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하계 위키

아라 (토론 | 기여)님의 2015년 6월 15일 (월) 01:44 판

틀:토론중임

개요

엔하계 위키2007년 3월에 개장한 엔하위키(現 리그베다 위키)에 영향을 받아서 나타난 위키위키 사이트의 통칭을 일컫는다.

역사

2007.03.01 엔하위키(現 리그베다 위키) 개막
2010.05.23 엔하위키 미러 개설
2013.01.31 엔하위키, 리그베다 위키로 명칭 변경
2013.09.30 제2대 엔하위키(설정위키) 개설
2015.04.08 리그베다 위키 사유화 사태 발발
2015.04.16 리브레 위키 개설
재지키 개설[1]
2015.04.17 리그베다 위키 4·17 무정부 사태 발발
나무위키 개설
2015.04.18 오리위키 개설
2015.04.24 디시 위키 프로젝트 갤러리 개설
2015.04.25 리그베다 위키 폭발
나무위키 미러 개설
2015.05.14 리그베다 위키-엔하위키 미러 가처분 신청 결정문이 떨어짐으로써 엔하위키 미러의 존속이 위험해졌다.
2015.05.17 리그베다 위키 서버 복구
2015.06.01 디시 위키 개설
2015.06.08 엔하위키 미러 폐쇄
엔하위키 미러를 잇는 새로운 메타 위키 미러 개장

특징

디시 위키와 제 2대 엔하위키를 제외한 모든 위키위키들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지니고 있다.

  • 서브컬쳐를 비롯한 덕력이 필요한 항목을 주로 다루며
  • 취소선 등이 유머용, 사견 등으로 쓰이며
  • (...)를 자주 쓰고
  • 각종 유행어를 사용해 문서의 가독성을 높이려 한다.

다만 이러한 특징들이 도리어 가독성을 저해시킨다는 비판이 있다. 적당히 쓰자

종류

최초

리그베다 위키 사유화 사태 이전부터 운영

리그베다 위키 사유화 사태 이후 생성

드립용

여담

리브레 위키에서는 엔하계 위키라고 불리는 데에 거부감을 표시하지 않는다. "우리가 엔하계 위키지 무슨 위키냐?"하는 분위기.[3] 이에 비해 나무위키에서는 다음 대화내용에서 보듯 엔하계 위키로 분류되는 것에 강한 거부감을 보이는 분위기다.[4]

A: 그래서 28만 개 문서는 다 어디서 갖고 온 건지요?
B: 우리가 빼앗긴 것들을 탈환해 온 겁니다.
A: 그래서 그 28만 개 문서가 어디서 작성되고 유포됐었냐구요. 말 돌리지 마시고.
B: 우리 것인줄 알았던 위키에서 작성되고 유포되었죠.
A: 진짜 끝까지 감정으로만 호소하지 말고 똑바로 말하세요. 왜 엔하라고 말을 못합니까.
B: 네, 리그베다에서 작성되고 유포되었죠. 그리고 우리가 그곳의 항목을 가져왔다는 이유로 같은 취급을 하시려는겁니까?
A: 계통으로 계보를 분류했다고 해서 '같은 취급'까지 가는 건 너무 멀리 가셨습니다.
B: 먼저 우리와 저자들은 지향하는게 다르니까요. 같은 계보에 들어갈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엔하계 위키 문서 복구하겠습니다, 나무위키 토론게시판, 2015.05.18.

리그베다 위키의 문서를 포크해간 나무위키에서 '엔하계 위키'라는 분류에 거부감을 보이고, 오히려 제로베이스에서 시작한 리브레 위키에서는 별 거부감이 표출되지 않는 현상은 상당히 흥미롭다. 이에 관해서는 '리그베다를 포크했다는 점이 일종의 콤플렉스로 작용해 오히려 더욱 리그베다를 부정하게 되는 것'이라는 분석이 있다.

각주

  1. 리그베다 위키의 대체재로서는 리브레 위키보다 먼저 출범하였으나, 모종의 사건으로 폐쇄 되었다.
  2. 참조
  3. 익명게시판
  4. '엔하계' 검색결과, 나무위키 게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