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존증

의존증(依存症, 영어: Addiction) 또는 탐닉(耽溺)은 신체적, 정신적인 이유로 한 가지 일만을 반복적으로 하거나 그런 충동이다. 보통 그것을 하지 못하면 견디지 못하고 정상적인 생활이 어려울 정도여야 의존증이라고 부른다. 곧잘 중독이라고도 부른다.

의존증에는 물질 의존증과 행위 의존증이 있으며, 물질 의존증은 담배, , 마약 같이 물질 자체에 의존을 일으키게 하는 기능이 있어 생리 화학적 의존을 보이는 경우이고, 행위 의존증은 도박 의존증, 쇼핑 의존증, 인터넷 의존증처럼 그 자체에 중독을 일으키는 원인은 없지만 쾌락 중추를 자극해서 어떠한 행위나 과정에 의존증을 일으키는 것이다. 이 두 가지 종류의 의존증은 양쪽 다 내성금단증상이 있으며, 의존하기까지의 과정도 상당히 유사하기에 묶어서 다루게 된다.[1]

다만 어떤 것이 의존증을 불러일으키는지는 섣불리 판단하기 어려워 신중히 접근해야 하는데, 대한민국에서는 중독 예방 관리 및 치료를 위한 법률안으로 연구도 제대로 되지 않았고 DSM-5에도 정식으로 인정되지 않은 게임 중독을 핑계로 게임을 규제하려고 해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실제로 정신질환 진단의 매뉴얼의 최신 버전인 DSM-Ⅴ에서도 같이 다뤄지고 있다.
  2. 정식으로 존재하지는 않는다.
  3. 이것도 정식으로 존재하지는 않는다.
이 문서의 전체 혹은 일부는 중독 문서의 675288판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