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번 국도

K03180417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3월 20일 (금) 22:33 판 (→‎구간: 광주 구간 추가)

틀:새 도로 정보

개요

완도에서 출발하여 금산까지 이어지는 국도이다.

주요 경유지

완도 - 해남 - 영암 - 나주 - 광주(송정리·첨단지구) - 담양 - 오수 - 장수 - 금산

고속도로 접속

구간

완도~영암 구간 (완도교차로~영암교차로)
교차로 접속도로 진출방향 소재지 차선 국도중첩
완도교차로 [[국도 제77호선|틀:작은국도번호]]완도로 강진, 신지 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
[[국도 제77호선|틀:작은국도번호]]장보고대로 당안리, 완도 왕복4차로
엄목교차로 청해진로 죽청리, 장보고기념관
농공단지길 농공단지, 경찰서, 해양바이오연구원
장좌교차로 청해진로 장좌리, 장보고기념관
대야2교 (대야천)
완도터널 (상왕산) 전라남도 완도군 군외면
불목교차로 청해진북로 영풍리, 불목리
영풍교 (영흥천)
교인교차로 청해진북로 완도수목원, 교인리
원동교차로 [[국도 제77호선|틀:작은국도번호]]청해진서로 당인리, 원동리
청해진로 황진리 국도 제77호선
완도대교 (남해)
남창교 (남해)
북평면사무소입구 교차로 달량진길 남창리, 북평면사무소 전라남도 해남군 북평면
남창교차로 [[국도 제77호선|틀:작은국도번호]]땅끝해안로 땅끝마을
틀:대한민국 도로 노선 번호백도로 강진, 미황사
구산1교 (구산천)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
황산교차로 현산북평로 미황사, 황산리, 구산리
성매교차로 틀:대한민국 도로 노선 번호땅끝해안로 땅끝
현산북평로 읍호리 지방도 제806호선
고담교차로[1] 백방산길 해남, 현산면사무소
백방산길 경수마을, 신방마을
일평교차로[2] 현산북평로 일평리, 현산면사무소
고현삼거리 현산북평로 현산면사무소
구시교 (현산천)
구시교차로 해남화산로 화산면
틀:대한민국 도로 노선 번호고산로 대흥사
구시터널 해남군 화산면
화산면진입로[3] 해남화산로 화산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해남화산로 해남
삼화교차로 북부길 진도, 고천암
북부길 두륜산, 고산운선도유적지
삼산교 (삼산천)
안동간이교차로 해남화산로 안동리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해남화산로 송정리
해남교차로 [[국도 제18호선|틀:작은국도번호]]공룡대로 팽목, 진도
땅끝대로 해남 국도 제18호선
평동교차로 틀:대한민국 도로 노선 번호고산로 해남
틀:대한민국 도로 노선 번호고산로 대흥사
신안교차로[4] 영빈로 해남, 경찰서
해남터널 (덕음산)
송운교차로 해남로 옥천농공단지, 해남교도소 전라남도 해남군 옥천면
[[국도 제18호선|틀:작은국도번호]]해남로 장흥, 강진
영신교차로 해남로 옥천농공단지, 해남교도소
(영신삼거리)[5] 영신길 영신리
신계교차로 해남로 신계
해남로 무안공항, 목포, 가학산휴양림
다산길 월평, 다산
신흥교 (월평천)
덕정교차로 해남로 성진, 계곡면사무소 전라남도 해남군 계곡면
해남로 신죽
법곡교차로 해남로 성진, 법곡
해남로 성전
선진교차로 해남로 장소
해남로 성전
월평1교 (월산천)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월산교차로 [[국도 제2호선|틀:작은국도번호]]녹색로 목포, 독천 국도 제2호선
월평교차로[6] [[국도 제2호선|틀:작은국도번호]]녹색로 보성, 성전, 강진IC
예향로 성전
(신안삼거리) 대월달마지길 대월
신풍삼거리 무위사로 월출산, 무위사
월남교차로 백운로 월출산, 경포대
사문로 작천
작천면입구 예향로 작천
풀치터널 (월출산)
(학송교차로) 틀:대한민국 도로 노선 번호예향로 작천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장흥교차로 틀:대한민국 도로 노선 번호장강로 장흥, 병영
쌍웅1교 (영암천)
천황사교차로 천황사로 월출산국립공원, 천황사
미륵동길 금정
쌍웅2교 (영암천)
춘양교차로 낭주로 영암
영암교차로 틀:대한민국 도로 노선 번호여운재로 영암
틀:대한민국 도로 노선 번호여운재로 금정, 영보
(역리교차로) 낭주로 영암
영암~나주 구간 (영암교차로~본덕교차로)
교차로 접속도로 진출방향 소재지 차선 국도중첩
(역리교차로) 낭주로 영암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왕복 4차로
덕진교 (영암천)
(덕진삼거리) 내촌길 덕진면사무소 전라남도 영암군 덕진면
덕진초교사거리 월출로 목포, 독천리
백운선로 금정, 영보리
청림삼거리 서리등로 도포
(남성촌삼거리) 향월유수동길 유수동
(수현삼거리) 산장산길 수현(산장산) 전라남도 영암군 신북면
(입비동삼거리) 입비동길 입비동
주암삼거리 원산로 도포
구장터삼거리 호산로 도포
영암전자과학고입구 교차로 황금동로 신북
신북면소재지교차로 마한문화로 공산, 반남고분군
황금동1길 금정
황금교 (삼포천)
(신북휴게소삼거리) 옥정길 옥정
오장성입구교차로 들소리로 오장성마을
원금수입구교차로 금교로 세지
(박망동삼거리) 박망동길 박망동마을
농공단지교차로 신북산단로 신북농공단지
죽동삼거리 틀:대한민국 도로 노선 번호세지로 세지 나주시 세지면 지방도 제820호선
(신원교차로) 신원봉학길 신원리 전라남도 나주시 왕곡면
석고길 석고마을
상사마을앞교차로 신가신원길 신가마을
양산삼거리 틀:대한민국 도로 노선 번호고분로 반남, 양산리
왕곡교차로 [[국도 제1호선|틀:작은국도번호]]틀:대한민국 도로 노선 번호빛가람장성로 목포, 무안
장산양산길 장산리
[[국도 제1호선|틀:작은국도번호]]틀:대한민국 도로 노선 번호빛가람장성로 광주, 남평, 혁신도시
장산사거리 [[국도 제23호선|틀:작은국도번호]]나주서부로 함평, 동강
영산포로 농산물공판장 국도 제23호선
운곡교 (만봉천) 전라남도 나주시
이창택지삼거리 풍물시장1길 영산포풍물시장
이창동삼거리 [[국도 제23호선|틀:작은국도번호]]금영로 보성, 장흥, 봉황, 세지, 영산강5경
영산대교 (영산강)
(영산대교사거리)[7] 영산포로 영산교, 영산포홍어거리
영산강변로 광주, 남평
영강사거리 영산포로 영산교
구진포로 목포, 면허시험장
나주역앞교차로 나주역길 나주역 왕복 6차로
(시청앞사거리) 시청길 시청, 교육지원청, 완사천
빛가람로 나주역
한국통신교차로 나주로 시외버스터미널
나주소방서앞 남고문로 남고문, 금성관 왕복 4차로
(경현교차로)[8] 영산로 목포, 무안
한수교 (나주천)
산정삼거리 영산로 광주(남구), 남평
정렬사입구 교차로 정렬사길 정렬사
대호길 남고문, 대호지구
동신대앞교차로 동신대길 동신대학교
틀:대한민국 도로 노선 번호노안삼도로 영광, 나주IC
석현삼거리 송현길 산정
청동길 나주경찰서
송현교 (장성천)
노안삼거리 노안로 노안, 노안농공단지, 노안역 전라남도 나주시 노안면
문화마을앞교차로 문화길 문화마을
용산마을앞교차로 학산용산길 승촌보
본덕교차로 틀:대한민국 도로 노선 번호빛가람장성로 장성, 영광 광주광역시 광산구
틀:대한민국 도로 노선 번호빛가람장성로 혁신도시
광주 구간 (본덕교차로~북광주 나들목)
교차로 접속도로 진출방향 소재지 차선 국도중첩
본덕교차로 틀:대한민국 도로 노선 번호빛가람장성로 장성, 영광 광주광역시 광산구
틀:대한민국 도로 노선 번호빛가람장성로 혁신도시 왕복 6차로
(동곡사거리) 동곡로185번길 동곡동주민센터
동곡본촌길 본촌마을
(동곡삼거리) 동곡로185번길 동곡동주민센터
하산교 (평동천)
관두사거리 동곡로 평동3차산단
동곡로212번길 유림마을
(하선삼거리) 평동산단로 평동2차산단
평동산단입구 교차로 평동산단6번로 평동산단
동곡로 광주송정역 왕복 4차로
송정2교 (황룡강)
(황룡삼거리) 송도로85번길 광주송정역
(도산삼거리) 도산로 도산동행복복지센터
(송광중학교앞 사거리) 송정로 광주송정역
송정로 송정로
(송정시장사거리) 내상로 영광, 호남대
내상로 공항
동부파출소앞 삼거리[9] 사암로 수완지구
송도로입구 교차로[10] [[국도 제22호선|틀:작은국도번호]]광산로 영광, 광주송정역 국도 제22호선
(신촌교차로) [[국도 제22호선|틀:작은국도번호]]상무대로 시청, 공항
송정고가차도
(소촌동사거리) 금봉로 소촌동
금봉로 광주자동차공업고등학교
우산사거리 우산로 시공무원교육원, 광주경찰서, 광주여대
우산로 상수도사업본부, 광산사업소
농공단지교차로 신북산단로 신북농공단지
(이마트앞 교차로)[11] 무진대로 광주여대
무진대로 극락강길
(어등초교앞 사거리)[12] 월곡산정로 광주여대
월곡산정로 월곡공원
사암로입구 교차로 목련로 용아로
목련로 운남2지구, 더불어락노인복지관
(대반초교앞 사거리) 산정공원로82번길 월곡2동주민센터
사암로340번길 운남2지구
흑석사거리 하남대로 임곡동, 상무대
하남대로 광주비엔날레관, 2순환도로, 운남지구, 영산강7경 왕복 6차로
(산단1번로입구 교차로) 하남산단1번로 하남산단1번로
수등로 신가지구, 농수산물유통센터
산단관리소사거리 하남산단4번로 하남산단4번로
장신로 신창지구, 2순환로
장덕동사거리 하남산단5번로 하남산단5번로, 진곡화물차고지
장덕로 열병합발전소, 수완인라인경기장
산단6번로입구 교차로 하남산단6번로 하남산단6번로, 삼성전자
왕버들로 신창지구, 솔빛마을
하남교 (풍영정천)
산단7번로입구 교차로 하남산단7번로 경제고용진흥원, 하남산단7번로
광주경제고용진흥원 교차로 하남산단8번로 하남산단8번로
산단9번로입구 교차로 하남산단9번로 임곡동, 하남산단9번로
광산교차로 비아중앙로 비아시장, 신창지구
광산IC
비아지하차도
(신동아아파트사거리) 비아동원촌길 비아동주민센터
첨단중앙로181번길 월계중학교
(비아중앞 삼거리) 첨단중앙로181번길 월계동
과학기술원앞 교차로 과학기술원 GIST
첨단중앙로 TBN교통방송, 광주식약청, 디자인센터
(전자통신연구원앞 삼거리) 첨단과기로176번길 디자인센터, 광주식약정, TBN교통방송
(광주과학고앞 삼거리) 첨단과기로208번길 정부합동청사 광주광역시 북구
(국립광주과학관앞 사거리) 첨단과기로 광산업단지, 광주테크노파크
앰코로 어린이교통공원, 우편집중국
광주재활훈련원앞 교차로 삼소로 과학기술원후문, 치촌마을
(대촌마을앞 교차로) 첨단벤처로 광주테크노파크, 광산업단지
(고내입구 교차로) 불태2로 월정마을
삼소로270번길 광주이노비즈센터
(금당마을앞 교차로) 추암로 광산업단지
(해산마을입구 교차로) 원용산로 해산마을 왕복 4차로
신룡교차로 신룡길 신룡마을
월출교차로 삼소로 응용리
우치로 우치공원
빛고을대로 동림IC
북광주IC 틀:대한민국 도로 노선 번호고창담양고속도로 고창 전라남도 담양군 대전면
틀:대한민국 도로 노선 번호고창담양고속도로 순천

광주 구간도 나주 구간과 별반 다르지 않다. 송정리 일대를 가로지르는 도로이다. 광산구 동곡동 본덕 교차로에서 49번 지방도와 교차한다. 이 교차로를 지나며 왕복6차로로 넓어진다. 동곡동 평동산단입구 교차로에서 공항 방향으로 우회전한다. 동시에 다시 왕복4차로로 좁아진다. 송정동 송도로입구교차로에서 22번 국도와 교차한다. 이 교차로에서 시청 방향으로 우회전한 후, 광산IC 방향 우측 도로로 빠진다. 반대 방향의 경우 송정고가차도로 바로 연결된다. 흑석동 흑석사거리부터 왕복6차로로 넓어진다. 첨단동 광산IC에서 호남고속도로와 교차한다. 이후 바로 비아지하차도로 들어간다. 북구 오룡동 광주과학관 앞에서 담양 방향으로 좌회전한다. 그 다음, 광주재활훈련장앞 교차로에서 담양 방향으로 우회전한다. 건국동에서 왕복4차로로 좁아진다. 월출동 월출교차로에서 담양 방향으로 좌회전한다.

광주에서 담양으로 넘어오자 마자 담양군 대덕면 북광주IC에서 호남고속도로와 교차한다.
담양~옥과 구간 (북광주 나들목~평장삼거리)
옥과~오수 구간 (평장삼거리~남악교차로)
오수~장수 구간 (남악교차로~장수교차로)
장수~금산 구간 (장수교차로~양전교차로)

대체 도로

주로 낙후된 지역을 지나가는 도로이기 때문에 대체도로가 적은 편이다.

  • 완도-해남
    완도와 해남을 잇는 도로는 13번 국도가 거의 유일하다. 일단 완도와 해남을 잇는 교량이 완도대교 밖에 없다. 하지만 완도에서 강진 방향으로 가려면 77번 국도인 고금대교를 이용할 수 있다.
  • 나주 시내 구간
    빛가람장성로. 왕곡면 왕곡교차로에서 1번 국도로 갈아탄 후, 금천교차로에서 빠지지 않고 직진하면 본덕교차로에서 다시 13번 국도를 탈 수 있다. 이렇게 가면 나주 시내를 우회해서 통과할 수 있다.
  • 광주 시내 구간
    하남진곡산단로. 평동산단입구에서 직진하면 된다. 신호등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중간에 신호등 없는 구간이 꽤 길다. 재활훈련원앞에서 다시 13번 국도를 탈 수 있는데, 여기서도 직진이다.
  • 담양-순창
    13번 국도가 순창을 겉도는 노선인데, 순창을 통과하는 24번 국도를 이용하면 훨씬 빠르게 지나갈 수 있다. 또, 광주대구고속도로도 대체도로로 적합하다.
  • 오수-금산
    순천완주고속도로-새만금포항고속도로-호남고속도로-호남고속도로지선-대전남부순환도로-통영대전고속도로 라는 고속도로 루트가 있다.
  • 장수-금산
    장수부터 금산까지는 통영대전고속도로와 나란하니 고속도로쪽을 이용하는 것이 훨씬 빠르다.
  • 완도-금산 (전 구간)
    13번 국도가 반듯하지 않기 때문에 다른 대체도로들을 이용하는 것이 더 좋다. 완주나 진안 쪽에서 금산군 가는 길이 그다지 좋지 않으니 대전 쪽으로 돌아서 가는 쪽이 낫다. 13번 국도를 타고 광주까지 가면서 평동산단입구에서 우회전하지 않고 쭉 북광산IC까지 직진해서 호남고속도로를 탄다. 그 후 논산에서 호남고속도로지선으로 갈아타서 대전까지 이동, 대전남부순환도로를 타고 산내JC에서 통영대전고속도로로 갈아탄다. 그 후 금산IC에서 내리면 바로 금산읍내로 연결된다. 익산이나 완주에서 내려서 17번 국도를 타면 좀 더 직선에 가까워지기는 한데, 주행시간은 늘어날 듯.

기타

금산군을 제외한 모든 구간이 전라도 내에 있다. 금산이 전라북도에서 충청남도로 넘어가지 않았다면 전 구간 전라도 내에 있는 노선이 됐을 것이다.

13번 국도는 대체할만한 고속도로 노선이 없다. 하지만 추후 강진광주고속도로가 개통되면 77번 국도와 연계해 13번 국도 완도-광주 구간을 대체할 예정이다.


각주

  1. 13번 국도 완도 방향에서 백방산길 양방향 진출만 가능
  2. 13번 국도 해남, 금산 방향에서만 진출 가능, 13번 국도 완도 방향으로만 진입 가능
  3. 13번 국도 완도 방향에서 해남화산로 화산 방향으로 진출만 가능
  4. 13번 국도 완도 방향에서만 진출 가능, 13번 국도 영암, 금산 방향으로만 진입 가능
  5. 신호등 없는 평면교차로이다. 횡단보도도 있으니 주행 시 주의.
  6. 13번 국도 영암, 금산 방향에서만 예향로 성전 방향 진출입 가능. 그 외 모든 방향 통행 가능
  7. 13번 국도 양방향에서 좌회전 불가
  8. 13번 국도 광주, 금산 방향에서 영산로 진출 불가, 영산로에서 13번 국도 영암, 완도 방향으로 진입 불가
  9. 교차하는 도로(사암로)가 진출만 가능한 일방통행로이다.
  10. 13번 국도 송정, 완도 방향과 22번 국도 영광 방향은 쌍방 진행 불가.
  11. 전 방향에서 좌회전 불가
  12. 13번 국도 담양, 금산 방향에서 월곡산정로 광주여대 방향으로 좌회전 불가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
남북축
동서축
† : 전 구간이 북한에 있는 노선. 가로줄 : 폐지된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