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각선: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분류를 유도하세요.)
1번째 줄: 1번째 줄:
==개요==
{{+1|삼각선 / 三角線 / Wye, Curve}}
노선을 쉽게 건너가기 위해 만드는 노선.


노선이 분기할 경우 특정 방향으로만 진행이 가능한데, 다른 방향으로 가려면 역에서 많은 시간을 써가면서 작업을 할 필요가 있다. 이런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건설되는 것이 삼각선.
== 개요 ==
노선 분기지점에서 정방향(본선 방향)이 아닌 역방향으로 설치되는 선로. 통행량이 적은 방향에 설치되는 노선을 삼각선이라고 하며 때문에 평면교차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여객 열차는 동차면 아무런 문제가 없고, 기관차 견인인 경우도 제어 객차 등을 통해 방향 전환이 가능한 경우가 많지만, 화물 열차는 얘기가 다르기 때문에 보통 화물 열차의 운행을 목적으로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경부선]]-[[경전선]]의 경우 [[삼랑진역]]에서 부산→목포 방면으로 분기하기 때문에 서울역에서 마산역으로 향하는 열차는 삼랑진역에 정차해서 기관차 방향을 바꾸어야 한다. 하지만 [[미전선]]이 서울 방면에서 분기해서 경전선으로 합류하기 때문에 손쉽게 경전선으로 진출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경부선]]-[[경전선]]의 경우 [[삼랑진역]]에서 부산→목포 방면으로 분기하기 때문에 서울역에서 마산역으로 향하는 열차는 삼랑진역에 정차해서 기관차 방향을 바꾸어야 한다. 하지만 [[미전선]]이 서울 방면에서 분기해서 경전선으로 합류하기 때문에 손쉽게 경전선으로 진출할 수 있게 된다.


==국내 삼각선 목록==
== 예시 ==
* [[건천연결선]]
{{참조|분류:삼각선}}
* [[구로삼각선]]
* [[금장삼각선]]
* [[대전선]]
* [[망우선]]
* [[미전선]]
* [[부전선]]
* [[북송정삼각선]]
* [[북영주삼각선]]
* [[오송선]]
* [[용산삼각선]]
* [[영천삼각선]]
* [[전경삼각선]]
* [[태백삼각선]]
* [[평택삼각선]]


* [[폐선]]된 삼각선
=== 한국 ===
** [[오정선]]
* [[대전선]] - [[경부선]] [[부산역|부산]] 방면 ↔ [[호남선]] [[목포역|목포]] 방면
** [[옥서삼각선]]
** 가장 대표적인 삼각선이다. 원래는 호남선의 본선이었지만, 오정선(현재의 대전조차장 ~ 서대전간 호남선 본선)이 건설되면서 삼각선으로 격하되었다.
* [[미전선]] - [[경부선]] [[서울역|서울]] 방면 ↔ [[경전선]] [[순천역|순천]] 방면
** 특이한 케이스로, 경전선 본선은 삼랑진을 거쳐 부산역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지만, 서울 방향의 열차가 더 많이 드나들다보니 본선이 정작 평면교차를 하고, 삼각선이 입체교차를 하는 케이스다.
 
=== 일본 ===
[[쇼난 신주쿠 라인]] 운행 경로 중 나오는 [[오사키 지선]]([[헤비쿠보 신호장]])이 바로 삼각선을 활용한 노선이다.
 
=== 네덜란드 ===
네덜란드는 널린게 삼각선이다. 심지어 입체 교차 삼각선도 많다. 열차 운용도 각 방향으로 15 ~ 30분 간격인 경우가 많고.
 
=== 독일 ===
많은 삼각선들이 활용되고 있으나, 대표적인 사례를 꼽으라면 오스트리아 국내 이동 열차가 있다. [[인스브루크 중앙역|인스브루크]] ~ [[잘츠부르크 중앙역|잘츠부르크]] 간 이동 시, 오스트리아 국내로 가려면 지형이 상당히 난잡한 탓에 선형이 안 좋은 노선 밖에 없어 독일을 경우해서 간다. 이 경우, [[로젠하임-잘츠부르크 선]] ↔ [[로젠하임-쿠프슈타인 선]] 경로를 써서 이동하는데, [[로젠하임 역]]을 거치지 않고 로젠하임 삼각선을 경유해서 바로 빠져 나간다. 두 노선 다 정방향은 [[뮌헨-로젠하임 선]].


[[분류:철도]]
[[분류:철도]]
[[분류:철도 배선]]
[[분류:철도 배선]]
[[분류:삼각선| ]]
[[분류:삼각선| ]]

2016년 2월 18일 (목) 02:15 판

삼각선 / 三角線 / Wye, Curve

개요

노선 분기지점에서 정방향(본선 방향)이 아닌 역방향으로 설치되는 선로. 통행량이 적은 방향에 설치되는 노선을 삼각선이라고 하며 때문에 평면교차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여객 열차는 동차면 아무런 문제가 없고, 기관차 견인인 경우도 제어 객차 등을 통해 방향 전환이 가능한 경우가 많지만, 화물 열차는 얘기가 다르기 때문에 보통 화물 열차의 운행을 목적으로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경부선-경전선의 경우 삼랑진역에서 부산→목포 방면으로 분기하기 때문에 서울역에서 마산역으로 향하는 열차는 삼랑진역에 정차해서 기관차 방향을 바꾸어야 한다. 하지만 미전선이 서울 방면에서 분기해서 경전선으로 합류하기 때문에 손쉽게 경전선으로 진출할 수 있게 된다.

예시

한국

  • 대전선 - 경부선 부산 방면 ↔ 호남선 목포 방면
    • 가장 대표적인 삼각선이다. 원래는 호남선의 본선이었지만, 오정선(현재의 대전조차장 ~ 서대전간 호남선 본선)이 건설되면서 삼각선으로 격하되었다.
  • 미전선 - 경부선 서울 방면 ↔ 경전선 순천 방면
    • 특이한 케이스로, 경전선 본선은 삼랑진을 거쳐 부산역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지만, 서울 방향의 열차가 더 많이 드나들다보니 본선이 정작 평면교차를 하고, 삼각선이 입체교차를 하는 케이스다.

일본

쇼난 신주쿠 라인 운행 경로 중 나오는 오사키 지선(헤비쿠보 신호장)이 바로 삼각선을 활용한 노선이다.

네덜란드

네덜란드는 널린게 삼각선이다. 심지어 입체 교차 삼각선도 많다. 열차 운용도 각 방향으로 15 ~ 30분 간격인 경우가 많고.

독일

많은 삼각선들이 활용되고 있으나, 대표적인 사례를 꼽으라면 오스트리아 국내 이동 열차가 있다. 인스브루크 ~ 잘츠부르크 간 이동 시, 오스트리아 국내로 가려면 지형이 상당히 난잡한 탓에 선형이 안 좋은 노선 밖에 없어 독일을 경우해서 간다. 이 경우, 로젠하임-잘츠부르크 선로젠하임-쿠프슈타인 선 경로를 써서 이동하는데, 로젠하임 역을 거치지 않고 로젠하임 삼각선을 경유해서 바로 빠져 나간다. 두 노선 다 정방향은 뮌헨-로젠하임 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