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시 시내버스

K03180417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4월 11일 (일) 13:54 판 (전체 노선이 한 번에 보이도록 표 수정. 대한민국 시내버스 틀 추가. 정류장 이름으로 노선명 통일. 시내→서시장 / 오동도→오동도입구 / 윗길→중앙여고 / 아랫길→삭제 / 국동→삭제 / 롯데마트→롯데마트, 경도선착장 / 웅천지구→웅천지구, 꿈에그린A / 여천→국민은행 / 시청→부영3차 / 화양면 경유지 나진, 화동으로 통일 / 돌산읍 경유지 평사, 죽포, 군내로 통일)

대한민국 전라남도 여수시에서 운행하는 시내버스여수여객, 오동운수, 동양교통, 광우고속 4사에서 운행한다. 관외업체인 광우고속33번과 330번[1] 한 대만 고정으로 배차하고, 나머지 관내업체에서 그 외 노선을 10일씩 교환배차한다.

여수시의 버스 노선의 특징으로 윗길과 아랫길이 있는데, 윗길은 오림삼거리에서 중앙여고 쪽을 통해 여수시가지로 들어가는 충민로이고, 아랫길은 오림삼거리에서 시민회관쪽을 통과하여 여수시가지로 들어가는 좌수영로이다. 대부분의 노선이 윗길또는 아랫길(또는 둘 다)을 경유한다.

운임

일반 중고생 초등생
현금 카드 현금 카드 현금 카드
1,500원 1,250원 1,200원 900원 750원 100원

보호자와 동승하는 만6세 이하 어린이 1명은 무료탑승이며, 보호자 없이 탑승하거나 2명째 어린이 부터는 초등학생 요금을 받는다.

카드를 이용할 경우 60분 이내 환승시 무료 환승된다(동일 노선 제외). 다인승으로 찍을 경우에는 무료 환승은 안 된다.

순천시광양시로 가는 노선도 존재하지만 따로 시계외요금을 받지 않는다[2].

차량

노선 목록


시내 방면

노선 번호가 1글자거나 숫자가 모두 같은 3글자(ex: 555)인 버스들이 시내 방면 버스에 해당한다. 노선이 다양하고 타 버스들과는 다른 독자적인 노선을 가지기도 한다. 구 여수시, 즉 시내 인근 지역을 종점으로 하는 버스들이다. 하지만 7번 연장 노선, 666번과 999번의 경우 다른 지역을 지난다.

타지에서도 보통 그렇지만 333이나 777 등은 "삼백삼십삼번"보다 "삼삼삼"으로 읽는 경우가 많다.

노선표에 연장노선은 따로 표기하지 않는다.

번호 노선
2 신월↔서시장↔오동도입구↔여수엑스포역
5 신월↔경도선착장↔서시장↔중앙여고↔전남대여수캠퍼스↔신동아A
6 미평↔서시장↔힐스테이트(→만흥파출소/←만성리←전남대여수캠퍼스)
7 미평↔서시장↔힐스테이트↔만성리↔오천
333 미평↔부영9차↔여서동R↔중앙여고(→오동도입구→여수엑스포역/←여수엑스포역)
555 미평↔중앙여고↔해양공원↔서시장(→부영9차→여서동R/←여서동R)
666 구봉시영A↔서시장↔중앙여고↔전남대여수캠퍼스↔아주타운A↔여천역↔시청
777 신월↔서시장↔여서동R↔전남대여수캠퍼스↔남해화학사택
999 봉수→무슬목→우두출장소→돌산대교→시내→윗길→미평

화양 방면

화양면으로 가는 버스들이다. 2X번 버스 12개 노선이 해당된다. 모든 노선이 미평차고지에서 출발하여 여수와 여천을 한 번 돌고 화양면으로 들어간다. 이 중 25, 26-1, 29번은 순환노선이며, 27번은 약간 다르게 소호동을 경유한다. 28번은 유일하게 종점이 화정면 (백야리)이다.

번호 노선
21 미평↔서시장↔중앙여고↔국민은행↔죽림↔나진↔화동↔서연
22 미평↔서시장↔중앙여고↔국민은행↔죽림↔나진↔산전
23 미평↔서시장↔중앙여고↔국민은행↔죽림↔나진↔화동↔석교
24 미평↔서시장↔중앙여고↔국민은행↔죽림↔창무↔나진
24-1 미평↔서시장↔중앙여고↔국민은행↔죽림↔창무↔석교
25 미평↔서시장↔중앙여고↔국민은행↔죽림(→나진→석교/←창무←석교)
25-1 미평↔서시장↔중앙여고↔국민은행↔죽림↔나진↔오천
26 미평↔서시장↔중앙여고↔국민은행↔죽림↔나진↔화동↔벌가
26-1 미평↔서시장↔중앙여고↔국민은행↔죽림↔나진↔화동(→서촌→장등/←세포←장등)
27 미평↔서시장↔중앙여고↔국민은행↔소호↔나진↔화동↔장등
28 미평↔서시장↔중앙여고↔국민은행↔죽림↔나진↔세포↔백야
29 미평↔서시장↔중앙여고↔국민은행↔죽림↔나진↔화동(→세포→장등/←서촌←장등)

율촌 · 소라 방면

율촌면, 소라면으로 가는 버스이다. 3X번, 9X번 12개 노선이 해당된다. 대체로 3X번 버스는 율촌, 9X번 버스는 소라면으로 간다. 그리고 3X번은 구 17번 국도인 여순로, 9X번은 죽림을 통해 863번 지방도를 이용한다. 예외로, 37번38번은 각각 여천동과 주삼동을 간다.

번호 노선
31 신월↔서시장↔중앙여고↔국민은행↔여천역↔덕양↔여수공항↔조화↔두암
32 신월↔서시장↔중앙여고↔국민은행↔여천정류장↔덕양↔여수공항↔조화↔신대마을(월산)
33 미평↔서시장↔중앙여고↔국민은행↔여천역↔덕양↔여수공항↔조화↔당두
34 미평↔서시장↔중앙여고↔국민은행↔여천정류장↔덕양↔여수공항↔조화
35 미평↔서시장↔중앙여고↔국민은행↔여천역↔덕양↔여수공항↔애양원
36 미평↔서시장↔중앙여고↔국민은행↔여천역↔덕양↔봉두↔영락공원
37 미평↔서시장↔중앙여고↔국민은행↔여천역↔여천정류장↔해산↔임대산단
38 미평↔서시장↔중앙여고↔국민은행↔담배인삼공사↔군장
90 신월↔서시장↔중앙여고↔국민은행↔죽림↔섬달천↔궁항↔두봉
91 신월↔서시장↔중앙여고↔아주타운A↔덕양↔죽림↔궁항↔두봉
93 신월↔서시장↔중앙여고↔아주타운A↔덕양↔복산↔섬달천
95 신월↔서시장↔중앙여고↔국민은행↔죽림↔대곡
330 미평↔서시장↔중앙여고↔국민은행↔여천역↔덕양↔여수공항↔율촌↔순천역

삼일 방면

삼일동으로 가는 버스들이다. 61, 62, 68, 73, 76번 5개 노선이 있다. 일반적인 경로인 아랫길-윗길 순서가 아니라 윗길-아랫길 순서로 시내를 경유한다.

번호 노선
61 둔덕↔중앙여고↔서시장↔신월↔웅천지구↔국민은행↔여천역↔묘도
62 미평↔중앙여고↔서시장↔신월↔웅천지구↔국민은행↔여천역↔흥국사↔묘도
68 둔덕→중앙여고→오동도입구→서시장→롯데마트→신월→웅천지구→부영3차→여천역→월앙→적량→라온유A→서시장→오동도입구→중앙여고→둔덕
73 미평↔중앙여고↔서시장↔라온유A↔상암↔신덕
76 미평→중앙여고→오동도입구→서시장→라온유A→적량→월앙→여천역→부영3차→웅천지구→신월→롯데마트→서시장→오동도입구→중앙여고→미평
610 둔덕↔중앙여고↔서시장↔신월↔웅천지구↔국민은행↔여천역↔묘도↔광양시청

여천 방면

화장동, 소호동 등 구 여천시 지역으로 가는 버스 노선이다. 8X번 7개 노선과 여천 순환버스인 1000번, 2000번이 해당된다.

이 중 82, 83, 89번을 빼고는 모두 부영3단지와 시청을 지난다. 율촌 소라 화양 방향 버스와는 다르게 윗길먼저 가는 것도 특징이다. 삼일 방면 버스들과 같은 방향으로 돈다.)

80번과 81번, 1000번과 2000번은 각각 반대 방향으로 도는 순환버스이다.

번호 노선
80 선사유적공원→죽림→담배인삼공사→국민은행→전남대여수캠퍼스→중앙여고→서시장→여서동R→꿈에그린A→부영3차→담배인삼공사→죽림→선사유적공원
81 선사유적공원→죽림→담배인삼공사→부영3차→꿈에그린A→여서동R→서시장→중앙여고→전남대여수캠퍼스→국민은행→담배인삼공사→죽림→선사유적공원
82 미평↔중앙여고↔서시장↔여서동R↔웅천지구↔국민은행↔심곡
83 미평↔중앙여고↔서시장↔여서동R↔웅천지구↔국민은행↔죽림
84 미평↔중앙여고↔서시장↔부영3차↔죽림↔가사
88 미평↔중앙여고↔서시장↔부영3차↔송소
89 미평↔중앙여고↔서시장↔국민은행↔부영여고↔소호↔호두
1000 신월→여서동R→부영9차→웅천지구→부영3차→소호→죽림→여천정류장→국민은행→웅천지구→신월
2000 신월→웅천지구→국민은행→여천정류장→죽림→소호→부영3차→웅천지구→여서동R→부영9차→신월

돌산 방면

돌산읍으로 가는 버스 노선이다. 1XX번 버스 12개 노선이 있다.

115번을 제외하고는 노선이 (미평↔윗길↔시내↔돌산)일치하고, 돌산도 내에서 차이가 있다. 115번은 여천에서 출발하는 장거리 노선으로, 문수삼거리 부터는 타 돌산 방면 버스와 같다.

번호 노선
100 미평↔중앙여고↔서시장↔돌산대교↔우두출장소↔굴전↔봉수
102 미평↔중앙여고↔서시장↔돌산대교↔돌산나룻터↔진목
103 미평↔중앙여고↔서시장↔돌산대교↔청솔A후문↔월전포
105 미평↔중앙여고↔서시장↔돌산대교↔청솔A후문↔밀듬벙
106 미평↔중앙여고↔서시장↔돌산대교↔우두출장소↔평사↔군내↔화태
109 미평↔중앙여고↔서시장↔돌산대교↔우두출장소↔죽포↔군내↔성두
111 미평↔중앙여고↔서시장↔돌산대교↔청솔A후문↔죽포↔향일암
112 미평↔중앙여고↔서시장↔돌산대교↔우두출장소↔평사↔모장↔봉양
113 미평↔중앙여고↔서시장↔돌산대교↔우두출장소↔죽포↔향일암
114 미평↔중앙여고↔서시장↔돌산대교↔우두출장소↔무슬목↔죽포↔군내↔성두
115 선사유적공원↔부영3차↔여서동R↔중앙여고↔서시장↔돌산대교↔청솔A후문↔계동
116 미평↔중앙여고↔서시장↔돌산대교↔우두출장소↔계동↔죽포↔군내↔향일암

시외 노선

33번을 연장한 순천 방면 330번, 61번을 연장한 광양 방면 610번 버스가 있다. 2018년 6월 1일부터 전부 타 시군 시내버스와 광역환승이 된다. 여수 버스의 노선체계에서 330번은 율촌 소라 방면으로, 610번은 삼일 방면으로 분류한다.

방향 번호 노선
순천시 330 미평↔서시장↔중앙여고↔국민은행↔여천역↔덕양↔여수공항↔조화↔순천역
광양시 610 둔덕↔중앙여고↔서시장↔신월↔웅천지구↔국민은행↔여천역↔묘도↔광양시청

그 외에도 순천 시내버스[3] 94, 95, 96이 율촌까지, 960번과 광양 270번이 여수시청까지 들어온다.

관할 번호 노선
순천시 94 제일고↔순천역↔조화↔사곡
95 제일고↔순천역↔조화↔봉전
96 제일고↔참샘마을↔순천역↔조화↔여수공항↔애양원
960 제일고↔순천역↔조화↔여수공항↔해산↔여천역↔여수시청
광양시 270 매화A↔광양터미널↔중마터미널↔묘도↔여천역↔여수시청

역사

  • 2016년 8월 1일
    7개 버스 노선/운행시간 변경 및 좌석버스 요금 조정
  • 2번 (신월동→신월동)
    오동도 입구 경유 운행
  • 6번 (미평↔만성리)
    해양경비안전교육원 경유 추가 운행, 미평발 18:00 차량을 17:50으로 변경
  • 7번 (미평↔신덕)
    해양경비안전교육원 경유 추가 운행, 1회 증회 운행
  • 36번 (미평↔마산)
    영락공원 연장운행
  • 100번 (미평↔봉수)
    봉수 출발 운행시간 조정 - 11:25→11:30, 16:35→16:30, 19:10→19:05
  • 109번 (미평↔성두)
    성두 출발 운행시간 조정 - 10:58→10:50, 16:26→16:31, 18:50→18:55
  • 111번 (미평↔향일암)
    향일암 출발 운행시간 조정 - 12:17→12:22, 13:17→13:22
  • 좌석버스 113, 114번
    요금 조정 - 1,800원→일반 1,200/중고생 950/초등생 600원

  • 2017년 1월 1일
    요금이 인상되었다. 인상 전 요금과 후 요금은 아래와 같다(현금기준).
성인 청소년 어린이
이전 1,200 950 600
이후 1,350 1,000 650

  • 2017년 6월 1일
    교통카드 할인을 50원에서 100원으로 확대

  • 2017년 8월 16일
    시내버스 노선 개편
    • 폐지 노선
    • 신설 노선
      • 62번 (미평↔묘도)
        52번 대체 노선
      • 1000번, 2000번 (신월→신월)
        여천 순환노선으로 신설. 18번 소호동 구간 대체
    • 개편 노선
      • 2번 (신월→신월)
        운행횟수를 108→95회/일로 감회
      • 37번 (미평↔임대산단)
        도로 개설에 따라 반월마을을 경유하도록 노선 변경
      • 68번, 76번 (둔덕/미평→둔덕/미평)
        교육지원청, 월앙마을을 경유하도록 노선 변경
      • 80번, 81번 (화장동→화장동)
        여천시외버스정류장을 경유하지 않도록 노선 변경
      • 88번 (미평↔송소)
        1000번, 2000번 노선 신설에 따라 회센터를 경유하도록 변경, 운행대수를 12→10대로, 운행횟수를 72→60회/일로 감차/감회 운행.
      • 90번, 92번, 95번 (신월↔두봉/섬달천/대곡)
        죽림지구에서 우회하지 않고 바로 통과하도록 노선 변경
      • 91번 (신월↔두봉)
        해지마을을 경유하도록 노선 변경
      • 666번 (시영A↔대광A)→(시영A→시영A)
        18번의 노선을 계승해 기존 대광아파트까지의 노선을 시청까지 연장, 순환노선으로 전환. 운행대수가 5→6대로, 운행횟수가 35→36회/일로 증차/증회 운행.
      • 777번 (신월↔남해화학사택)
        운행횟수를 92→89회/일로 감회
      • 999번 (둔전→미평)
        등교버스로 전환

  • 2017년 8월 29일
  • 노선 변경
    • 38번 (미평↔군장)
      신설 도로를 따라 노선을 (무선↔군장↔주동)에서 (무선↔주동↔군장)으로 변경
    • 666번 (시영A→시영A)
      대광A 출발 7:30 차량이 7:35로 변경

  • 2017년 12월 1일
    노선 변경
    • 88번 (미평↔송소)
      송소 출발 2,4,6,8,10호차가 8/16 노선 개편 이전 노선으로 운행
    • 109번 (미평↔성두)
      성두 출발 08:50차량과 미평출발 14:56차량이 군내항을 경유


  • 2018년 6월 28일
    시내버스 기사들이 파업을 선언하여 일시적으로 일부 노선이 단축 또는 통폐합 될 뻔 하였다.

  • 2019년 1월 16일
  • 노선 변경
    • 1000, 2000번 (신월동→신월동)
      한 번씩 여서동로타리와 부영9차를 경유하고, 소호동쪽으로 오갈 때는 쌍봉사거리를 지나지 않고 대신 보건소 앞을 지나도록 노선 변경.

  • 2019년 7월 1일
  • 노선 통폐합
    • 90번 (신월↔사곡), 92번 (신월↔섬달천)
      두 노선을 90번으로 합하고, 90번은 92번의 노선을 이어받아 섬달천으로 간 뒤 달천-궁항 간 도로를 이용한다.
  • 노선 변경
    • 25-1번 (미평↔이천)
      종점을 이천에서 오천으로 변경 (노선 길어짐)
    • 28번 (미평↔백야)
      국지도 22호선 신설로 일부 구간 운행
    • 80번, 81번 (무선→무선)
      웅천꿈에그린아파트 경유
    • 89번 (미평↔호두)
      부영여고 경유
    • 106번
      종점을 군내에서 화태로 변경 (기존 화태 연장노선)
  • 연장노선 조정
    • 6번 (미평↔만흥)
      진남경기장 운행 횟수 조정
    • 34번 (미평↔조화)
      율촌 동양엔파트 아파트 1일 1회 연장운행
    • 111번 (미평↔임포)
      두문포 경유 노선 증축 (1일 6회→18회)
  • 운행횟수 조정
    • 2번 (신월→신월)
      주말 및 공휴일 운행시간 조정
    • 95번 (신월↔대곡)
      1일 7회에서 6회로 운행횟수 조정

  • 2019년 8월 1일
  • 운행시간 조정
    • 90번 (신월↔사곡)
      여자도 도선이 섬달천에 도착하는 시간에 맞추어 운행시간 약간 조정

  • 2020년 2월 28일
  • 연장노선 신설
    • 26-1번, 29번 (미평→미평)
      화양에서 출발하는 차량이 각각 1일 2회씩 자매마을에서 고흥우두를 경유하여 운행(신설된 국도 77호선을 따라 고흥까지 갔다가 우두에서 회차. 이후 원래 노선대로 운행), 고흥 연장 노선은 쌍봉사거리까지만 운행. 화정면 신규 마을버스 운행 이전까지 연장 노선 운행.

  • 2020년 3월 3일
  • 운행 중단
    • 330번 (미평↔순천)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순천 960번과 함께 3월 2일부터 무기한 운행 중단. 기존 330번으로 운행하는 시간대에 아예 운행을 하지 않는지 아니면 330번 신설 이전처럼 33번으로 운행하는지에 대해서는 불분명하다. 광양으로 향하는 610번과 270번은 정상 운행한다. 또 순천에서 율촌까지 운행하는 94, 95, 96번도 정상 운행한다. 이는 3월8일 기준 순천시청 공지사항에만 올라왔고 여수시 교통정보 홈페이지 공지에는 없다. 얼마 안 가서(3월 중순) 운행을 재개했다. 이에 대한 공지는 없었다.

  • 2020년 6월 2일
  • 일시적 노선 변경
    • 6번 (미평↔전남대), 7번 (미평↔오천)
      6월 8일부터 6월 19일까지 마래2터널 보수 공사로 인해 엑스포대로로 우회운행한다. 차량 통행이 허용되는 주말에도 우회운행이 실시되며 버스 시간표는 기존과 같다. 출처
      • 기존 노선: 미평-시민회관-경찰서-만덕동주민센터-마래터널-만성리
      • 우회 노선: 미평-시민회관-경찰서-만덕동주민센터-만흥IC-만성리

  • 2020년 7월 6일
    • 시내버스 탑승 시 마스크 착용 의무화. 마스크 미착용시 기사가 승차를 거부할 수 있다.

  • 2020년 9월 1일 ~ 11월 30일
  • 일시적 노선 변경
    • 100번 등 돌산방면 13개 노선 (999포함)
      돌산대교 성능개선 공사로 인해 돌산대교 대신 거북선 대교로 운행한다. 출처
      • 기존 노선: 미평&여천-윗길-봉산동-돌산대교-돌산
      • 우회 노선: 미평&여천-아랫길-공화동-거북선대교-돌산

  • 2020년 9월 1일
  • 요금 인상
    현금 요금을 인상했으며 2021년 1월 1일에 교통카드 요금도 인상할 것으로 예고했다. 초등생 카드 요금은 100원으로 동결한다.
분류 ~9/1 9/1~1/1 ~1/1
일반 현금 1,350 1,500 1,500
카드 1,250 1,250 1,400
중고생 현금 1,000 1,200 1,200
카드 900 900 1,100
초등생 현금 650 750 750
카드 100 100 100

  • 2021년 1월 1일
    • 요금 인상
      예고한대로 교통카드 요금을 인상했다.
    • 노선 변경
      • 61번, 62번, 610번
        묘도의 신작로 개통에 따라 창촌마을을 먼저 경유하고 이순신전망대 경유.
    • 신설 노선
      • 220번 (나진↔고흥우두)
    • 연장운행 삭제
      • 26-1번, 29번 (화양순환)
        고흥연장 운행 삭제. 이 구간은 220번으로 계승

출처: 여수 교통정보시스템 공지사항


2018년 시내버스 파업

2018년 1월부터 버스회사들과 기사들간의 갈등이 시작되었다. 노조는 최저시급에 맞추어 임금 인상을 요구했으나 회사는 적자운영때문에 함부로 임금을 인상하기 힘들었다. 6차례 협상을 시도했으나 모두 결렬되고, 결국 노조에서는 6월 26일 파업 찬반투표를 하게 되고, 찬성률 97%로 투표가 가결되어 6월 28일 파업이 결정되었다. 이에 따라 여수시에서는 급히 전세버스를 구하여 파업이 끝날 때까지 임시 시내버스를 운행하기로 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다행히 6월 27일 재협상이 타결되어서 파업이 철회되어 시내버스를 정상운행하게 되었다. 당시 임시 시내버스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 운임
일반 중고생 초등생
1000원 500원 무료

요금은 현금으로만 지불 가능하며, 교통카드, 무료환승은 이용할 수 없다. 또한 버스정보시스템(BIS) 또한 이용할 수 없다.


  • 노선
    대부분 기존 노선과 같으며, 미평이나 둔덕을 출발했던 노선은 진남경기장 진입도로에서 출발한다. 변경된 노선은 아래와 같다.
노선 변경 사항
999 노선폐지
22, 25, 25-1, 26-1, 29 노선폐지
23 22번의 노선을 받아와 산전을 경유
33, 330, 95 노선폐지
92, 93 95번의 노선을 받아와 대곡을 경유
68 노선폐지
88 송소→미평방면 운행시 안산중학교 경유
100, 102, 105, 112, 113, 114, 116 노선폐지
103 102번의 노선을 받아와 백초, 진목을 경유
111 1일에 2회 경유하던 여수엑스포역 미경유
115 둔전, 월암 미운행

  • 기타 사항
    방면별로 다른 색상의 표시판을 부착한다. 시내 방면은 흰색, 화양 방면은 하늘색, 율촌.소라 방면은 노란색, 삼일 방면은 빨간색, 여천 방면은 녹색, 돌산 방면은 회색.
    이번에도 광우고속의 33번 버스 1대는 정상적으로 운행한다. (진남경기장↔당두)

각주

  1. 차량을 공유하는 노선이다.
  2. 다만 율촌까지 오는 순천 버스 94, 95, 96번은 시계외요금을 받는다. 반면 여천까지 들어오는 960번은 시계외요금이 없다.
  3. 순천교통, 동신교통에서 운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