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선버스

도시 내에서 말 그대로 중장거리의 간선을 연결하는 통행수요를 담당하는 버스로, 대도시의 경우 지하철이나 광역전철대동맥의 역할에 비유한다면 간선버스는 바로 그 다음 역할인 동맥의 역할을 감당하는 대중교통 수단이며, 철도교통이 존재하지 않는 도시지역의 경우 간선버스가 바로 해당 지역의 대동맥 역할을 하는 대중교통 수단이 된다. 이 간선버스의 수송효율을 높이기 위해 중앙버스전용차로와 같은 BRT 시스템이나 환승할인 제도 같은 것이 도입되었다.

각 도시별 간선버스[편집 | 원본 편집]

서울특별시[편집 | 원본 편집]

파란색 바탕의 버스에 세 자리의 노선번호를 가지고 있다. 노선번호의 배정법은 각 권역별 번호에 종속이 되는데 맨 앞자리는 출발지(차고지) 권역, 둘째 자리숫자는 도착지 권역, 마지막 세번째 자리 숫자는 일련번호로 구성된다. 권역별 번호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문서를 참조하면 된다.

인천광역시[편집 | 원본 편집]

차량 도색은 파란색이며, 번호는 1~87, 111-2, 112, 201~223, 700, 700-1, 721, 754, 760, 760-1, 770-1번이 해당한다.

103, 103-1, 780, 780-1, 780-2번은 시내좌석버스로 되어있지만 차량 도색, 요금 등에서 간선버스와 차이가 없다.

대전광역시[편집 | 원본 편집]

누가 여기에 혼종을 풀었나... 간선과 지선이 통합해 간지선(??!)이라고 불리우고 있다. 넘버링은 무조건 3자리. 즉, 간선이든 지선이든 돌아가는 건 비슷비슷하다. 다만, 지선의 경우에는 초록색이고 간선의 경우에는 파랑색이다. 같은 초록색의 외곽 및 순환버스는 넘버링이 두 자리이다. 그나마 요 근래 들어오면서 대형버스는 간선계통으로 중형버스는 지선계통으로 밀고 가는게 많아 구별은 점차 쉬워지고 있다.

그래서 그런지 혼종 버스가 종종 보이기도 하며, 간선에 저상버스가 밀집되어 있다. 고 말하기가 좀 애매한 게 저상버스가 그렇게 많이 있는 것도 아니다. 최근 일부 회사에서 시내버스 차량을 새로 도입하면서 가죽 커버와 내부공간이 살짝 달라졌다.

파랑색이면 무조건 간선이고 초록색 3자리면 지선이다.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