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광주시 시내버스/지선버스: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다음은 경기도 광주시에서 운행하는 공영버스 노선 목록이다. == 광주시내 == {{참고|광주시의 공영버스/광주시...)
 
잔글 (하늘님이 광주시 시내버스/지선버스 문서를 넘겨주기를 만들지 않고 경기 광주시 시내버스/지선버스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1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다음은 [[경기도]] [[광주시 (경기도)|광주시]]에서 운행하는 [[공영버스]] 노선 목록이다.
다음은 [[경기도]] [[광주시]]에서 운행하는 [[공영버스]] 노선 목록이다.


== 광주시내 ==
== 광주시내 ==
{{참고|광주시의 공영버스/광주시내}}
{{참고|광주시 공영버스/광주시내}}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80%;text-align:center;background:transparent"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80%;text-align:center;background:transparent"
44번째 줄: 44번째 줄:


== 광남동 ==
== 광남동 ==
{{참고|광주시의 공영버스/광남동}}
{{참고|광주시 공영버스/광남동}}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80%;text-align:center;background:transparent"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80%;text-align:center;background:transparent"
54번째 줄: 54번째 줄:
!style="width: 100px;"|비고
!style="width: 100px;"|비고
|-
|-
!1<br>1-10
!1<br />1-10
|
|
|시청 ↔ 밀목 ↔ 보건소 ↔ 역동사거리 ↔ 장지사거리 ↔ 태전동 ↔ 목동
|시청 ↔ 밀목 ↔ 보건소 ↔ 역동사거리 ↔ 장지사거리 ↔ 태전동 ↔ 목동
76번째 줄: 76번째 줄:
|삼동 → 갈현동 → 모란
|삼동 → 갈현동 → 모란
|2회
|2회
|[[#성남시의 시내버스|성남시 면허]]
|[[#성남시 시내버스|성남시 면허]]
|-
|-
!32-2
!32-2
102번째 줄: 102번째 줄:
|
|
|}
|}
== 오포읍 ==
== 오포읍 ==
{{참고|광주시의 공영버스/오포읍}}
{{참고|광주시 공영버스/오포읍}}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80%;text-align:center;background:transparent"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80%;text-align:center;background:transparent"
144번째 줄: 143번째 줄:
|
|
|-
|-
!34<br>34-10
!34<br />34-10
|
|
|보건소 ↔ 축협 ↔ 장지사거리 ↔ 광남중고교 ↔ 고산리 ↔ 오포읍사무소 ↔ 가일리 ↔ 문형리 ↔ 봉골
|보건소 ↔ 축협 ↔ 장지사거리 ↔ 광남중고교 ↔ 고산리 ↔ 오포읍사무소 ↔ 가일리 ↔ 문형리 ↔ 봉골
150번째 줄: 149번째 줄:
|1회 봉골 행 가일리 미경유, 이후 축협 종료
|1회 봉골 행 가일리 미경유, 이후 축협 종료
|-
|-
!34-1<br>34-11<br>34-15
!34-1<br />34-11<br />34-15
|
|
|보건소 ↔ 축협 ↔ 장지사거리 ↔ 양벌리 ↔ 특전단 ↔ 매산리
|보건소 ↔ 축협 ↔ 장지사거리 ↔ 양벌리 ↔ 특전단 ↔ 매산리
156번째 줄: 155번째 줄:
|
|
|-
|-
!34-12<br>34-14
!34-12<br />34-14
|
|
|보건소 ↔ 축협 ↔ 장지사거리 ↔ 광남중고교 ↔ 오포소방서 ↔ 양벌리 ↔ 특전단 ↔ 매산리
|보건소 ↔ 축협 ↔ 장지사거리 ↔ 광남중고교 ↔ 오포소방서 ↔ 양벌리 ↔ 특전단 ↔ 매산리
168번째 줄: 167번째 줄:
|아침 통학 노선
|아침 통학 노선
|}
|}
== 초월읍 ==
== 초월읍 ==
{{참고|광주시의 공영버스/초월읍}}
{{참고|광주시 공영버스/초월읍}}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80%;text-align:center;background:transparent"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80%;text-align:center;background:transparent"
208번째 줄: 206번째 줄:
|송정대주 ↔ 시청 ↔ 회덕동 ↔ 보건소 ↔ 축협 ↔ 쌍령동 ↔ 대쌍령 ↔ 소쌍.대림
|송정대주 ↔ 시청 ↔ 회덕동 ↔ 보건소 ↔ 축협 ↔ 쌍령동 ↔ 대쌍령 ↔ 소쌍.대림
|11.5회
|11.5회
|소쌍 출발 1회 보건소 종료<br>1회 축협 종료
|소쌍 출발 1회 보건소 종료<br />1회 축협 종료
|-
|-
!35<br>35-4<br>35-7
!35<br />35-4<br />35-7
|
|
|보건소 ↔ 축협 ↔ 쌍령동 ↔ 도평리
|보건소 ↔ 축협 ↔ 쌍령동 ↔ 도평리
216번째 줄: 214번째 줄:
|
|
|-
|-
!35-1<br>35-25<br>38-6
!35-1<br />35-25<br />38-6
|
|
|보건소 ↔ 축협 ↔ 쌍령동 ↔ 대쌍령 ↔ 쌍동리 ↔ 산이리 ↔ 늑현리 ↔ 선동리 ↔ 학동리
|보건소 ↔ 축협 ↔ 쌍령동 ↔ 대쌍령 ↔ 쌍동리 ↔ 산이리 ↔ 늑현리 ↔ 선동리 ↔ 학동리
228번째 줄: 226번째 줄:
|
|
|-
|-
!35-19<br>35-20
!35-19<br />35-20
|
|
|현산마을 ↔ 도평리 ↔ 용수리 ↔ 초월중학교
|현산마을 ↔ 도평리 ↔ 용수리 ↔ 초월중학교
|1회
|1회
|초월중 행 08:20<br>현산 행 16:40
|초월중 행 08:20<br />현산 행 16:40
|-
|-
!35-2<br>35-24
!35-2<br />35-24
|
|
|보건소 ↔ 축협 ↔ 쌍령동 ↔ 대쌍령 ↔ 용수리 ↔ 선동리 ↔ 신월리 ↔ 무갑리
|보건소 ↔ 축협 ↔ 쌍령동 ↔ 대쌍령 ↔ 용수리 ↔ 선동리 ↔ 신월리 ↔ 무갑리
252번째 줄: 250번째 줄:
|06:20 무갑리→축협, 22:05 축협→무갑리
|06:20 무갑리→축협, 22:05 축협→무갑리
|-
|-
!35-3<br>34-15<br>35-6<br>35-7<br>35-8<br>35-9
!35-3<br />34-15<br />35-6<br />35-7<br />35-8<br />35-9
|
|
|축협 ↔ 보건소 ↔ 경안소방서 ↔ 지월리 금강아파트
|축협 ↔ 보건소 ↔ 경안소방서 ↔ 지월리 금강아파트
282번째 줄: 280번째 줄:
|21:45
|21:45
|-
|-
!35-5<br>35-24<br>35-25<br>35-26<br>35-6
!35-5<br />35-24<br />35-25<br />35-26<br />35-6
|
|
|축협 ↔ 보건소 ↔ 밀목 ↔ 시청 ↔ 번천초교 ↔ 서하리
|축협 ↔ 보건소 ↔ 밀목 ↔ 시청 ↔ 번천초교 ↔ 서하리
288번째 줄: 286번째 줄:
|
|
|}
|}
== 곤지암읍·도척면 ==
== 곤지암읍·도척면 ==
{{참고|광주시의 공영버스/곤지암읍}}
{{참고|광주시 공영버스/곤지암읍·도척면}}
{{참고|광주시의 공영버스/도척면}}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80%;text-align:center;background:transparent"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80%;text-align:center;background:transparent"
319번째 줄: 315번째 줄:
|12:40
|12:40
|-
|-
!37-2<br>37-21
!37-2<br />37-21
|
|
|곤지암 ↔ 도척 ↔ 마장(덕평) ↔ 해월리
|곤지암 ↔ 도척 ↔ 마장(덕평) ↔ 해월리
|1회
|1회
|곤지암 행 07:10<br>해월리 행 20:00
|곤지암 행 07:10<br />해월리 행 20:00
|-
|-
!37-3
!37-3
415번째 줄: 411번째 줄:
|21:30
|21:30
|}
|}
== 퇴촌면·남종면·남한산성면 ==
== 퇴촌면·남종면·남한산성면 ==
{{참고|광주시의 공영버스/퇴촌·남종면}}
{{참고|광주시 공영버스/퇴촌·남종면}}
{{참고|경기광주 버스 15-1}}
{{참고|경기광주 버스 15-1}}


432번째 줄: 427번째 줄:
|터미널↔보건소↔밀목↔시청↔번천↔광지원↔남한산성
|터미널↔보건소↔밀목↔시청↔번천↔광지원↔남한산성
|20회
|20회
|40~60분<br>주말 25회
|40~60분<br />주말 25회
|-
|-
!38<br>34-11
!38<br />34-11
|
|
|축협 ↔ 보건소 ↔ 밀목 ↔ 시청 ↔ 번천 ↔ 퇴촌 ↔ 관음리 ↔ 우산리
|축협 ↔ 보건소 ↔ 밀목 ↔ 시청 ↔ 번천 ↔ 퇴촌 ↔ 관음리 ↔ 우산리
440번째 줄: 435번째 줄:
|
|
|-
|-
!38-1<br>35-9
!38-1<br />35-9
|
|
|축협 ← 보건소 ← 밀목 ← 시청 ← 번천 → 퇴촌 ↔ 관음리 ↔ 우산리
|축협 ← 보건소 ← 밀목 ← 시청 ← 번천 → 퇴촌 ↔ 관음리 ↔ 우산리
470번째 줄: 465번째 줄:
|
|
|-
|-
!38-2<br>1-10<br>38-24
!38-2<br />1-10<br />38-24
|
|
|축협 ↔ 보건소 ↔ 밀목 ↔ 시청 ↔ 번천 ↔ 퇴촌 ↔ 분원(남종) ↔ 귀여리 ↔ 검천리 ↔ 수청리
|축협 ↔ 보건소 ↔ 밀목 ↔ 시청 ↔ 번천 ↔ 퇴촌 ↔ 분원(남종) ↔ 귀여리 ↔ 검천리 ↔ 수청리
482번째 줄: 477번째 줄:
|
|
|-
|-
!38-22<br>38-25
!38-22<br />38-25
|
|
|축협 ← 보건소 ← 밀목 ← 시청 ← 번천 ← 퇴촌 ↔ 분원(남종) ↔ 귀여리 ↔ 검천리 ↔ 수청리
|축협 ← 보건소 ← 밀목 ← 시청 ← 번천 ← 퇴촌 ↔ 분원(남종) ↔ 귀여리 ↔ 검천리 ↔ 수청리
518번째 줄: 513번째 줄:
|21:10
|21:10
|-
|-
!38-51<br>34-14<br>35-4<br>38-53<br>38-6<br>38-7
!38-51<br />34-14<br />35-4<br />38-53<br />38-6<br />38-7
|
|
|축협 ↔ 보건소 ↔ 밀목 ↔ 시청 ↔ 번천 ↔ 삼성리 ↔ 이석리 ↔ 배알미동
|축협 ↔ 보건소 ↔ 밀목 ↔ 시청 ↔ 번천 ↔ 삼성리 ↔ 이석리 ↔ 배알미동
548번째 줄: 543번째 줄:
|20:00
|20:00
|-
|-
!38-83<br>38-25
!38-83<br />38-25
|
|
|축협 ↔ 보건소 ↔ 밀목 ↔ 시청 ↔ 번천 ↔ 퇴촌 ↔ 영동리
|축협 ↔ 보건소 ↔ 밀목 ↔ 시청 ↔ 번천 ↔ 퇴촌 ↔ 영동리
560번째 줄: 555번째 줄:
|07:50
|07:50
|}
|}
== 이천시 ==
== 이천시 ==
{{참고|경기광주 버스 114-1}}
{{참고|경기광주 버스 114-1}}
577번째 줄: 571번째 줄:
|
|
|}
|}
== 양평군 ==
== 양평군 ==
{{참고|광주시의 공영버스/양평군}}
{{참고|광주시 공영버스/양평군}}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80%;text-align:center;background:transparent"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80%;text-align:center;background:transparent"
641번째 줄: 634번째 줄:
|곤지암↔건업↔상품↔하품↔세월
|곤지암↔건업↔상품↔하품↔세월
|1회
|1회
|세월→곤지암 06:50<br>곤지암→세월 22:10
|세월→곤지암 06:50<br />곤지암→세월 22:10
|-
|-
!36-3
!36-3
653번째 줄: 646번째 줄:
|곤지암↔건업↔상품↔주록리
|곤지암↔건업↔상품↔주록리
|1회
|1회
|주록리→곤지암 07:00<br>곤지암→주록리 19:40
|주록리→곤지암 07:00<br />곤지암→주록리 19:40
|-
|-
!36-5
!36-5
704번째 줄: 697번째 줄:
|}
|}


{{광주시 시내버스}}
{{퍼온문서|광주시의 시내버스||일부}}
{{퍼온문서|광주시의 시내버스||일부}}
[[분류:광주시의 시내버스]]
[[분류:광주시 시내버스]]
[[분류:공영버스]]

2022년 9월 6일 (화) 16:36 기준 최신판

다음은 경기도 광주시에서 운행하는 공영버스 노선 목록이다.

광주시내[편집 | 원본 편집]

노선번호 노선명 운행구간 운행횟수 비고
33 시청 ↔ 회덕동 ↔ 보건소 ↔ 터미널.축협 12회 첫차 보건소 종료
33-3 시청 ↔ 회덕동 ↔ (보건소 → 시립도서관 → 파발교 → 보건소) 16회 첫차 해태아파트 경유, 축협 종료
33-31 송정대주 ↔ 시청 ↔ 회덕동 ↔ (보건소 → 시립도서관 → 해태아파트 → 축협 → 보건소) 1회 06:20
33-4 시청 ↔ 밀목 ↔ 보건소(← 파발교 ← 시립도서관 ← 보건소)시청 행 ↔ 탄벌중학교 ↔ 경남.벽산아파트 6회 1회 축협 운행 종료
33-6 시청 ↔ 밀목 ↔ (보건소 → 파발교 → 터미널 → 보건소) 3회

광남동[편집 | 원본 편집]

노선번호 노선명 운행구간 운행횟수 비고
1
1-10
시청 ↔ 밀목 ↔ 보건소 ↔ 역동사거리 ↔ 장지사거리 ↔ 태전동 ↔ 목동 27회 1회 보건소 → 목동 → 축협
1-20 보건소 ↔ 역동사거리 ↔ 장지사거리 ↔ 광남중고교 ↔ 태전동성원아파트 ↔ 직동 4회 직동 행 1회 광남중고교 미경유(태전동 경유)
1-21 차고지 ↔ 밀목 ↔ 보건소 ↔ 역동사거리 ↔ 장지사거리 ↔ 태전동 ↔ 직동 11회
3-1 삼동 → 갈현동 → 모란 2회 성남시 면허
32-2 보건소 → 터미널 → 억동사거리 → 장지사거리 → 태전동 → 광남중고교 → 탄벌동 → 보건소 2회 야간 하교 노선
33-2 보건소 ↔ 역동 ↔ 장지사거리 ↔ 장지현대아파트 ↔ 삼동 14.5회
33-7 송정대주 ↔ 시청 ↔ 회덕동 ↔ (보건소 → 시립도서관 → 해태아파트 → 축협 → 보건소) 1회 06:20
34-13 보건소 ↔ 탄벌동 ↔ 광남중고교 3회

오포읍[편집 | 원본 편집]

노선번호 노선명 운행구간 운행횟수 비고
2-1 세광아파트 ↔ 경안소방서 ↔ 보건소 ↔ 축협 ↔ 장지사거리 ↔ 양벌리 ↔ 양벌대주 12회
2-21 세광아파트 → 경안소방서 → 보건소 ↔ 축협 ↔ 장지사거리 ↔ 양벌리 ↔ 양벌대주 9회
2-22 세광아파트 ← 경안소방서 ← 보건소 ↔ 축협 ↔ 장지사거리 ↔ 양벌리 ↔ 양벌대주 7회
2-24 보건소 ↔ 축협 ↔ 장지사거리 ↔ 양벌리 ↔ 양벌대주 1회
17-3 시청 ↔ 밀목 ↔ 보건소 ↔ 축협 ↔ 장지사거리 ↔ 양벌리 ↔ 광남중고교 ↔ 고산리 ↔ 오포초교 ↔ 봉골 5회
34
34-10
보건소 ↔ 축협 ↔ 장지사거리 ↔ 광남중고교 ↔ 고산리 ↔ 오포읍사무소 ↔ 가일리 ↔ 문형리 ↔ 봉골 9회 1회 봉골 행 가일리 미경유, 이후 축협 종료
34-1
34-11
34-15
보건소 ↔ 축협 ↔ 장지사거리 ↔ 양벌리 ↔ 특전단 ↔ 매산리 10.5회
34-12
34-14
보건소 ↔ 축협 ↔ 장지사거리 ↔ 광남중고교 ↔ 오포소방서 ↔ 양벌리 ↔ 특전단 ↔ 매산리 4회
34-16 송정대주 → 보건소 → 축협 → 장지사거리 → 양벌리 → 매산리 → 양벌리 → 광남중고교 → 탄벌동 → 보건소 1회 아침 통학 노선

초월읍[편집 | 원본 편집]

노선번호 노선명 운행구간 운행횟수 비고
2 보건소 ↔ 축협 ↔ 쌍령동 ↔ 쌍령초교 ↔ 대쌍령 ↔ 도평리 ↔ 현산마을 58회 10~25분
2-2 보건소 ↔ 축협 ↔ 쌍령동 ↔ 대쌍령 ↔ 신일아파트 ↔ 용수리 ↔ 선동리 11.5회
2-25 축협 ↔ 보건소 ↔ 경안소방서 ↔ 세광아파트(설월리) 1회
2-26 축협 ↔ 보건소 ↔ 경안소방서 ↔ 세광아파트 14회
33-5 송정대주 ↔ 시청 ↔ 회덕동 ↔ 보건소 ↔ 축협 ↔ 쌍령동 ↔ 대쌍령 ↔ 소쌍.대림 11.5회 소쌍 출발 1회 보건소 종료
1회 축협 종료
35
35-4
35-7
보건소 ↔ 축협 ↔ 쌍령동 ↔ 도평리 6회
35-1
35-25
38-6
보건소 ↔ 축협 ↔ 쌍령동 ↔ 대쌍령 ↔ 쌍동리 ↔ 산이리 ↔ 늑현리 ↔ 선동리 ↔ 학동리 14회
35-17 축협 ↔ 보건소 ↔ 경안소방서 ↔ 세광아파트 ↔ 지월리 ↔ 도평리 ↔ 용수리 ↔ 초월중학교 5회
35-19
35-20
현산마을 ↔ 도평리 ↔ 용수리 ↔ 초월중학교 1회 초월중 행 08:20
현산 행 16:40
35-2
35-24
보건소 ↔ 축협 ↔ 쌍령동 ↔ 대쌍령 ↔ 용수리 ↔ 선동리 ↔ 신월리 ↔ 무갑리 15회 1회 축협 종료
35-21 축협 ↔ 보건소 ↔ 경안소방서 ↔ 세광아파트 ↔ 서하리 → 무갑리 → 정지리 → 서하리 7회 1회 서하리 회차
35-22
35-27
축협 ↔ 보건소 ↔ 경안소방서 ↔ 세광아파트 ↔ 서하리 ↔ 무갑리 1회 06:20 무갑리→축협, 22:05 축협→무갑리
35-3
34-15
35-6
35-7
35-8
35-9
축협 ↔ 보건소 ↔ 경안소방서 ↔ 지월리 금강아파트 18회 1회 보건소 종료, 1회 보건소 착발
35-32 축협 → 보건소 → 경안소방서 → 지월리 → 신월리 → 선동리 → 용수리 → 대쌍령 → 쌍령동 → 축협 → 보건소 4회
35-35 보건소 ᅟ→ 축협 → 쌍령동 → 대쌍령 → 용수리 → 선동리 → 지월리 → 신월리 → 경안소방서 → 보건소 → 축협 4회
35-36 축협 → 보건소 → 경안소방서 → 지월리 → 신월리 → 대쌍령 → 쌍령동 → 축협 → 보건소 2회
35-38 축협 ↔ 보건소 ↔ 경안소방서 → 세광아파트 → 지월리 → 경안소방서 1회 21:45
35-5
35-24
35-25
35-26
35-6
축협 ↔ 보건소 ↔ 밀목 ↔ 시청 ↔ 번천초교 ↔ 서하리 6회

곤지암읍·도척면[편집 | 원본 편집]

노선번호 노선명 운행구간 운행횟수 비고
37 곤지암 ↔ 도척 ↔ 마장(덕평) ↔ 청강대 ↔ 백암 1회 17:45
37-1 곤지암 ↔ 진우3리 ↔ 도척 ↔ 가마골(백암행) ↔ 마장(덕평) ↔ 청강대 ↔ 백암 1회 08:00
37-11 곤지암 ↔ 도척 ↔ 가마골(곤지암행) ↔ 마장(덕평) ↔ 청강대 ↔ 백암 1회 12:40
37-2
37-21
곤지암 ↔ 도척 ↔ 마장(덕평) ↔ 해월리 1회 곤지암 행 07:10
해월리 행 20:00
37-3 곤지암 ↔ 도웅리 ↔ 상림리 ↔ 도척 ↔ 유정리 ↔ 추곡리 11.5회
37-31 곤지암 ↔ 도웅리 ↔ 상림리(시어골) ↔ 도척 ↔ 유정리 ↔ 추곡리 2회
37-32 곤지암 ↔ 진우리 ↔ 도척 ↔ 유정리 ↔ 추곡리 3회
37-4 곤지암 ↔ 도척 ↔ 마장(덕평) ↔ 가마골(황새울행) ↔ 청강대 ↔ 백암 ↔ 황새울 1회 09:30
37-41 곤지암 ↔ 도척 ↔ 마장(덕평) ↔ 청강대 ↔ 백암 ↔ 황새울 1회 15:10
39-1 곤지암 ↔ 수양리 ↔ 동원대학교 22.5회 5~25분
39-10 곤지암 → 진우리 → 도척 → 상림리 → 도웅리 → 곤지암 1회 22:10
39-11 곤지암 ↔ 궁평리 ↔ 상림리 ↔ 시어골 2회
39-2 곤지암 → 신대리 → 곤지암 3회
39-4 곤지암 ↔ 진우리 ↔ 도척 → 방도리 → 유정리 → 도척 7회
39-5 곤지암 ↔ 진우3리 ↔ 도척 → 유정리 → 방도리 → 도척 4회
39-6 곤지암 ↔ 진우리 ↔ 도척 4회
39-7 곤지암 ↔ 진우3리 ↔ 도척 3회
39-8 곤지암 → 도웅리 → 상림리 → 도척 → 진우리 → 곤지암 4회
39-9 곤지암 → 궁평리 → 상림리 → 도척 → 진우리 → 곤지암 1회 21:30

퇴촌면·남종면·남한산성면[편집 | 원본 편집]

노선번호 노선명 운행구간 운행횟수 비고
15-1 터미널↔보건소↔밀목↔시청↔번천↔광지원↔남한산성 20회 40~60분
주말 25회
38
34-11
축협 ↔ 보건소 ↔ 밀목 ↔ 시청 ↔ 번천 ↔ 퇴촌 ↔ 관음리 ↔ 우산리 7회
38-1
35-9
축협 ← 보건소 ← 밀목 ← 시청 ← 번천 → 퇴촌 ↔ 관음리 ↔ 우산리 4.5회
38-10 축협 → 쌍령동 → 도평리 → 축협 → 보건소 → 밀목 → 시청 → 번천 → 퇴촌 ↔ 관음리 ↔ 우산리 1회 07:20
38-12 퇴촌 → 관음리 → 우산리 → 퇴촌 → 번천 → 시청 → 밀목 → 보건소 → 축협 3회
38-14 우산리 → 관음리 → 퇴촌 → 정지리 → 서하리 → 세광아파트 → 경안소방서 → 보건소 → 축협 1회 06:25
38-19 축협 ↔ 보건소 ↔ 밀목 ↔ 시청 ↔ 번천 ↔ 도마리 ↔ 퇴촌 3.5회
38-2
1-10
38-24
축협 ↔ 보건소 ↔ 밀목 ↔ 시청 ↔ 번천 ↔ 퇴촌 ↔ 분원(남종) ↔ 귀여리 ↔ 검천리 ↔ 수청리 3회
38-21 축협 → 보건소 → 밀목 → 시청 → 번천 → 퇴촌 ↔ 분원(남종) ↔ 귀여리 ↔ 검천리 ↔ 수청리 2회
38-22
38-25
축협 ← 보건소 ← 밀목 ← 시청 ← 번천 ← 퇴촌 ↔ 분원(남종) ↔ 귀여리 ↔ 검천리 ↔ 수청리 2회
38-23 퇴촌 ↔ 분원(남종) ↔ 귀여리 ↔ 검천리 ↔ 수청리 4회
38-26 수청리 ↔ 분원(남종) ↔ 퇴촌 2.5회
38-41 퇴촌 → 정지리 → 원당리 → 퇴촌 → 번천 → 시청 → 밀목 → 보건소 → 축협 3회
38-42 퇴촌 ↔ 정지리 ↔ 원당리 3회
38-43 퇴촌 → 정지리 → 원당리 → 세광아파트 → 경안소방서 → 터미널 1회 21:10
38-51
34-14
35-4
38-53
38-6
38-7
축협 ↔ 보건소 ↔ 밀목 ↔ 시청 ↔ 번천 ↔ 삼성리 ↔ 이석리 ↔ 배알미동 5회 배알미→축협 1회 퇴촌 경유
38-52 수청리 ↔ 분원(남종) ↔ 퇴촌 ↔ 삼성리 ↔ 이석리 ↔ 배알미 ↔ 하남BRT 4회 1회 퇴촌 출발
38-8 축협 → 보건소 → 밀목 → 시청 → 번천 → 퇴촌 ↔ 영동리 ↔ 운심리 ↔ 항금리 2회
38-81 축협 ← 보건소 ← 밀목 ← 시청 ← 번천 ← 퇴촌 ↔ 영동리 ↔ 운심리 ↔ 항금리 2회
38-82 퇴촌 ↔ 영동리 ↔ 운심리 ↔ 항금리 1회 20:00
38-83
38-25
축협 ↔ 보건소 ↔ 밀목 ↔ 시청 ↔ 번천 ↔ 퇴촌 ↔ 영동리 2회 1회 퇴촌 출발
38-84 축협 ↔ 보건소 ↔ 밀목 ↔ 시청 ↔ 번천 ↔ 퇴촌 ↔ 영동리 ↔ 운심리 ↔ 성덕리 1회 07:50

이천시[편집 | 원본 편집]

노선번호 노선명 운행구간 운행횟수 비고
114-1 곤지암↔수양리↔신촌리↔신둔↔관고동↔이천터미널 8회

양평군[편집 | 원본 편집]

노선번호 노선명 운행구간 운행횟수 비고
36 곤지암↔삼합양평행/건업곤지암행↔하품↔세월↔강상↔양평터미널 2회
36-1 곤지암↔삼합↔하품↔세월↔강상↔양평터미널 2회
36-10 건업→만선→오향→열미→곤지암 1회 06:20
36-11 곤지암↔건업양평행/삼합곤지암행↔하품↔세월↔강상↔양평터미널 3회
36-12 곤지암↔건업↔하품↔세월↔강상↔양평터미널 3회
36-13 곤지암↔열미↔오향↔만선↔건업 2회
36-14 곤지암↔열미↔오향↔연곡↔만선 5회
36-15 양평터미널→강상→세월→하품 1회 22:00
36-2 곤지암↔건업↔상품↔하품↔세월 1회 세월→곤지암 06:50
곤지암→세월 22:10
36-3 곤지암↔삼합↔상품↔하품 2회
36-4 곤지암↔건업↔상품↔주록리 1회 주록리→곤지암 07:00
곤지암→주록리 19:40
36-5 곤지암↔열미↔오향↔연곡↔만선→장심→이선→만선 3.5회
36-51 곤지암↔열미↔오향↔연곡↔만선↔장심리 3회
36-6 곤지암↔하열미↔중열미 4회
36-7 곤지암→오향→부향→봉현→신촌→곤지암 4회
36-71 곤지암→오향→연곡→만선→부향→봉현→부향→오향→곤지암 3회
36-72 곤지암→신촌→봉현→부향→오향→곤지암 1회 08:25
36-8 곤지암↔열미↔오향↔만선↔유사↔삼합 4.5회
36-9 곤지암↔열미↔오향↔만선 3회
Wikipedia-ico-48px.png
이 문서의 일부는 한국어 위키백과광주시의 시내버스 문서를 원출처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