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천역: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부역명 인수 삭제. 토론 참고)
잔글 (봇:편집을 하기 쉽게 띄어쓰기를 일정하게 변경 & 이용객 삭제)
1번째 줄: 1번째 줄:
{{새 철도역 정보
{{새 철도역 정보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글자색 = white
|글자색   = white
|관할약칭 = KORAIL
|관할약칭 = KORAIL
|역명    = 가천역  
|역명    = 가천역  
|그림 =  
|그림     =  
|역번호 =  
|역번호   =  
|역코드 = 735
|역코드   = 735
|주소 = [[대구광역시]] 수성구 천을로23길 259<br>(가천동 363)
|주소     = [[대구광역시]] 수성구 천을로23길 259<br>(가천동 363)
|개업일 = {{날짜/출력|2005-11-1}}<small>([[경부선]], [[대구선]])</small>
|개업일   = {{날짜/출력|2005-11-1}}<small>([[경부선]], [[대구선]])</small>
|폐지일 =
|폐지일   =
|관할 = [[한국철도공사]]<br>대구본부 [[동대구역|동대구관리역]]
|관할     = [[한국철도공사]]<br>대구본부 [[동대구역|동대구관리역]]
|승강장 =  
|승강장   =  
|운임구역 =
|운임구역 =  
|이용객 =  
|노선     = [[경부선]] <small>333.4 km</small><br>[[대구선]] <small>0.0 km</small>
|노선 = [[경부선]] <small>333.4 km</small><br>[[대구선]] <small>0.0 km</small>
}}
}}
'''가천역'''(佳川驛)은 [[경부선]]과 [[대구선]]의 [[철도역]]이자 화물 전용역이다. [[대구선]] 이설과 함께 분기역으로 신설되었으며, [[고모역]]의 화물역 기능을 인계받았다. 여객 취급을 하지 않아 일반인의 출입을 제한하고 있으며, [[2010년]]까지 주로 [[경부고속철도]] 2단계 구간 공사 관련 화물을 취급했다. 역 구내에는 6,000여 톤 규모의 시멘트용 사일로가 있어서, 이 역에서 대구·경북권에 시멘트를 철도로 수송한다.
'''가천역'''(佳川驛)은 [[경부선]]과 [[대구선]]의 [[철도역]]이자 화물 전용역이다. [[대구선]] 이설과 함께 분기역으로 신설되었으며, [[고모역]]의 화물역 기능을 인계받았다. 여객 취급을 하지 않아 일반인의 출입을 제한하고 있으며, [[2010년]]까지 주로 [[경부고속철도]] 2단계 구간 공사 관련 화물을 취급했다. 역 구내에는 6,000여 톤 규모의 시멘트용 사일로가 있어서, 이 역에서 대구·경북권에 시멘트를 철도로 수송한다.

2020년 8월 17일 (월) 02:44 판

주소 대구광역시 수성구 천을로23길 259
(가천동 363)
노선 경부선 333.4 km
대구선 0.0 km
관할 한국철도공사
대구본부 동대구관리역
개업일 틀:날짜/출력(경부선, 대구선)

가천역(佳川驛)은 경부선대구선철도역이자 화물 전용역이다. 대구선 이설과 함께 분기역으로 신설되었으며, 고모역의 화물역 기능을 인계받았다. 여객 취급을 하지 않아 일반인의 출입을 제한하고 있으며, 2010년까지 주로 경부고속철도 2단계 구간 공사 관련 화물을 취급했다. 역 구내에는 6,000여 톤 규모의 시멘트용 사일로가 있어서, 이 역에서 대구·경북권에 시멘트를 철도로 수송한다.

역사

같이 보기

경유 노선

경유 노선 목록
서울 방면
고모 1.6 km
가천 부산 방면
경산 5.2 km
(기점) 가천 영천 방면
금강 4.3 km

각주

  1. 대한민국관보 건설교통부고시 제.2005-328호(2005.10.24)
  2. 코레일, "경부선 가천역에서 대구·경북지역 시멘트 수송 시작" - 뉴시스
Wikipedia-ico-48px.png
이 문서는 한국어 위키백과가천역 문서에서 분기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