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간: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HotCat을 사용해서 분류:문화을(를) 삭제함, 분류:간지을(를) 추가함)
2번째 줄: 2번째 줄:


== 해설 ==
== 해설 ==
십간은 십이지와 함께 사용된다. 십간십이지, 천간지지, '''간지'''라는 말은 바로 십간과 십이지를 한데 묶어 지칭하는 표현이다. 그리고 십간과 십이지의 조합을 두고 [[갑자]]라고 부르며, 이 조합의 수가 총 60가지이기 때문에 육십갑자가 된다. 60년을 한 갑자로 세는 건 이 때문이다.
십간은 십이지와 함께 사용된다. 십간십이지, 천간지지, '''간지'''라는 말은 바로 십간과 십이지를 한데 묶어 지칭하는 표현이다. 그리고 십간과 십이지의 조합을 두고 [[갑자]]라고 부르며, 이 조합의 수가 총 60가지이기 때문에 [[육십갑자]]가 된다. 60년을 한 갑자로 세는 건 이 때문이다.


== 십간의 목록 ==
== 십간의 목록 ==

2015년 12월 31일 (목) 12:06 판

십간(十干)은 한국·중국·일본 등 동아시아의 한자 문화권에서 날짜를 헤아릴 때 사용하던 용어다. 천간(天干)이라고도 한다. 십이지와 함께 간지(干支)를 이룬다.

해설

십간은 십이지와 함께 사용된다. 십간십이지, 천간지지, 간지라는 말은 바로 십간과 십이지를 한데 묶어 지칭하는 표현이다. 그리고 십간과 십이지의 조합을 두고 갑자라고 부르며, 이 조합의 수가 총 60가지이기 때문에 육십갑자가 된다. 60년을 한 갑자로 세는 건 이 때문이다.

십간의 목록

  • 갑(甲)
  • 을(乙)
  • 병(丙)
  • 정(丁)
  • 무(戊)
  • 기(己)
  • 경(庚)
  • 신(辛)
  • 임(壬)
  • 계(癸)

십간의 가장 앞자리인 은 익숙한 낱말일 것이다. 계약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갑을병정이 바로 십간의 순서에서 유래한 표현이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