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선버스

개요[편집 | 원본 편집]

간선버스와 달리 상대적으로 단거리 운행을 목적으로 하며, 지역 내에서의 통행의 편의를 꾀할 목적으로 운행하는 노선버스이다. 최초의 시작은 2004년 7월 1일 서울특별시의 기능별 시내버스 노선을 구분할 때 시작되었으며, 이후 이러한 개념이 다른 대도시로 퍼져나가게 되었다.

도시별 지선버스[편집 | 원본 편집]

서울특별시[편집 | 원본 편집]

서울특별시 지선버스는 녹색 버스에, (버스개편 초기에는 버스 옆구리에 green을 뜻하는 G자를 박아넣었었다 지랄염병 버스의 첫 글자) 4자리 노선번호를 가지고 운행한다. 주 역할은 간선버스와 간선버스, 그리고 지하철 노선간의 상호 연계와 환승을 연결하여 이동 편의를 도모하고, 특정 지역내의 서비스 취약 구간을 운행하는 방향으로 설계되었다. 이 때문에 지선버스를 타고 기점에서 종점까지 이동한다면 지도상으로는 얼마 안 되는 거리인데 이리저리 빙글빙글 돌며, 동네 구석구석을 헤집고 다니는 일을 겪게 된다. 만일 장거리 이동을 한다면 간선버스로 환승하거나 지하철을 이용하자.

인천광역시[편집 | 원본 편집]

500번대 번호의 버스들이 지선버스에 해당한다

대구광역시[편집 | 원본 편집]

울산광역시[편집 | 원본 편집]

900번대 버스가 여기에 해당하며, 18개 노선이 운행중이다.

광주광역시[편집 | 원본 편집]

대전광역시[편집 | 원본 편집]

대전광역시는 마을버스와 외곽버스가 같이 하고 있다. 둘 색은 모두 초록색. 대전시에서 주변의 '면, 리'로 향하는게 목적이다. 딱히 연결되는 넘버링은 없다.[1]

  • 외곽은 11,20,22,23,24,25,26,27,30,31,32,33,34,41,42,43,46,48,52,60,61,61[2],62,63,71-1,71-2,72,73,74,75 번이 운영중이다.
  • 마을은 1,3,5번이 운영중이며 도심의 외진 지역인데 버스 수요가 있는 곳 을 종점으로 하는 버스이다.

각주

  1. 이를테면, 20번부터 60번이라고 대강 말하면 43,45,47번이 광역이고 44번은 없다. 이런 오류가 생기기에 넘버링으로 연속지어 묶을 수가 없다. 대단해
  2. 중복 아니다. 하나는 천개동↔대전대 방면이고 하나는 냉천↔대전대 방면이다. 대청호를 같이 지나지만 최종 목적지가 어디냐에 따라서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