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리역

KRBOT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2월 17일 (수) 21:08 판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br> +<br/>))
[[파일:Korail0jungni.jpg|336px|alt=]]
주소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 함마대로 2803-3
노선 경전선 48.7 km
관할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마산관리역
개업일 1923년 12월 1일
승강장 2면 4선

중리역
中里驛 / Jung-ri Station

개요

경전선의 일반철도역.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에 위치한다. 내서읍 시가지에 가까이 위치하고 있다. 수도권 광역전철과 유사하게 생긴 역사답게 로컬 수요만 적당히 잡는 소규모 역이다. 직제규정상 코레일 정직원이 없는 무배치간이역이며, 코레일네트웍스 직원이 파견되어 운영한다.

내서읍을 경유하는 상당수 시내버스가 마산역이 위치한 석전동 시가지를 지나가기 때문에, 내서읍에서 시외로 가기 위해서는 대부분 열차 배차가 월등하게 많은 마산역이나 마산역에서 조금 더 가서 나오는 마산시외버스터미널, 또는 근처의 내서고속버스터미널을 이용한다. 다만 내서읍에서 시간만 맞을 경우 중리역을 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가끔 신마산변전소(함안전력지소)로의 중량물 수송 통로가 되곤 한다.

2012년 경전선 마산 ~ 진주 복선전철화에서 유일하게 폐지·이설을 피했다. 승강장을 북쪽으로 약간 이설한 것을 제외하면 역 건물 위치도 그대로다. 인근의 함안 지역의 역 접근성이 선형직선화를 위해 접근성이 크게 희생된 것과 대조되는 부분. 터를 원래 승강장보다 높게 돋웠다.

역 구조


2면 4선인데, 쌍섬식의 2면 4선이 아니라 상대식 승강장에서 승강장을 양 옆으로 밀어내고 통과선로 2개가 지나가는 구조이다. 개축 이전에도 단선에서 흔했던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이었고, 무궁화호만 정차하는 로컬역이기 때문에 복선화 당시에도 늘릴 필요가 없었을 것이다. 2번 승강장은 순천 방면의 하행이며, 역사에서 바로 탈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1번 승강장은 부전 방향의 상행이며 지하 통로를 지나야 한다.

주변 정보

역 자체는 공단 외곽에 자리하고 있으며, 주거단지와는 약간 거리를 두고 있다. 내서읍 중심지인 삼계리까지 가기 위해선 3km정도 걸어야 한다. 버스로는 10분거리. 1km 거리를 걸어가면 농수산물도매시장과 하나로마트, 내서고속버스터미널이 나온다. 남해고속도로제1지선을 등지고 있으며, 하천을 건너 큰 교차로에서 코너를 돌면 내서 분기점이 나온다.

경유 노선

경유 노선 목록
삼랑진 방면
마산 6.6 km
중리 광주송정 방면
함안 8.9 km

경유 열차

여객 열차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열기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등급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무궁화호/서울-진주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무궁화호/동대구-진주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무궁화호/부전-목포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무궁화호/포항-순천 틀:경유 열차 목록/한국/닫기

승하차량

  • 철도통계연보 출처
중리역
2017 2016 2015 2014 2013
승차 35,605 37,109 40,664 52.143 45,428
하차 31,401 33,250 36,508 45.921 39,407
  • 주된 수요는 중리역 서쪽인 진주시,하동군에서 나오며, 진주행 수요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중리역 서쪽 지역으로 경전선이 그나마 경쟁력을 가지는 것에 비해 동쪽 지역은 삼랑진으로 우회해서 가는 특성 및 저조한 배차간격 때문에 경쟁력을 가지기 어렵다. 그마저도 유가하락과 배차간격 감편으로 타 교통수단으로 이탈하는 중이다.
  • 장거리 수요가 거의 없는데, 주로 마산역이나 마산터미널,내서고속버스터미널로 버스로 이동한 후 환승하기 때문.
  • 인접하고 제일 교류가 많은 함안/마산/창원 방면 수요에서 철도는 외면 당한다. 기본적으로 내서에서 이 지역으로 가는 시내버스가 잘 짜여져 있기 때문. 함안군 소재역이 마산/창원 방면 수요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 과는 대조적이다. 함안의 경우 함안군 소재 역들이 이설로 인해 접근성이 크게 떨어진 게 크다.
  • 마산/창원 방면 수요도 미미하다. 시내버스가 잘 짜여져 있고, 내서-마산간 소요시간은 철도가 시내버스에 비해 다소 빠르지만 월등히 빠른 것은 아니며, 마산역 또한 합성동시가지에서 은근히 접근성이 떨어지는 편이며 문전접근성을 살릴 수 있는 버스에 비해 경쟁력이 떨어진다. 또한 마산합포구(신마산) 방면은 아예 철도가 지나가지 않아서 마산역 환승을 할 경우 빙 돌아가는 형태가 되어 소요시간이 더 걸린다. 그나마 거리가 있는 창원중앙역까지 속달성이 뛰어난 편을 살려 창원중앙역 수요가 다소 있는 편. 50분을 넘기며 환승이 1회 이상 필요한 시내버스에 비해 창원중앙역까지 22분만에 끊는다.
  • 호계리나 삼계리 쪽에선 버스가 접근성이 더 뛰어나고, 역이 인접한 중리의 경우에도 배차간격 때문에 이용하기가 상당히 까다롭다. 내서읍 호계리와 연담되어 있는 오곡리 일대 아파트 및 칠원읍 일대 또한 역세권으로의 잠재력을 충분히 지니고 있으나 사정은 마찬가지이다.
  • 이런 문제점을 해결할 방안 중 하나로 경전선 광역전철 연장이 있다. 역세권의 인구 규모 면에서나 역 접근성 면에서 광역철도역으로서의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마산까지 들어가는 함안군 농어촌버스에 막대한 타격이 들어갈것이 뻔하기 때문에 손실보전이 전제되지 않는다면 함안군 입장에서 선뜻 나서기 어렵다. 또한 이용객 중 노인무임의 비중이 마산시내에 비해 높기 때문에 운영사 입장에서도 문제.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