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례군

K03180417 (토론 | 기여)님의 2018년 10월 8일 (월) 20:38 판

틀:기초자치단체

구례군전라남도 동북부에 위치한 군이다. 동쪽으로는 경상남도 하동군, 서쪽으로는 곡성군, 남쪽으로는 순천시광양시, 북쪽으로는 전라북도 남원시에 접해 있다.

개요

역사

  • 백제시대에는 구차례현이었다.
  • 통일신라시대에 구례현이 되어 곡성군에 속했다.
  • 1895년 남원부 구례군아 되었다.
  • 1896년 전라북도 구례군으로 개편했다.
  • 1906년 남원군 산동면·중방면·소의면·고달면이 구례군에 편입되었다. (9면)
  • 1914년 전라북도에서 전라남도로 이관되었다.
  • 동시에 고달면이 곡성군에 편입되었다. (8면)
  • 1932년 외산면, 내산면을 산동면으로 합면하였다. (7면)
  • 1946년 간문면을 간전면, 문척면으로 환원하였다. (8면)
  • 1963년 구례면이 구례읍으로 승격하였다. (1읍 7면)

지리

군 북동부는 지리산국립공원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지리산 덕에 높고 험준한 지형을 자랑한다. 비단 북동부만 그런 것이 아니라 군내를 제외한 거의 모든 지역에 수많은 산들이 있다. 또한 군 전체를 산들이 둘러싸고 있는 분지 지역이다. 덕분에 구례를 지나는 고속도로는 터널과 교량으로 떡칠이 되어있고 국도는 터널과 급경사가 잦다. 섬진강이 구례읍 아래로 흐르다 남부를 동서로 관통한다. 날씨는 비가 많이 오고, 여름과 겨울은 기온차가 크다.

행정 구역

틀:구례군의 행정 구역 구례군의 행정 구역은 1읍 7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군 중심지는 당연히 군청이 있는 구례읍이며, 산지가 많은 구례군 특성상 군 전체 인구는 전남 최하위지만 구례읍 인구는 어느 정도 된다. 구례읍의 위치는 구례군 남서부에 치우쳐져 있다.

교육

교통

도로

고속도로는 순천완주고속도로가 지나가며 남으로 순천, 북으로 남원 방향이다. 용방면에 구례화엄사IC가 있다. 순천쪽으로 가면 황전IC도 가까우니 참고.

국도는 17번 국도 (여수시~용인시), 18번 국도 (진도군~구례군), 19번 국도 (남해군~홍천군)가 있다. 남원쪽으로 19번 국도, 순천쪽으로 17번 국도가 주요 도로이다.

순천완주고속도로의 개통으로 순천, 전주, 남원와의 도로 교통이 많이 개선되었으나 전라남도에 속함에도 광주와의 도로교통이 영 아니다. 구례-곡성을 주파하는 이렇다 할 도로가 없기 때문에 남원까지 올라가서 고창담양고속도로로 갈아타거나 순천까지 내려가서 호남고속도로를 이용해야 한다. 더 놀라운 건 광주에 갈 방법 중 도로를 이용하는게 가장 빠르다는 것.

철도

구례군 내에 철도는 없지만, 코앞인 순천시 황전면에 전라선 구례구역이 있다. 사실상 구례군민과 관광객을 위한 역. 남쪽으로 여수 방향, 북쪽으로 익산 방향.

경제

주 경제 기반은 농업이다. 보통 산비탈이나 섬진강 유역에 농사를 짓는다. 쌀 생산량이 많고, 높은 지대에서는 고랭지 채소를 재배한다. 또한 산지에서 나는 꿀, 버섯, 약재 등이 많이 생산된다. 그 외 산업으로 화엄사, 노고단같은 관광산업이 있다.

주요 기관

문화·관광

출신 인물

자매 도시

기타

전남 중 최하위 인구를 기록하고 있다. (27000명)

흔한 산골 고을이지만 위아래로 도시들이 둘러싸고 있다. 바로 순천시, 광양시, 남원시. 특히 순천시와 교류가 많다. 또한 하동군과는 화개장터에서 만나는 지역(하동, 광양, 구례)이며, 남원시와는 현재는 교류가 많이 줄었지만 과거에는 남원의 속현이었을 정도로 남원과 가까운 사이였다. 반면 곡성군과는 이웃하지만 산맥으로 차단되어 있다. 오히려 곡성은 남원과 가까운 편이다.

바깥 고리

틀:지리적 위치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