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름

맑은 하늘에 떠 있는 구름

구름하늘에 떠다니는 하얀 물체들이다. 작은 물방울과 얼음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름의 생성 과정[편집 | 원본 편집]

지표면의 열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위로 상승한다. 위로 상승하는 공기는 기압이 작아져 부피가 팽창하는데, 부피가 팽창하면 온도가 떨어진다.[1] 이때, 온도가 이슬점보다 낮게 내려가면 수증기가 응결돼 물방울이나, 얼음이 되는데, 이것이 뭉친 것이다.

다만 이 과정에서 응결핵이라는 것이 필수적으로 필요한데 대기가 너무 깨끗해서 아무런 불순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증기는 포화, 또는 과포화된 상태로 존재하지만 수증기가 응결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실제로 실험실에서 특수한 조건으로 실험을 해 보면 불순물이 완전히 제거된 공기중에서는 상대습도가 420%에 이르러도 수증기 응결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반대로 대기중에 먼지나 연기, 소금 입자 같은 불순물이 많이 떠 있을 경우에는 불포화 상태의 습도여도 수증기 응결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2]

종류[편집 | 원본 편집]

구름을 과학적으로 분류하기 시작한 것은 1803년부터이다. 1856년에는 국제 기상회의에서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구름 도감을 발간하였는데 이를 기초로 하여 여러 차례 구름 분류법을 개정해 왔다. 현재 기상학에서 높이와 형상에 따라 열 가지 종류로 구분하는 것은 1956년 세계 기상 기구에서 《국제 구름 도감》을 발간하면서부터이다.

구분 고도 명칭 국제기호
상층운 5~13km 권운 Ci
권적운 Cc
권층운 Cs
중층운 2~7km 고적운 Ac
고층운 As
난층운 Ns
하층운 2km이하 층적운 Sc
층운 St
수직운 0.5~8km 적운 Cu
적란운 Cb

명칭 설명[편집 | 원본 편집]

구름은 높이와 형상에 따라 그 명칭을 부여한다. 우선 기본적으로 형상에 따라서 다음의 셋으로 분류한다.

  • 적운: 수직으로 솟는 모양
  • 층운: 옆으로 넓게 퍼지는 모양
  • 권운: 털모양이나 비로 쓸어낸 모양 상부 고도에서만 발생한다. 고도가 높아 물방울이 모두 얼음 상태로 있다. 얼음으로 된 구름인 셈.

여기에 높이에 따라서 명칭이 붙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두 가지 모양이 섞여나오는 경우는 다음과 같이 된다.

비를 뿌리는 구름의 경우 난(亂)자를 붙여준다.

이외에 비행기 구름이나 지진운 같이 특이한 형태를 가지는 구름이 있다.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표기[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부피가 팽창한 만큼 바깥을 밀어낸 셈이므로, 그만큼 바깥에 일을 해 준 것과 같다. 그래서 그만큼 에너지가 감소하여 온도가 떨어진다.
  2. 구름 : 두산백과 - 네이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