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천선진리성

27.102.130.199 (토론)님의 2021년 6월 8일 (화) 16:28 판

틀:문화재 사천선진리성(泗川船津里城)은 경상남도 사천시 용현면 선진리에 있는 정유재란일본군(日本軍)이 쌓은 일본성곽(왜성)이다. 일제강점기때 1936년 5월에는 고적 제81호로 지정됐으며, 그 후 1963년 1월 21일 사적 제50호로 지정되었으나 왜성이라는 이유로 1998년 9월 8일 경상남도의 문화재자료 제274호로 격하되었다.

현지 안내문

경상남도 사천시 사천읍 선진항의 북방에 있는 이 성은 삼면이 바다에 접하고 동쪽만 육지에 닿아 있는 반도 지형에 세워졌다.[1]

조선시대에는 항구로 유명했으며 선진이 설치되기도 하였는데, 선진은 싸움터에서 앞장서는 군대를 뜻한다. 『읍지』와 『대동지지』의 기록을 보면 이 선진에는 전함이 1척, 병선이 1척, 하후선이 2척 있었다고 하여, 삼천진이라 불렸다. 선조 30년(1597)에 왜의 석만자가 이곳에서 지내면서 울산의 도산, 순천의 왜교와 더불어 3굴이라 불렀다고 한다.[1]

임진왜란 당시 왜군이 지은 성으로, 규모나 구조면에서 볼 때 활동의 주요 근거지로 만들어진 것이며, 이순신 장군에 의해 격파 당하기도 하였다. 현재 흙으로 쌓은 성벽이 1㎞ 가량 남아 있으며, 돌로 만든 누(樓)는 무너졌으나 대체로 성의 규모대로 터가 남아 있다.[1]

개요

사천선진리성은 사천읍에서 약 7km 서남쪽에 위치한 평산성이다. 바다와 가까운 지리적 이점 때문에 고려 시대부터 조창이 설치되어 주변에 토성을 쌓았다. 널리 알려지게 된 계기는 임진왜란 때 일본군이 조창 터에 왜성을 쌓아 주둔하였고, 뒤이어 정유재란 때 성주변에서 일본군과 조명연합군의 큰 싸움이 있었기 때문이다. 현재 성 주변은 선진공원으로 정비되었고, 일부는 농지로 변해있다. 두 차례의 시·발굴조사에서 왜성의 성벽(석원)이 확인되었으며, 500×600cm의 북곽이 딸린 ‘ㄱ’자 형태의 천수각과 폭 150cm의 문설주가 설치된 왜성 문지(호구), 주거지 2기, 수혈 70여기가 조사되었는데 목책열로 추정된다. 출토유물은 와편이 주류를 이루고 문양은 무문양, 사격자문, 복합문, 어골문 등이 시문되어 있다.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이 지은 왜성으로 선진항 북쪽 야트막한 언덕 위에 세워져 있다. 임진왜란의 후반부라 할 수 있는 정유재란 당시 지휘관 모리 요시나리(毛利吉城)에 의해 1597년 10월 29일부터 12월 27일까지 불과 2개월에 불과한 기간동안 축조한 성곽으로 당시 성의 수비대장은 시마즈 요시히로(島津義弘)였으며 1만명 정도의 병력과 함께 주둔하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성은 동편을 제외한 3면이 바다로 둘러싸여있었다. 해안가에 위치한 언덕인 점을 활용하여 고지 정상에 동서 약 18m, 남북으로 약 20m정도 크기의 아성을 쌓고 그 남쪽으로 장방형의 딸림성곽을 연결한 성곽이다. 아성의 북쪽에는 소규모의 천수각이 있던 터가 있다.

성 전체에서 석축으로 완성된 부분은 아성과 서측의 성벽 일부이며 나머지는 초석과 토성으로 축조된 부분이 대부분으로 그 외의 대부분은 토성으로 축조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일제강점기 당시 이 성은 당시 일본군이 승전한 곳이라 하여 중요하게 여겨졌었으며 현재의 사적급에 해당하는 고적 제81호로 지정되었으며 해방 이후인 1963년 문화재 정비 당시 사적 제50호로 지정되었으나 1998년 왜성이라는 이유로 격하되어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274호로 변경 고시되었다.

일제강점기 당시 이 성의 지휘관이었던 시마즈 씨의 집안 후손들이 성 일대를 구매하거나 일제로부터 불하받아 공원으로 사용하고 천수각 터 자리에 자신들의 조상인 시마즈 요시히로를 기리는 비석을 세웠었다. 그러나 이 석비는 해방 후 마을 주민에 의해 파괴되었으며 현재 이 자리는 한국전쟁 중 순국한 공군장병의 위령비인 충령비가 세워져 있다.

사진

기타

  • 본래 이 성은 고려시대에는 통양창성이라는 창성이 자리하고 있었다. 현 왜성터는 당시 축성한 토성 터 위에 세워진 것이다. 애초에 이 일대에 돌이 많지 않은 상황에서 급하게 축성을 해야 하는 상황이다보니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런 이유로 형태는 일본식인데 축성방식은 전통 한국 축성법인 외축내탁의 형상에 비스무리하게 된 부분이 꽤 보인다.
  • 인근에 임진왜란 당시 싸우다 전사한 조명 연합군을 합장한 사천조명군총이 있다.
  • 임진왜란 이후 왜성을 다시 사용한 경우는 거의 없지만 이쪽은 숙종 당시 삼천진을 설치하고 전선1척, 병선 1척, 하후선 2척을 배치한 군진으로 사용하였다. 이 진은 구한말 당시 통제영을 포함한 전 군영이 해체될 때 해체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현재 일부 복원된 부분은 성 전체가 아니라 본환(本丸-혼마루)부 일부분이라 한다. 아마 동편 언덕 아래 적어도 목책과 참호 수준 이상의 방어시설이 있었을 것으로 짐작하고 있으며 다층방어를 하는 일본 성의 특성상 북쪽에도 외성과 성문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이 성 서편의 사천만은 이순신 장군의 2차 출병 당시 처음으로 거북선을 사용한 사천해전이 벌어졌던 곳이다. 이런 이유로 왜성 안쪽 바다가 보이는 부분에 사천해전승첩기념비를 세워놓고 있다.

각주

  1. 1.0 1.1 1.2 현지 안내문 인용
Wikipedia-ico-48px.png
이 문서는 한국어 위키백과사천선진리성 문서에서 분기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