 다르게 새끼는 태어난지 약 8일 정도가 지나야 눈을 뜰 수 있다. 새끼들이 태어난 지 약 4개월이 지나 굴 밖으로 나오게 되면 무리 내의 모든 성체들이 새끼를 위해서 먹이를 준비하게 되며, 이후 생후 14개월이 되면 젖을 떼고 굴을 떠나게 되며, 생후 약 16개월이 되면 성적으로 성숙해진다.


새끼를 낳을 굴은 입구의 높이 약 30cm, 넓이 약 50cm 정도로 좁으며 간혹 굴을 파는 대신 버려진 동굴을 쓰기도 한다. 또한 보통 하나의 어미에서 태어난 새끼들이 굴을 단독으로 사용하지만 드물게 각각 다른 어미들로부터 태어난 새끼들끼리 굴을 공유하기도 한다.
새끼를 낳을 굴은 입구의 높이 약 30cm, 넓이 약 50cm 정도로 좁으며 간혹 굴을 파는 대신 버려진 동굴을 쓰기도 한다. 또한 보통 하나의 어미에서 태어난 새끼들이 굴을 단독으로 사용하지만 드물게 각각 다른 어미들로부터 태어난 새끼들끼리 굴을 공유하기도 한다.
야생에서 갈색하이에나의 수명은 평균 12~15년 정도이다.


=== 타 동물과의 관계 ===
=== 타 동물과의 관계 ===
87번째 줄: 87번째 줄:
이외에도 [[자칼]]이나 [[독수리]]는 갈색하이에나를 따라다니면서 같이 시체를 먹거나 종종 갈색하이에나의 먹이를 강탈하기도 한다. 갈색하이에나 입장에서 이 둘은 자신보다 몸집도 작고 민첩성도 높아 설령 먼저 공격하더라도 이를 잽싸게 피해가는 걸리적거리는 놈들이다.
이외에도 [[자칼]]이나 [[독수리]]는 갈색하이에나를 따라다니면서 같이 시체를 먹거나 종종 갈색하이에나의 먹이를 강탈하기도 한다. 갈색하이에나 입장에서 이 둘은 자신보다 몸집도 작고 민첩성도 높아 설령 먼저 공격하더라도 이를 잽싸게 피해가는 걸리적거리는 놈들이다.


== 인간과의 관계 ==
== 인간과의 관계 및 보존 ==
갈색하이에나는 현재 IUCN 적색 목록에 '''취약근접'''(NT) 등급으로 등재되어 있어 멸종 위기에 처한 종으로 간주되지 않지만, 개체 수는 약 4,000~10,000마리 가량으로 상당히 적은 편이다.
갈색하이에나는 현재 IUCN 적색 목록에 "취약근접(NT)" 등급으로 등재되어 있어 멸종 위기에 처한 종으로 간주되지 않지만, 개체 수는 약 4,000~10,000마리 가량으로 상당히 적은 편이다.


갈색하이에나는 트로피로 박제하기에는 그다지 매력적인 동물로 보이지 않기 때문에 스포츠용으로 사냥당하지는 않지만, 전통 의술 및 의식 도구로 사용되는 신체 부위 휙득 및 가축을 보호하기 위함이라는 명분으로 박해를 받아 사냥당하고 있다. 특히 갈색하이에나가 가축을 사냥하는 경우는 상당히 드문 편임에도 가축의 시체를 처리하는 모습이 마치 그 가축을 죽인 것으로 오인받아서 덫이나 독, 총으로 인해 사냥당하는 경우가 가장 크다.
갈색하이에나는 트로피로 박제하기에는 그다지 매력적인 동물로 보이지 않기 때문에 스포츠용으로 사냥당하지는 않지만, 전통 의술 및 의식 도구로 사용되는 신체 부위 휙득 및 가축을 보호하기 위함이라는 명분으로 박해를 받아 사냥당하고 있다. 특히 갈색하이에나가 가축을 사냥하는 경우는 상당히 드문 편임에도 가축의 시체를 처리하는 모습이 마치 그 가축을 죽인 것으로 오인받아서 덫이나 독, 총으로 인해 사냥당하는 경우가 가장 크다.


현재 갈색하이에나는 나미비아의 에토샤 국립공원, 보츠와나의 센트럴 칼라하리 수렵 보호구역, 스크갈라가디 트랜스프론티어 공원 등에서 보호 구역이 지정되어 사냥이 금지되어 있으며, 갈색하이에나를 보존하고 이 동물에 대한 오해를 개선하기 위해 교육 캠페인이 진행되어 보호를 받고 있다.
현재 갈색하이에나는 나미비아의 에토샤 국립공원, 보츠와나의 센트럴 칼라하리 수렵 보호구역, 스크갈라가디 트랜스프론티어 공원 등에서 보호 구역이 지정되어 사냥이 금지되어 있으며, 갈색하이에나를 보존하고 이에 대한 오해를 개선하기 위해 교육 캠페인이 진행되어 보호를 받고 있다.


== 기타 ==
== 기타 ==
* 갈색하이에나는 뼛조각이나 다른 동물의 시체 등 남는 먹이를 구멍이나 관목 등에 숨겼다가 24시간 이내에 찾으러 오는 습성이 있으며, 칼라하리 사막에서는 종종 지역민들이 사용하는 냄비를 숨기기도 한다.
* 갈색하이에나는 뼛조각이나 다른 동물의 시체 등 남는 먹이를 구멍이나 관목 등에 숨겼다가 24시간 이내에 찾으러 오는 습성이 있으며, 칼라하리 사막에서는 종종 지역민들이 사용하는 냄비를 숨기기도 한다.
* 갈색하이에나는 줄무늬하이에나와 함께 포켓몬스터에 나오는 포켓몬 중 하나인 [[그라에나]]의 모티브 중 하나로 추측되고 있다.
== 관련 항목 ==
== 관련 항목 ==
* [[하이에나]]
* [[하이에나]]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