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역: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10번째 줄: 10번째 줄:
* \(\mathbb{Z}\)
* \(\mathbb{Z}\)
* \(p\)가 [[소수]]일 때, \(\mathbb{Z}_p\)
* \(p\)가 [[소수]]일 때, \(\mathbb{Z}_p\)
* [[다항식환]] \(\mathbb{R}[x]\)
* \(D\)가 정역일 때, [[다항식환]] \(D[x]\)
* 임의의 [[체 (수학)|체]]
* 임의의 [[체 (수학)|체]]<ref>영인자는 단위원이 될 수 없기 때문이다. 혹은 나눗셈이 가능하면 소거법칙은 당연히 성립하기 때문이다.</ref>


== 성질 ==
== 성질 ==

2015년 9월 29일 (화) 00:46 판

틀:학술 틀:토막글

정의

가환환 \(R\)에 대해 항등원 [math]\displaystyle{ 1_R\ne 0_R }[/math]이 존재하고 임의의 두 원소 \(a,b\)에 대해

[math]\displaystyle{ ab=0 \Rightarrow a=0_R \text{ or }b=0_R }[/math]

이면 정역(integral domain)이라고 한다. 즉, 정역은 항등원이 존재하고 영인자가 없는 가환환이다.

예시

성질

  • 정역 \(R\)의 원소 [math]\displaystyle{ a,b,c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a\ne 0_R }[/math]이고 [math]\displaystyle{ ab=ac }[/math]이면 [math]\displaystyle{ b=c }[/math]이다.
  • 유한집합인 정역은 체이다.
  1. 영인자는 단위원이 될 수 없기 때문이다. 혹은 나눗셈이 가능하면 소거법칙은 당연히 성립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