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라언덕역: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12명의 중간 판 9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新南驛 / Sinnam Staion'''
{{철도역 정보
{{토막글}}
|이름    = 청라언덕(신남)
{{철도역 정보
|원어이름 =
|역명 = 신남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대구}}
|배경색 = #808080
|글자색   = white
|글자색 = white
|그림    = Sinnam Station 20150424 154933.jpg
|관할 = [[대구도시철도공사]]
|그림설명 =
|개업일 = {{날짜/출력|2005-10-18}}
|그림alt  =
|소재지 = [[대구광역시]] [[중구 (대구)|중구]] [[달구벌대로]] 지하 2000 (2호선)<br/>[[대구광역시]] [[중구 (대구|중구]] [[남산로]] 80 (3호선)
|주소    = [[대구광역시]] [[대구 중구|중구]] [[달구벌대로]] 지하2000 (2호선)<br />[[대구광역시]] [[대구 중구|중구]] 남산로 80 (3호선)
|번호    = {{역번호/한국|229|대구|2}} {{역번호/한국|329|대구|3}}
|노선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small>15.1 km</small><br />[[대구 도시철도 3호선]] <small>13.4 km</small>
|관할    = [[대구교통공사]]
|개업일  = [[2005년]] [[10월 18일]]
|폐지일  =
|코드    =
|승강장  = 1면 2선 (2호선), 2면 2선 (3호선)
|관련역  =
|참고    =
|비고    =
|하위 틀  =
}}
 
[[대구광역시]] [[대구 중구|중구]] [[달구벌대로]] 지하 2000 (2호선), [[남산로]] 80 (3호선)에 있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대구 도시철도 3호선]]간의 환승역이다. 양쪽 모두 역번이 29로 동일하다.
 
원래 역명은 서문시장(동산병원) 역이었으나, 3호선 328번 역이 서문시장, 동산병원과 더 가까워 역명을 뺏겼다. 그래도 당분간 신남(동산병원)으로 부역명은 유지됐다가, 이제는 그것도 사라졌다. 이후 김현철내과의원이라는 부역명이 부기되었다가 척탑병원으로 부역명이 변경되었다.
 
== 역사 ==
* [[2005년]] [[10월 18일]]: 2호선 [[문양역|문양]]~[[사월역|사월]] 구간 개통과 함께 개업. 당시 역명은 '''서문시장'''
* 2013년경: 역명을 '''신남'''으로 변경<ref>대구광역시공고 제2013-1030호</ref>
* 2015년 4월 23일: 3호선 개통
* [[2019년]] [[1월 7일]]: 역명을 '''청라언덕'''으로 변경<ref>[https://info.daegu.go.kr/newshome/mtnmain.php?mtnkey=articleview&mkey=dsearchlist&mkey2=2&aid=237637&bpage=4&stext=%BF%AA%B8%ED&stext2= 도시철도역명, 네거리 등 공공용물 명칭 신설·변경], 대구광역시 뉴스룸</ref>


|그림 = 야신난다.jpg
== 시설 ==
|그림설명 = 2호선 역명판
=== 2호선 ===
2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이 있는 지하역으로,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철도승강장|구조=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반고개역|반고개]]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대구|2}}
|승강장 번호=상행|승강장 정보='''2호선''' [[문양역|문양]] 방면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대구|2}}
|승강장 번호=하행|승강장 정보='''2호선''' [[영남대역|영남대]] 방면
}}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대구 도시철도 2호선]] [[반월당역|반월당]] →
}}
}}


|노선1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3호선 ===
|역번호 = 229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 있는 고가역으로,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배경색1 = #00aa80
{{철도승강장|구조=
|글자색1 = white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대구|3}} |승강장 번호=상행|승강장 정보='''3호선''' [[신남역|신남]] · [[매천시장역|매천시장]] · [[칠곡경대병원역|칠곡경대병원]] 방면
|전방면1 = [[문양역|문양]]
}}
|전역1 = [[반고개역|반고개]]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서문시장역|서문시장]]  
|전거리1 = 0.9
}}
|전역번호1 = 228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대구 도시철도 3호선]] [[남산역 (대구)|남산]]
|후방면1 = [[영남대역|영남대]]
|후역1 = [[반월당역|반월당]]
|후거리1 = 1.0
|후역번호1 = 230
|노선2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역번호2 = 330
|배경색2 = #ffd700
|글자색2 = black
|전방면2 = [[칠곡경대병원역|칠곡경대병원]]
|전역2 = [[서문시장역|서문시장]]
|전거리2 = 0.7
|전역번호2 = 228
|후방면2 = [[영남대역|영남대]]
|후역2 = [[남산역|남산]]
|후거리2 = 0.8
|후역번호2 = 230
}}
}}
==정보==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대구|3}} |승강장 번호=하행|승강장 정보='''3호선''' [[수성구민운동장역|수성구민운동장]] · [[용지역|용지]] 방면
[[대구 도시철도 2호선]][[대구 도시철도 3호선]]간의 환승역, 양쪽 모두 역번이 229로 동일하다.
}}
원래 역명은 서문시장(동산병원) 역이었으나, 3호선 328번 역이 서문시장, 동산병원과 더 가까워 역명을 뺐겼다. 그래도 당분간 신남(동산병원)으로 부역명은 유지됐다가, 이제는 그것도 사라졌다.  <del>[[이수역|누구]]와는 참 대비되는 케이스.</del>
}}
===환승정보===
 
=== 환승 정보 ===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style="text-align: center"
|-
! colspan="7" | 대구 도시철도 환승 정보
|-
! colspan="3" rowspan="3" |
! colspan="4" | 목적지
|-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대구|2}}; color: white;" | 2호선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대구|3}}; color: white;" | 3호선
|-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대구|2}}; color: white;" | <small>문양<br />방면</small>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대구|2}}; color: white;" | <small>영남대<br />방면</small>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대구|3}}; color: white;" | <small>칠곡경대병원<br />방면</small>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대구|3}}; color: white;" | <small>용지<br />방면</small>
|-
! rowspan="4" | 출발지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대구|2}}; color: white;" | 2호선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대구|2}}; color: white;" | <small>문양 방면</small>
| -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2-3
|-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대구|2}}; color: white;" | <small>영남대 방면</small>
|
|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6-4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대구|3}}; color: white;" | 3호선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대구|3}}; color: white;" | <small>칠곡경대병원 방면</small>
| colspan="2" | 1-2
| -
|
|-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대구|3}}; color: white;" | <small>용지 방면</small>
| colspan="2" | 3-1
|
| -
|-
|}
 
2호선과 3호선간의 환승이 가능한데, 문제는 상당히 깊게 시공된 2호선과 고가 모노레일인 3호선 간의 환승을 해야 하다보니 상당한 [[막장환승]]이다. 그래서 전국에서 가장 긴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었다. 지하 3층에서 지상 2층, 총 57m 구간을 논스톱으로 이으면서, 기존의 최장 기록인 [[당산역]](48m)의 기록을 9m나 경신하여 국내 최장 에스컬레이터의 타이틀을 획득하였다.
2호선과 3호선간의 환승이 가능한데, 문제는 상당히 깊게 시공된 2호선과 고가 모노레일인 3호선 간의 환승을 해야 하다보니 상당한 [[막장환승]]이다. 그래서 전국에서 가장 긴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었다. 지하 3층에서 지상 2층, 총 57m 구간을 논스톱으로 이으면서, 기존의 최장 기록인 [[당산역]](48m)의 기록을 9m나 경신하여 국내 최장 에스컬레이터의 타이틀을 획득하였다.
환승용 에스컬레이터 옆에 환승용 엘리베이터가 있는데, 3호선 대합실 쪽에 있는 환승 통로와 완전히 이격되어 있다. 이 엘리베이터를 이용했다면 직각으로 연결되어 있는 별도의 환승 통로를 지난 후, 방향별로 양 끝에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를 한 번 더 타야 한다.
환승용 에스컬레이터 옆에 환승용 엘리베이터가 있는데, 3호선 대합실 쪽에 있는 환승 통로와 완전히 이격되어 있다. 이 엘리베이터를 이용했다면 직각으로 연결되어 있는 별도의 환승 통로를 지난 후, 방향별로 양 끝에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를 한 번 더 타야 한다.
==여담==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의 역 중 가장 먼저 항목이 개설된 역이다. {{--|그리고 현재까진 유일하다}}
== 주변 정보 ==
 
== 경유 열차 ==
{{경유 계통/열기}}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대구|2}}|글자색=white|계통=[[대구 도시철도 2호선|2호선]]}}
{{경유 계통|전방면=[[문양역|문양]] 방면|전역={{역번호/한국|228|대구|2}} [[반고개역|반고개]]|전거리=0.9 km
|당역={{역번호/한국|229|대구|2}} '''청라언덕'''
|후방면=[[영남대역|영남대]] 방면|후역={{역번호/한국|230|대구|2}} [[반월당역|반월당]]|후거리=1.0 km}}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대구|3}}|글자색=white|계통=[[대구 도시철도 3호선|3호선]]}}
{{경유 계통|전방면=[[칠곡경대병원역|칠곡경대병원]] 방면|전역={{역번호/한국|328|대구|3}} [[서문시장역|서문시장]]|전거리=0.7 km
|당역={{역번호/한국|329|대구|3}} '''청라언덕'''
|후방면=[[용지역|용지]] 방면|후역={{역번호/한국|330|대구|3}} [[남산역 (대구)|남산]]|후거리=0.8 km}}
{{경유 계통/닫기}}
 
{{각주}}
 
[[분류:대구 도시철도 2호선]]
[[분류:대구 도시철도 2호선]]
[[분류:대구 도시철도 3호선]]
[[분류:대구 도시철도 3호선]]
[[분류:대구광역시에 있는 철도시설]]

2024년 1월 19일 (금) 14:22 기준 최신판

청라언덕(신남)
주소 대구광역시 중구 달구벌대로 지하2000 (2호선)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로 80 (3호선)
번호  229   329 
노선 대구 도시철도 2호선 15.1 km
대구 도시철도 3호선 13.4 km
관할 대구교통공사
개업일 2005년 10월 18일
승강장 1면 2선 (2호선), 2면 2선 (3호선)

대구광역시 중구 달구벌대로 지하 2000 (2호선), 남산로 80 (3호선)에 있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대구 도시철도 3호선간의 환승역이다. 양쪽 모두 역번이 29로 동일하다.

원래 역명은 서문시장(동산병원) 역이었으나, 3호선 328번 역이 서문시장, 동산병원과 더 가까워 역명을 뺏겼다. 그래도 당분간 신남(동산병원)으로 부역명은 유지됐다가, 이제는 그것도 사라졌다. 이후 김현철내과의원이라는 부역명이 부기되었다가 척탑병원으로 부역명이 변경되었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시설[편집 | 원본 편집]

2호선[편집 | 원본 편집]

2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이 있는 지하역으로,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3호선[편집 | 원본 편집]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 있는 고가역으로,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환승 정보[편집 | 원본 편집]

대구 도시철도 환승 정보
목적지
2호선 3호선
문양
방면
영남대
방면
칠곡경대병원
방면
용지
방면
출발지 2호선 문양 방면 - 2-3
영남대 방면 - 6-4
3호선 칠곡경대병원 방면 1-2 -
용지 방면 3-1 -

2호선과 3호선간의 환승이 가능한데, 문제는 상당히 깊게 시공된 2호선과 고가 모노레일인 3호선 간의 환승을 해야 하다보니 상당한 막장환승이다. 그래서 전국에서 가장 긴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었다. 지하 3층에서 지상 2층, 총 57m 구간을 논스톱으로 이으면서, 기존의 최장 기록인 당산역(48m)의 기록을 9m나 경신하여 국내 최장 에스컬레이터의 타이틀을 획득하였다. 환승용 에스컬레이터 옆에 환승용 엘리베이터가 있는데, 3호선 대합실 쪽에 있는 환승 통로와 완전히 이격되어 있다. 이 엘리베이터를 이용했다면 직각으로 연결되어 있는 별도의 환승 통로를 지난 후, 방향별로 양 끝에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를 한 번 더 타야 한다.

주변 정보[편집 | 원본 편집]

경유 열차[편집 | 원본 편집]

2호선
문양 방면
 228  반고개
 229  청라언덕 영남대 방면
 230  반월당
3호선
칠곡경대병원 방면
 328  서문시장
 329  청라언덕 용지 방면
 330  남산

각주

  1. 대구광역시공고 제2013-1030호
  2. 도시철도역명, 네거리 등 공공용물 명칭 신설·변경, 대구광역시 뉴스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