셋톱박스

Mykim5902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2월 21일 (금) 11:05 판 (→‎이야깃거리)
삼성전자 QAM256 셋톱박스
8VSB 셋톱박스

셋톱박스 또는 셋탑박스(Set-top Box)는 텔레비전이나 모니터에 연결하는 영상 소스 중 VCR이나 DVD 등의 미디어 재생기를 제외한 부류를 말한다. 주로 유료방송 변환기를 말한다.

기능

  • 유료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방송, IPTV 등의 방송 신호를 받아 컴포지트, 컴포넌트, HDMI, 아날로그 RF 신호 등으로 변환한다. 디지털 전환 이후 아날로그TV는 무료인 지상파 디지털 방송을 보기 위해서라도 셋톱박스가 필요하다.
  • 방송녹화(DVR)
    유료방송 수신에 곁다리로 들어있는 기능으로, 하드디스크USB 메모리에 방송을 녹화할 수 있다. 저작권 관리를 위해 DRM이 적용되는 경우가 많아 외부 반출은 어렵다.
  • 스마트TV
    안드로이드TV, 애플TV 등 다양한 어플을 구동할 수 있는 부류를 말하며 유료방송 셋톱박스도 차츰 이 기능을 도입하는 추세다.

이야깃거리

  • 대기전력
    케이블 방송, 위성방송 셋톱박스는 대기전력을 좀 많이 먹는 편이다. 이는 신호변환기인 튜너와 관계있는 부분으로 케이블과 위성방송은 방송신호가 아날로그로 들어오기 때문에 여기서 디지털 신호를 분리하는 작업을 해야 해서 튜너가 꼭 달려있다. 문제는 튜너가 초기 부팅이 좀 오래 걸리는 부품이라서 완전히 꺼버리면 TV 보려고 수 분 기다리는 참사가 벌어진다. 그래서 셋톱을 끄더라도 튜너는 전원을 넣은 채로 대기하며 여기서 대기전력이 많이 나간다. IPTV는 인터넷 신호가 디지털이므로 해당사항이 없다.
  • 임대와 수거
    유료방송을 시청하는 세대는 사업자로부터 셋톱박스를 "임대"하여 사용한다. 3년 정도 납부하면 임대료가 면제되는 데, 이때도 오래 써줘서 할인해주는 것이지 소유권이 넘어오는 게 아니다. 또한 상품을 해지하면 셋톱박스 및 부수기재(리모컨, 전원어댑터 등)를 사업자가 수거해가는 데, 분실시 변상해줘야 한다.
  • 인터넷 포트
    양방향 서비스가 중요해진 이후로 케이블 셋탑과 위성 셋탑에도 LAN포트가 달려나오기 시작했다. 다만 이것의 용도는 케이블 방송과 위성방송이 서로 다르다. 케이블 방송은 셋탑을 인터넷 모뎀으로 사용하여 인터넷을 뿌려줄 때 사용하며, 근래 경제형 와이파이 서비스가 등장한 이유와 일맥상통한다. 위성방송은 근본적으로 양방향 서비스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양방향 서비스를 위해 외부 인터넷 서비스를 끌어들일 때 사용하며, 스카이라이프의 경우 와이파이도 내장하고 있다.

같이 보기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