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 (Mykim5902(토론)의 편집을 전부 되돌림: 삽입된 텍스트에서의 "일"을 "역학적 일"로 한정할 근거가 없으므로 "일을 하는 능력"이라는 설명에 "모순되는" 사례로 열, 전기 에너지 등을 설명하는 현 서술은 부적절합니다. 에너지의 정의 "문제"가 아닌 다양한 방식의 에너지 정의로 재작성을 기대하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태그: 일괄 되돌리기
 
(사용자 14명의 중간 판 2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물리량]] ==
중3 때 에너지란 개념을 처음 배울 때는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이란 정의로 처음 배운다. 하지만 [[열]] 에너지나 [[전기]] 에너지 등 [[역학]]적 일과 '간접적인 관련'만 있는 에너지들이 바로 위 교육과정에서 등장할뿐더러, [[상대성 이론|아예 에너지와 질량이 동치란 얘기]]까지 헌대물리학에서는 나오고, 한술 더 떠 '''아예 에너지를 기본 물리량으로 정의하고 에너지에서 [[힘]]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물리를 가르치는''' [[리처드 파인만]] 같은 사람도 있으므로 (《파인만의 물리학 강의》에서 진짜로 이렇게 가르친다.) 에너지의 정의에 대해서 리브레 위키에서 논하는 것은 시기상조인 감이 보인다.


==에너지의 종류==
'''에너지'''는 [[일]]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물리량이다. [[SI단위]]로 J<ref>[[줄]]</ref>을 사용한다. Nm<ref>[[뉴턴]] [[미터]]</ref>, Kgm<sup>2</sup>/s<sup>2</sup><ref>[[킬로그램]] [[미터]] 제곱 매 [[초]] 제곱</ref>과 같다.
얻는 방법에 따른 에너지의 포함한다. 따라서 물리학적인 구분하고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위치에너지
*운동에너지
*태양에너지
*원자력에너지


== 에너지의 종류 ==
에너지라는 말은 흔히 풍력 에너지, 수소 에너지, 조력 에너지와 같이 에너지원을 뜻하는 말로도 사용되므로, 헷갈리지 말자.
* [[역학적 에너지]] : 물체가 [[일]]을 받았을 때 쌓이는 에너지를 말하며 [[퍼텐셜 에너지]]<ref>용수철에 매달린 물체의 탄성 퍼텐셜 에너지 또는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있는 물체의 중력 퍼텐셜 에너지. 흔히 [[위치 에너지]]라고 표기하기도 한다.</ref>와 [[운동 에너지]]의 합으로 정의된다.
* [[열 에너지]] : 오랫동안 [[열]]은 '''열소'''라는 원소에 의한 것으로 여겼지만, [[줄의 정리]]로 인해 열이 역학적 에너지와 동치임이 밝혀졌다. 웬만한 상황에선 에너지가 손실되었다고 하면 열 에너지로 변환된 것이다.
* [[엔탈피]] : [[화학]]반응에서의 에너지의 출입을 설명하기 위해 도입된 개념으로, 각 물질의 [[분자]] 안에 들어 있는 에너지를 의미한다. 물론 현대 인류에게는 각 분자의 엔탈피를 직접 잴 기술 따위는 없고, '''화학 반응 전후의 엔탈피 변화량'''만이 중요할 뿐이다.
* [[전기 에너지]]
* [[핵 에너지]]
* 기타


[[분류:물리학]]
== 형법에서 ==
[[형법 제346조]]는 "본장의 죄<ref>'''제38장 [[절도죄|절도]]와 [[강도죄|강도]]의 죄'''</ref>에 있어서 관리할 수 있는 동력은 재물로 간주한다."라고 되어 있는데, 이 "관리할 수 있는 동력"이 에너지를 의미한다.
 
{{각주}}
[[분류:에너지| ]]

2023년 12월 14일 (목) 00:08 기준 최신판

에너지을 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물리량이다. SI단위로 J[1]을 사용한다. Nm[2], Kgm2/s2[3]과 같다.

에너지의 종류[편집 | 원본 편집]

에너지라는 말은 흔히 풍력 에너지, 수소 에너지, 조력 에너지와 같이 에너지원을 뜻하는 말로도 사용되므로, 헷갈리지 말자.

  • 역학적 에너지 : 물체가 을 받았을 때 쌓이는 에너지를 말하며 퍼텐셜 에너지[4]운동 에너지의 합으로 정의된다.
  • 열 에너지 : 오랫동안 열소라는 원소에 의한 것으로 여겼지만, 줄의 정리로 인해 열이 역학적 에너지와 동치임이 밝혀졌다. 웬만한 상황에선 에너지가 손실되었다고 하면 열 에너지로 변환된 것이다.
  • 엔탈피 : 화학반응에서의 에너지의 출입을 설명하기 위해 도입된 개념으로, 각 물질의 분자 안에 들어 있는 에너지를 의미한다. 물론 현대 인류에게는 각 분자의 엔탈피를 직접 잴 기술 따위는 없고, 화학 반응 전후의 엔탈피 변화량만이 중요할 뿐이다.
  • 전기 에너지
  • 핵 에너지
  • 기타

형법에서[편집 | 원본 편집]

형법 제346조는 "본장의 죄[5]에 있어서 관리할 수 있는 동력은 재물로 간주한다."라고 되어 있는데, 이 "관리할 수 있는 동력"이 에너지를 의미한다.

각주

  1. 뉴턴 미터
  2. 킬로그램 미터 제곱 매 제곱
  3. 용수철에 매달린 물체의 탄성 퍼텐셜 에너지 또는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있는 물체의 중력 퍼텐셜 에너지. 흔히 위치 에너지라고 표기하기도 한다.
  4. 제38장 절도강도의 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