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디얼: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성질)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학술}}
{{학술}}
== 정의 ==
== 정의 ==
[[환 (수학)|환]] ''R''의 부분환을 ''I''라고 하자. 이때 임의의 <math>r\in R, i\in I</math>에 대해
[[환 (수학)|환]] ''R''의 부분환 ''I''에 대하여,<ref>환이 꼭 1을 갖지 않아도 되고, 따라서 부분환도 꼭 1을 갖지 않아도 되는 경우를 전제한다. 1을 갖는 것만을 환이라 하는 경우, 아이디얼과 부분환은 별개의 개념이 된다. 자세한 내용은 [[환 (수학)|환]] 참조.</ref>
: <math>(ri\in I) \wedge (ir\in I)</math>
* 임의의 <math>r\in R, i\in I</math>에 대해 <math>ri\in I</math>를 만족하면 ''I''를 ''R''의 '''좌아이디얼(left ideal)'''이라고 한다.
이면 ''I''를 ''R''의 '''아이디얼(ideal)''', 또는 '''양쪽아이디얼(two-sided ideal)'''이라고 한다. 한편, 임의의 <math>r\in R, i\in I</math>에 대해
* 임의의 <math>r\in R, i\in I</math>에 대해 <math>ir\in I</math>를 만족하면 ''I''를 ''R''의 '''우아이디얼(right ideal)'''이라고 한다.
: <math>ri\in I</math>
* ''I''가 ''R''의 좌아이디얼이면서 우아이디얼이면, ''I''를 ''R''의 '''양쪽아이디얼(two-sided ideal)''' 또는 그냥 '''아이디얼(ideal)'''이라 하고, <math>I \trianglelefteq R</math>로 표기한다.
이면 ''I''를 ''R''의 '''좌아이디얼(left ideal)'''이라고 하며,
 
: <math>ir\in I</math>
만약 ''R''이 가환환이라면, [[교환법칙]]이 성립하므로 위 세 정의가 동치가 됨을 알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좌아이디얼인지만 확인하면 자동으로 아이디얼이 된다.
이면 ''I''를 ''R''의 '''우아이디얼(right ideal)'''이라고 한다.


즉, ''I''가 ''R''의 좌아이디얼이면서 우아이디얼이면 ''I''는 ''R''의 아이디얼이 된다. 그리고 만약 ''R''이 가환환이라면, 좌우 조건 중 하나만 만족하더라도 연산의 [[교환법칙]]에 의해 아이디얼이 된다.
== 예시 ==
== 예시 ==
* <math>0 \trianglelefteq R</math>, <math>R \trianglelefteq R</math>
** ''R''이 나눗셈환이면 아이디얼은 이들 둘밖에 없다. 영이 아닌 아이디얼은 1<sub>''R''</sub>을 포함하게 되기 때문이다.
* ''f'':''R'' → ''S''가 환 준동형사상(ring homomorphism)일 때, <math>\operatorname{ker} f \trianglelefteq R</math>
* ''M''이 ''R''가군(''R''‐module)일 때, ''M''의 부분집합 ''N''에 대하여 <math>\operatorname{ann} ( N ) = \{ r \in R \vert rN = 0 \}</math>는 ''R''의 아이디얼이 되고, 이를 annihilator ideal이라 한다.
** ''K''선형사상 ''T''가 주어진 ''K''벡터공간 ''V''를 ''K''[''t'']가군으로 볼 때, <math>\operatorname{ann} ( V )</math>의 생성자가 바로 ''T''의 최소다항식(minimal polynomial)이다.
* 정수환 <math>\mathbb{Z}</math>의 아이디얼은 <math>n \mathbb{Z}</math> 꼴밖에 없다. 따라서 <math>\mathbb{Z}</math>는 주아이디얼 정역(principle ideal domain)이다.
<!-- 아이디얼인 예 추가바람 -->
<!-- 아이디얼인 예 추가바람 -->
[[실수]]를 성분으로 갖는 모든 2차 정사각행렬의 [[집합 (수학)|집합]] <math>M_2(\mathbb{R})</math>은 [[행렬]] [[연산]] 위의 환이다. 집합 ''I''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 [[실수]]를 성분으로 갖는 모든 2차 정사각행렬의 [[집합 (수학)|집합]] <math>M_2(\mathbb{R})</math>은 [[행렬]] [[연산]] 에 관해 환(행렬환)을 이룬다. 집합 ''I''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 <math>I=\left\{\begin{bmatrix}a & 0 \\ b & 0 \end{bmatrix}:a,b\in\mathbb{R} \right\}</math>
: <math>I=\left\{\begin{bmatrix}a & 0 \\ b & 0 \end{bmatrix}:a,b\in\mathbb{R} \right\}</math>
그러면 ''I''는 <math>M_2(\mathbb{R})</math>의 부분환이다. 이때 임의의 <math>x,y,z,w\in\mathbb{R}</math>에 대해
그러면 ''I''는 <math>M_2(\mathbb{R})</math>의 부분환이다. 이때 임의의 <math>x,y,z,w\in\mathbb{R}</math>에 대해
20번째 줄: 25번째 줄:
이므로 ''I''는 <math>M_2(\mathbb{R})</math>의 우아이디얼이 아니다. 따라서 ''I''는 <math>M_2(\mathbb{R})</math>의 아이디얼이 아니다.
이므로 ''I''는 <math>M_2(\mathbb{R})</math>의 우아이디얼이 아니다. 따라서 ''I''는 <math>M_2(\mathbb{R})</math>의 아이디얼이 아니다.


== 유한생성된 아이디얼 ==
== 성질 및 연산 ==
''R''이 [[항등원]]을 갖는 가환환이고 <math>c\in R</math>이라고 하자. 그리고 집합 ''I''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아이디얼의 성질은 아래와 같다.
: <math>I=\{rc\vert r\in R\}</math>
* ''I''''J''가 환 ''R''의 (좌, 우, 양쪽)아이디얼이면, <math>I \cap J</math>''R''의 (좌, 우, 양쪽)아이디얼이다(정의에 의해 자명하다).<ref>이번에는 아이디얼의 아이디얼과 같은 이야기는 하지 않는 듯하다…….</ref>
그러면 ''I''''R''의 아이디얼이다. ''I''를 ''c''에 의해 생성된 '''[[주아이디얼]](principal ideal)'''이라고 하며, <math>(c)</math>로 표기한다.
* ''I''가 환 ''R''의 좌아이디얼이라는 것과, 좌''R''가군 ''R''의 좌''R''부분가군이라는 것은 동치이다(이것도 정의에 의해 자명하다). 오른쪽도 마찬가지이다.
 
<math>c_1,c_2,\cdots,c_n\in R</math>이라고 하자. 집합 ''I''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 <math>I=\{r_1c_1+r_2c_2+\cdots+r_nc_n\vert r_1,r_2,\cdots, r_n\in R\}</math>
그러면 ''I''''R''의 아이디얼이다. ''I''를 <math>c_1,c_2,\cdots,c_n</math>에 의해 생성된 아이디얼이라고 하며, <math>(c_1,c_2,\cdots,c_n)</math>로 표기한다. 이런 아이디얼을 '''유한생성된 아이디얼(finitely generated ideal)'''이라고 한다.


== 성질 ==
아이디얼 사이에 다음과 같이 연산을 정의한다.
* ''I''와 ''J''가 환 ''R''의 아이디얼이면, <math>I \cap J</math>도 ''R''의 아이디얼이다.
* ''I''와 ''J''가 환 ''R''의 아이디얼이면, 집합 <math>S=\{i+j\vert i\in I,j\in J\}</math>도 ''R''의 아이디얼이다. 이때 ''K''를 ''I''와 ''J''의 합이라고 부르고 ''I''+''J''로 나타낸다.
* ''I''와 ''J''가 환 ''R''의 아이디얼이면, 집합 <math>S=\{i+j\vert i\in I,j\in J\}</math>도 ''R''의 아이디얼이다. 이때 ''K''를 ''I''와 ''J''의 합이라고 부르고 ''I''+''J''로 나타낸다.
* ''I''와 ''J''가 환 ''R''의 아이디얼이면, 집합
* ''I''와 ''J''가 환 ''R''의 아이디얼이면, 집합
37번째 줄: 37번째 줄:
: <math>P'=\{ij\vert i\in I, j\in J\}</math>
: <math>P'=\{ij\vert i\in I, j\in J\}</math>
는 일반적으로 ''R''의 아이디얼이 아니다. 예를 들어, <math>R=\mathbb{Q}</math>이고 <math>I=J=\mathbb{Z}</math>로 두면 <math>\frac{1}{3}\cdot 1 \cdot 2=\frac{2}{3}\not\in P'</math>이다.</ref>
는 일반적으로 ''R''의 아이디얼이 아니다. 예를 들어, <math>R=\mathbb{Q}</math>이고 <math>I=J=\mathbb{Z}</math>로 두면 <math>\frac{1}{3}\cdot 1 \cdot 2=\frac{2}{3}\not\in P'</math>이다.</ref>
== ''X''⊆''R''이 생성하는 아이디얼 ==
''X''⊆''R''일 때, ''X''를 포함하는 ''R''의 최소의(smallest) (좌, 우, 양쪽)아이디얼을 '''''X''가 생성하는 (좌, 우, 양쪽)아이디얼'''이라고 한다. 이러한 (좌, 우, 양쪽)아이디얼 ''I''의 존재성과 유일성은 <math>I = \bigcap_{X \subseteq J \trianglelefteq R} J</math>를 증명하면 보일 수 있다(⊴는 본래 양쪽아이디얼만을 뜻하는 것이지만 좀 남용했다. 이해해 주기 바란다). 증명은 (좌, 우, 양쪽)아이디얼의 교집합이 다시 (좌, 우, 양쪽)아이디얼인 것만 보이면 충분한데, 앞에서 이미 보였다. 이때 ''X''를 이 아이디얼 ''I''의 '''생성자(generator)'''라고 한다.
아래에서는 ''R''은 [[항등원]]을 갖는 가환환이라고 가정하자.
한 개의 원소가 생성하는 아이디얼은 '''[[주아이디얼|주아이디얼(principal ideal)]]'''이라고 한다. 이때 <math>c\in R</math>이 생성하는 주아이디얼은 <math>(c)</math>로 표기한다. 이는 아래와 같은 집합이 됨을 쉽게 알 수 있다.
: <math>(c)=\{rc\vert r\in R\}</math>
유한 개의 원소가 생성하는 아이디얼은 '''유한생성아이디얼(finitely generated ideal)'''이라고 한다. 이때 <math>c_1,c_2,\cdots,c_n\in R</math>이 생성하는 아이디얼 <math>(c_1,c_2,\cdots,c_n)</math>는 아래와 같은 집합이 된다.
: <math>(c_1,c_2,\cdots,c_n)=\{r_1c_1+r_2c_2+\cdots+r_nc_n\vert r_1,r_2,\cdots, r_n\in R\}</math>


== 여러 가지 아이디얼 ==
== 여러 가지 아이디얼 ==
<!-- 추가바람 -->
<!-- 추가바람 -->
* [[소아이디얼]]
* [[소아이디얼|소아이디얼(prime ideal)]]
* [[극대아이디얼]]
* [[극대아이디얼|극대아이디얼(maximal ideal)]]
*
*
*
*

2015년 6월 8일 (월) 15:44 판

틀:학술

정의

R의 부분환 I에 대하여,[1]

  • 임의의 [math]\displaystyle{ r\in R, i\in I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ri\in I }[/math]를 만족하면 IR좌아이디얼(left ideal)이라고 한다.
  • 임의의 [math]\displaystyle{ r\in R, i\in I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ir\in I }[/math]를 만족하면 IR우아이디얼(right ideal)이라고 한다.
  • IR의 좌아이디얼이면서 우아이디얼이면, IR양쪽아이디얼(two-sided ideal) 또는 그냥 아이디얼(ideal)이라 하고, [math]\displaystyle{ I \trianglelefteq R }[/math]로 표기한다.

만약 R이 가환환이라면, 교환법칙이 성립하므로 위 세 정의가 동치가 됨을 알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좌아이디얼인지만 확인하면 자동으로 아이디얼이 된다.

예시

  • [math]\displaystyle{ 0 \trianglelefteq R }[/math], [math]\displaystyle{ R \trianglelefteq R }[/math]
    • R이 나눗셈환이면 아이디얼은 이들 둘밖에 없다. 영이 아닌 아이디얼은 1R을 포함하게 되기 때문이다.
  • f:RS가 환 준동형사상(ring homomorphism)일 때, [math]\displaystyle{ \operatorname{ker} f \trianglelefteq R }[/math]
  • MR가군(R‐module)일 때, M의 부분집합 N에 대하여 [math]\displaystyle{ \operatorname{ann} ( N ) = \{ r \in R \vert rN = 0 \} }[/math]R의 아이디얼이 되고, 이를 annihilator ideal이라 한다.
    • K선형사상 T가 주어진 K벡터공간 VK[t]가군으로 볼 때, [math]\displaystyle{ \operatorname{ann} ( V ) }[/math]의 생성자가 바로 T의 최소다항식(minimal polynomial)이다.
  • 정수환 [math]\displaystyle{ \mathbb{Z} }[/math]의 아이디얼은 [math]\displaystyle{ n \mathbb{Z} }[/math] 꼴밖에 없다. 따라서 [math]\displaystyle{ \mathbb{Z} }[/math]는 주아이디얼 정역(principle ideal domain)이다.
  • 실수를 성분으로 갖는 모든 2차 정사각행렬의 집합 [math]\displaystyle{ M_2(\mathbb{R}) }[/math]행렬 연산 에 관해 환(행렬환)을 이룬다. 집합 I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math]\displaystyle{ I=\left\{\begin{bmatrix}a & 0 \\ b & 0 \end{bmatrix}:a,b\in\mathbb{R} \right\} }[/math]

그러면 I[math]\displaystyle{ M_2(\mathbb{R}) }[/math]의 부분환이다. 이때 임의의 [math]\displaystyle{ x,y,z,w\in\mathbb{R} }[/math]에 대해

[math]\displaystyle{ \begin{bmatrix}x & y\\ z& w\end{bmatrix}\begin{bmatrix}a & 0\\b&0\end{bmatrix}=\begin{bmatrix}xa+yb & 0 \\ za+wb & 0\end{bmatrix}\in I }[/math]

이므로 I[math]\displaystyle{ M_2(\mathbb{R}) }[/math]의 좌아이디얼이다. 그러나

[math]\displaystyle{ \begin{bmatrix}1 & 0\\ 2& 0\end{bmatrix}\begin{bmatrix}3 & 4\\5&6\end{bmatrix}=\begin{bmatrix}3 & 4 \\ 6 & 8\end{bmatrix}\not\in I }[/math]

이므로 I[math]\displaystyle{ M_2(\mathbb{R}) }[/math]의 우아이디얼이 아니다. 따라서 I[math]\displaystyle{ M_2(\mathbb{R}) }[/math]의 아이디얼이 아니다.

성질 및 연산

아이디얼의 성질은 아래와 같다.

  • IJ가 환 R의 (좌, 우, 양쪽)아이디얼이면, [math]\displaystyle{ I \cap J }[/math]R의 (좌, 우, 양쪽)아이디얼이다(정의에 의해 자명하다).[2]
  • I가 환 R의 좌아이디얼이라는 것과, 좌R가군 R의 좌R부분가군이라는 것은 동치이다(이것도 정의에 의해 자명하다). 오른쪽도 마찬가지이다.

아이디얼 사이에 다음과 같이 연산을 정의한다.

  • IJ가 환 R의 아이디얼이면, 집합 [math]\displaystyle{ S=\{i+j\vert i\in I,j\in J\} }[/math]R의 아이디얼이다. 이때 KIJ의 합이라고 부르고 I+J로 나타낸다.
  • IJ가 환 R의 아이디얼이면, 집합
    [math]\displaystyle{ P=\{i_1j_1+i_2j_2+\cdots+i_nj_n\vert n\ge 1, i_k\in I, j_k\in J\} }[/math]
R의 아이디얼이다. 이때 PIJ의 곱이라고 부르고 IJ로 나타낸다.[3]

XR이 생성하는 아이디얼

XR일 때, X를 포함하는 R의 최소의(smallest) (좌, 우, 양쪽)아이디얼을 X가 생성하는 (좌, 우, 양쪽)아이디얼이라고 한다. 이러한 (좌, 우, 양쪽)아이디얼 I의 존재성과 유일성은 [math]\displaystyle{ I = \bigcap_{X \subseteq J \trianglelefteq R} J }[/math]를 증명하면 보일 수 있다(⊴는 본래 양쪽아이디얼만을 뜻하는 것이지만 좀 남용했다. 이해해 주기 바란다). 증명은 (좌, 우, 양쪽)아이디얼의 교집합이 다시 (좌, 우, 양쪽)아이디얼인 것만 보이면 충분한데, 앞에서 이미 보였다. 이때 X를 이 아이디얼 I생성자(generator)라고 한다.

아래에서는 R항등원을 갖는 가환환이라고 가정하자.

한 개의 원소가 생성하는 아이디얼은 주아이디얼(principal ideal)이라고 한다. 이때 [math]\displaystyle{ c\in R }[/math]이 생성하는 주아이디얼은 [math]\displaystyle{ (c) }[/math]로 표기한다. 이는 아래와 같은 집합이 됨을 쉽게 알 수 있다.

[math]\displaystyle{ (c)=\{rc\vert r\in R\} }[/math]

유한 개의 원소가 생성하는 아이디얼은 유한생성아이디얼(finitely generated ideal)이라고 한다. 이때 [math]\displaystyle{ c_1,c_2,\cdots,c_n\in R }[/math]이 생성하는 아이디얼 [math]\displaystyle{ (c_1,c_2,\cdots,c_n) }[/math]는 아래와 같은 집합이 된다.

[math]\displaystyle{ (c_1,c_2,\cdots,c_n)=\{r_1c_1+r_2c_2+\cdots+r_nc_n\vert r_1,r_2,\cdots, r_n\in R\} }[/math]

여러 가지 아이디얼

같이 보기

참고문헌

  • Thomas W. Hungerford (2012). Abstract Algebra: An Introduction. (3rd ed). Cengage Learning. ISBN 1111573336

각주

  1. 환이 꼭 1을 갖지 않아도 되고, 따라서 부분환도 꼭 1을 갖지 않아도 되는 경우를 전제한다. 1을 갖는 것만을 환이라 하는 경우, 아이디얼과 부분환은 별개의 개념이 된다. 자세한 내용은 참조.
  2. 이번에는 아이디얼의 아이디얼과 같은 이야기는 하지 않는 듯하다…….
  3. I,J가 아이디얼이 아니면, 집합
    [math]\displaystyle{ P'=\{ij\vert i\in I, j\in J\} }[/math]
    는 일반적으로 R의 아이디얼이 아니다. 예를 들어, [math]\displaystyle{ R=\mathbb{Q} }[/math]이고 [math]\displaystyle{ I=J=\mathbb{Z} }[/math]로 두면 [math]\displaystyle{ \frac{1}{3}\cdot 1 \cdot 2=\frac{2}{3}\not\in P' }[/math]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