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관역: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사용자:Pika/대체용 틀 +{{새 철도역 정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분류:[^]]+에 있는 철도시설 +분류:경상북도에 있는 철도시설))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새 철도역 정보
{{새 철도역 정보
|역이름  = 왜관역
|이름    = 왜관
|원어이름 =  
|원어이름 =  
|부역명  =
|관할약칭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글자색  = white
|글자색  = white
|그림    = [[파일:Waegwanst.jpg]]
|그림    = Waegwanst.jpg
|그림설명 =  
|그림설명 =  
|그림alt  =
|주소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중앙로8길 10
|주소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중앙로8길 10
|번호    = {{역번호/한국| |대구|광역}}
|번호    = {{역번호/한국| |대구|광역}}
|노선    = [[경부선]] <small>296.0 km</small>
|노선    = [[경부선]] <small>296.0 km</small>
|관할    = [[한국철도공사]] 대구경북본부 대구지역관리단 [[대구역|대구관리역]]
|관할    = [[한국철도공사]] 대구경북본부
|개업일  = [[1905년]] [[1월 1일]]
|개업일  = [[1905년]] [[1월 1일]]
|폐지일  =  
|폐지일  =  
19번째 줄: 18번째 줄:
|참고    =  
|참고    =  
|비고    =  
|비고    =  
|하위 틀  =
}}
}}


== 개요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중앙로8길 10에 위치한 철도역. 왜관읍의 중심역이면서 칠곡군의 중심역이기도 하다. 한 때 그룹대표역이었던적도 있으나 보통역으로 격하당했다. [[안습]]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중앙로8길 10에 위치한 철도역. 왜관읍의 중심역이면서 칠곡군의 중심역이기도 하다. 한 때 그룹대표역이었던적도 있으나 보통역으로 격하당했다. [[안습]]


44번째 줄: 43번째 줄:


왜관읍에서 시위 같은 게 열리면 사람들이 자연스레 왜관역 앞으로 모인다. 이유는 그만한 넓은 공간을 가졌으면서도 외부의 주목을 받을 수 있는 공간이 왜관역뿐이라서 그렇다. 예전 [[고엽제]] 사태가 일어났을 때도 왜관역 앞에서 시위를 했다.
왜관읍에서 시위 같은 게 열리면 사람들이 자연스레 왜관역 앞으로 모인다. 이유는 그만한 넓은 공간을 가졌으면서도 외부의 주목을 받을 수 있는 공간이 왜관역뿐이라서 그렇다. 예전 [[고엽제]] 사태가 일어났을 때도 왜관역 앞에서 시위를 했다.
== 승강장 ==
 
== 시설 ==
{{철도승강장|구조=
{{철도승강장|구조=
  {{철도승강장/선로|
  {{철도승강장/선로|
82번째 줄: 82번째 줄:


== 경유 열차 ==
== 경유 열차 ==
=== 대구권 광역철도(공사중) ===
{{경유 계통/열기}}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대구|광역}}|글자색=white|계통=[[대구권 광역철도]]}}
{{경유 계통|전방면=<del>[[구미역|구미]] 방면</del>|전역={{역번호/한국| |대구|광역}} <del>[[북삼역|북삼]]</del>|전거리= km
|당역={{역번호/한국| |대구|광역}} <del>'''왜관'''</del><br />{{색|#ff0000|(공사중)|배경=pink}}
|후방면=<del>[[경산역|경산]] 방면</del>|후역={{역번호/한국| |대구|광역}} <del>[[서대구역|서대구]]</del>|후거리= km}}
{{경유 계통/닫기}}
=== 여객열차 ===
{{경유 열차 목록
{{경유 열차 목록
|전체목록 =  
|전체목록 =  
  {{경유 열차 목록/종류
  {{경유 열차 목록/종류
  |열차종류 = [[ITX-새마을]]
  |열차종류 = [[ITX|ITX-새마을]]
  |세로수  = 2
  |세로수  = 3
  |노선    =  
  |노선    =  
   {{경유 열차 목록/ITX-새마을 경부선}}
   {{경유 열차 목록/ITX-새마을 경부선}}
  {{경유 열차 목록/ITX-새마을 경부선 신해운대}}
   {{경유 열차 목록/ITX-새마을 경전선}}
   {{경유 열차 목록/ITX-새마을 경전선}}
  }}
  }}
109번째 줄: 101번째 줄:
}}
}}


==승하차량==
===대구권 광역철도===
===일반철도===
* 2016년까지 자료는 철도통계연보. 2017년 자료는 [http://www.kric.go.kr/jsp/industry/rss/railstapassmonList.jsp 국토교통부 철도통계]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margin: 0 auto;width: 450px"
|-
| colspan="5" style="color: WHITE; background:#F55839;" | 왜관역 (무궁화호)
|-
!rowspan="2" data-sort-type="number" |연도
!rowspan="2" |승차량
!rowspan="2" |하차량
! colspan="2" |승하차합
|-
! 승차
! 하차
|-
|'''2017'''
|875,630
|864,270
|
|
|-
|'''2016'''
|906,394
|891,823
|
|
|-
|'''2015'''
|920,295
|906,872
|
|
|-
|'''2014'''
|921,456
|907,170
|
|
|-
|'''2013'''
|904,027
|895,057
|
|
|-
|}
*역세권 중에서 석적읍,왜관읍의 인구가 2017년 부터 감소세로 들어섰기 때문에 2017년 이용객이 전년에 비해 소폭 하락했다.
{{각주}}
{{각주}}
[[분류:경부선]]
[[분류:경부선]]
[[분류:칠곡군의 철도역]]
[[분류:경상북도에 있는 철도시설]]
{{리브레 맵스 마커|35.992156948199046|128.4000062942505|10|왜관역}}
{{리브레 맵스 마커|35.992156948199046|128.4000062942505|10|왜관역}}

2023년 9월 20일 (수) 15:44 기준 최신판

왜관
주소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중앙로8길 10
번호    
노선 경부선 296.0 km
관할 한국철도공사 대구경북본부
개업일 1905년 1월 1일
승강장 4면 4선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중앙로8길 10에 위치한 철도역. 왜관읍의 중심역이면서 칠곡군의 중심역이기도 하다. 한 때 그룹대표역이었던적도 있으나 보통역으로 격하당했다. 안습

시외버스의 막장인 배차 간격과 창렬스러운 가격, 그리고 대구 이외의 지역으로 나가는 버스가 없는 탓에(참고로 이 시외버스는 수요의 상당량을 약목의 수요에 의존하고 있다.) 왜관읍지역 주민들은 기차 이용률이 높은편이다. 인구가 3만인 읍에있는 역이 연간 승차량이 180만에 달한다.

열차 이용 정보[편집 | 원본 편집]

ITX-새마을이 하루 왕복4회 정차한다. 경부선 ITX-새마을 1왕복, 경전선 ITX-새마을 1왕복이 정차한다. 그 이외 무궁화호는 왜관역을 지나는 모든 무궁화호 열차가 정차한다.

원래 왜관역은 2010년 10월 31일까진 새마을호가 정차했으나, 그 이후부턴 새마을호가 통과하다가 2015년 8월 1일부터 다시 ITX-새마을이 정차하기 시작했다.

주변 정보[편집 | 원본 편집]

왜관역을 나서서 광장을 걸어나가면 바로 앞에 왜관읍에서 가장 번화한 거리가 있다.

왜관역을 나서서 도로를 따라 오른쪽으로 가면 왜관북부정류장이 있고, 길을 따라 왼쪽으로 가면 왜관남부정류장이 있다.

주변 은행으로는 왜관북부정류장으로 가는길에 국민은행, 기업은행, 농협이 있다.

칠곡군청으로 간다면 왜관역 문을 나서자마자 오른쪽 뒤로 가면 육교가 하나 있는데 육교를 건너서 육교의 왼쪽으로 내려간 뒤, 길을따라가면 칠곡군청이 있다.

기타[편집 | 원본 편집]

현재 홈대합실,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를 설치하기 위한 공사가 진행 중이다. 플랫폼에 고객대기실 4개소의 공사를 완료했으나 아직은 개방되지 않았다.

왜관읍에서 시위 같은 게 열리면 사람들이 자연스레 왜관역 앞으로 모인다. 이유는 그만한 넓은 공간을 가졌으면서도 외부의 주목을 받을 수 있는 공간이 왜관역뿐이라서 그렇다. 예전 고엽제 사태가 일어났을 때도 왜관역 앞에서 시위를 했다.

시설[편집 | 원본 편집]

경유 노선[편집 | 원본 편집]

경유 노선 목록
서울 방면
약목 6.5 km
왜관 부산 방면
연화 6.2 km

경유 열차[편집 | 원본 편집]

역을 경유하는 여객열차 목록
종류 노선 정차역 (구간운행 포함)
ITX-새마을 경부선 서울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신탄진 - 대전 - 옥천 - 영동 - 김천 - 구미 - 왜관 - 대구 - 동대구 - 경산 - 청도 - 밀양 - 삼랑진 - 물금 - 구포 - 부산
경부선 서울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신탄진 - 대전 - 옥천 - 영동 - 김천 - 구미 - 왜관 - 대구 - 동대구 - 경산 - 청도 - 밀양 - 구포 - 부전 - 신해운대
경전선 서울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대전 - 옥천 - 영동 - 김천 - 구미 - 왜관 - 대구 - 동대구 - 경산 - 청도 - 밀양 - 진영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함안 - 진주
무궁화호 경부선 서울 - 영등포 - 안양 - 수원 - 오산 - 서정리- 평택 - 성환 - 천안 - 전의 - 조치원 - 부강 - 신탄진 - 대전 - 옥천 - 이원 - 지탄 - 심천 - 영동 - 황간 - 추풍령 - 김천 - 구미 - 약목 - 왜관 - 신동 - 대구 - 동대구 - 경산 - 남성현 - 청도 - 상동 - 밀양 - 삼랑진 - 원동 - 물금 - 화명 - 구포 - 사상 - 부산
충북종단 동대구 - 대구 - 신동 - 왜관 - 약목 - 구미 - 김천 - 추풍령 - 황간 - 영동 - 각계 - 심천 - 지탄 - 이원 - 옥천 - 대전 - 신탄진 - 부강 - 조치원 - 오송 - 청주 - 오근장 - 청주공항 - 증평 - 음성 - 주덕 - 충주 - 삼탄 - 제천 - 단양 - 풍기 - 영주
정확한 정차역은 열차 운영사의 안내를 참고하세요.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