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휴면유동닉 (토론 | 기여)님의 2015년 4월 22일 (수) 01:47 판 (형성자의 예로 뜻부분이 변에 온 것만 들고 있어서 좀 바꾸어 보았습니다.)

한자(漢字)는 고대 중국에서 만들어져서 현재까지 쓰이고 있는 표어 문자이다. 중국 신화에 따르면 창힐이 새의 발자국을 보고 창제했다고 한다.

중국어일본어는 한자를 활발히 사용하며, 한국어는 한자를 보조적으로 사용한다. 베트남어는 한자를 완전히 폐지하고 라틴 문자로만 적는다.

이 文章과 같이 韓國語를 表記할 때 漢字를 混用하는 文體를 國漢文混用體라고 한다.

한자의 분류

한자는 흔히 그 구조와 사용에 따라 아래와 같이 여섯 가지 분류로 나뉘며, 이 여섯 분류를 육서(六書)라고 한다.

  • 상형(象形): 사물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글자이다. 日, 月, 木, 馬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 지사(指事): 추상적인 개념을 나타내는 글자이다. 上, 下, 一, 二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 회의(會意): 둘 이상의 글자를 합쳐서 새로운 개념을 나타내는 글자이다. 信, 武, 林, 明, 休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 형성(形聲): 뜻(形)을 나타내는 부분과 소리(聲)를 나타내는 부분을 합쳐서 만든 글자이다. 대다수의 한자는 여기에 해당된다. 예로서 河, 梅, 刊, 梨, 魔 등이 있다.
  • 전주(轉注): 글자의 뜻을 확장해 다른 뜻으로도 쓰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樂의 본래 뜻은 '음악' 하나였으나, 이것이 확장되어 '즐겁다'와 '좋아하다'라는 뜻도 가지게 되었다.
  • 가차(假借): 단어는 존재하나 그 단어를 적을 마땅한 글자가 없을 경우, 이미 존재하는 글자 중 발음만 같은 글자를 차용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來는 본래 보리를 본뜬 상형 문자이나, 이 단어가 고대 중국어에서 ‘오다’를 뜻하는 말과 발음이 같자 來를 ‘오다’라는 말을 표기하는 데 쓰기 시작했다. 自도 본래 사람의 를 본뜬 상형 문자이나 가차로 인해 '스스로'라는 뜻으로 쓰이게 되었다.
가차가 일어난 경우 그 글자의 본뜻을 가리키는 새로운 한자가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다. 來의 경우 보리를 뜻하기 위한 다른 한자 麥이 생겨났고, 自의 경우 코를 뜻하기 위한 다른 한자 鼻가 생겨났다. 麥에 來가, 鼻에 自가 들어 있음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