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관훼리: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개요)
8번째 줄: 8번째 줄:


== 선내 시설 ==
== 선내 시설 ==
한국측 선사는 성희호, 일본측 선사는 하마유호를 운행중이다. 둘의 도입시기는 다르나 큰 틀에서 보면 두 선박의 차이는 없으며, 객실의 가구 배치가 다르다거나 하는 정도의 차이가 있다.
한국측 선사는 성희호, 일본측 선사는 하마유호를 운행중이다. 둘의 도입시기는 다르나 큰 틀에서 보면 두 선박의 차이는 없으며, 객실의 가구 배치가 다르다거나 하마유호는 220V 꽃을 곳이 없는 정도의 차이가 있다.
* 객실
* 객실
*: 1인실이 없으며, 객실 단위로 단독 배정되는 2인실/4인실은 싱글차지를 부담하고 혼자 탈 수 있다.
*: 1인실이 없으며, 객실 단위로 단독 배정되는 2인실/4인실은 싱글차지를 부담하고 혼자 탈 수 있다.

2018년 6월 26일 (화) 19:40 판

한국 성희호
일본 하마유호

홈페이지

개요

부관훼리(釜関-)[1]의 기원은 1905년에 취항한 한일간 연락선이며, 당시에는 관부연락선이라고 불렀다. 이 노선은 당시 산요 본선경부선 두 노선과 연계하여 운행하였는데, 최종적으로는 만주소련까지 연결하는 매우 중요한 노선이었다. 하지만 제2차 세계대전이 일어나고, 1945년커티스 르메이체스터 니미츠B-29전략폭격을 해대는 덕에 사실상 운항이 중단되었다.

종전 이후 한국이 광복을 거치고 일본대한민국의 국교가 단절되면서 운항을 못 하다가, 1967년 부관항로 개설 논의가 시작되어, 1969년 교통부의 허가를 거쳐 1970년 3800톤급 카페리가 취항함으로써 현재의 형태로 가까워졌다.

선내 시설

한국측 선사는 성희호, 일본측 선사는 하마유호를 운행중이다. 둘의 도입시기는 다르나 큰 틀에서 보면 두 선박의 차이는 없으며, 객실의 가구 배치가 다르다거나 하마유호는 220V 꽃을 곳이 없는 정도의 차이가 있다.

  • 객실
    1인실이 없으며, 객실 단위로 단독 배정되는 2인실/4인실은 싱글차지를 부담하고 혼자 탈 수 있다.
    • 2인실 : 스위트, 디럭스, 1등 2인실 등이 있다. 전 객실 입식이다.
    • 4인실 : 1등 4인실이 있으며 입식과 좌식이 섞여있다. 좌식 객실의 경우 성희호는 온돌을, 하마유호는 다다미를 깔아놨다.
    • 다인실 : 6인실 이상의 객실이 다양한 크기로 배치되어 있다.
  • 부대 시설
    면세점, 매점, 목욕탕, 레스토랑 등이 있다. 레스토랑 메뉴는 하마유호 쪽이 더 충실하다.

운항 스케줄

1일 1회, 부산국제여객터미널시모노세키항을 운항한다.

  • 부산발
    부산국제여객터미널에서는 승선이 오후 6시 50분에 종료가 되는데, 이는 도착후 세관 통관 문제와 이 다음에 수속이 진행되는 카멜리아호의 원활한 수속을 위한 조기 승선조치이며 실제 출항시각은 밤 9시다. 바꿔말하자면 늦어도 오후 7시부터 9시까지 세시간동안은 움직이지 않는 배에서 대기를 하고, 9시에 출항하여 밤새 운항한다.(카멜리아도 대동소이하다) 시모노세키항에 도착하는 시간은 시간표상 다음날 아침 8시이며, 보통 특별한 문제가 없는이상 아침 8시 15분안에 일본 입국 수속을 종료할 수 있다고 한다.
  • 시모노세키발
    시모노세키항에서는 승선이 오후 7시에 종료가 되며, 출항은 오후 7시 45분쯤에 이루어진다. 부산항 입항은 다음날 아침 7시 45분경이며, 보통 특별한 문제가 없는이상 8시 10분 이전에 입국 수속을 끝낼 수 있다고 한다.

부관훼리의 수익원

부관훼리는 순수히 여객만 보자면 항공기비틀, 코비에 비해서 경쟁력이 떨어지는 편인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그럼에도, 다른 한일간 선박에 비해서 선사의 경영상태는 우수한데, 가장 큰 이유는 실제 주력은 화물이기 때문. 특히 카페리로써의 기능을 충실히 하고 있고, 한일간 활어수송의 중추를 담당하는 배이기도 하다. 그러면 순수 화물선으로 운항하면 되지 않느냐? 라는 질문을 할 수 있는데, 화물선은 여객선에 비해서 입항순위가 낮기 때문에 쾌속화물을 위해 여객을 부가 서비스로 담당하는 선박이라고 볼 수 있다.

각주

  1. '부'산+하'관'(시모노세키). 당연하지만, 나 먼저 원리에 의해 일본에서는 칸푸(関釜-, 관부)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