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마: 두 판 사이의 차이

(감마 문서 작성)
 
잔글 (추적용 분류 강제 갱신 겸 이름 변경 반영)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넘겨주기|Γ}}
{{그리스 문자}}
{{그리스 문자}}


<big><big>'''Γ,γ'''</big></big>
<big><big>'''Γ,γ'''</big></big>


'''감마''(γάμμα  gamma)는 [[그리스 문자]]의 세 번째 글자이다.  
'''감마'''(γάμμα  gamma)는 [[그리스 문자]]의 세 번째 글자이다.
 
== 음가 ==
영어의 G와 유사하다. [[키릴 문자]] Г(Ge)는 발음 뿐 아니라 자형도 유사하다. (Γ<sup>(gr)</sup> vs Г<sup>(ru)</sup>)
 
그러나 정작 [[그리스어]]에서의 취급이 다소 괴랄한데, 고전 그리스어로는 /g/발음을 내지만, 현대 그리스어로는 /j(y)/발음에 가까운 소리를 낸다. 예로 [[기로스|γύρος]]는 과거에는 '기-로스'로 읽었으나, 현재는 '[[yee|이-]]로스'에 가깝게 읽는다.


== 용도 ==
== 용도 ==
10번째 줄: 14번째 줄:


=== 컴퓨터 및 기술 ===
=== 컴퓨터 및 기술 ===
* 감마 특성은 사진학 등에서  
* 감마 특성은 사진학 등에서 밝기 분포를 나타내는 값이다. 일반적으로는 2.2 정도이며 감마값이 커질수록 어두운 색보다 밝은 색의 밝기 차이가 커진다.
* [[감마 보정]](Gamma Correction)은 이미지의 광도를 조정하는 방식을 말한다. 감마값이 클수록 이미지가 전반적으로 밝아진다.
* [[감마 보정]](Gamma Correction)은 이미지의 광도를 조정하는 방식을 말한다. 감마값이 클수록 이미지가 전반적으로 밝아진다.
* [[감마 엔진]](γ engine)은 [[현대자동차그룹]]의 배기량 1.6리터 가솔린 엔진의 이름이다.
* [[감마 엔진]](γ engine)은 [[현대자동차그룹]]의 배기량 1.6리터 가솔린 엔진의 이름이다.
16번째 줄: 20번째 줄:


=== 수학 및 통계 ===
=== 수학 및 통계 ===
* [[감마 함수]](Beta function)은 <math>\Gamma (x) = \int_{0}^{\infty} e^{-t} t^{x-1} dt </math>로 정의되는 함수이다. 특히 [[계승]](Factorial)의 일반화 형식 중 하나로 <big>''n!=Γ(n+1)</big>로 정의된다. [[리만 제타 함수]]의 범위를 확장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 [[감마 함수]](Beta function)은 <math>\Gamma (x) = \int_{0}^{\infty} e^{-t} t^{x-1} dt </math>로 정의되는 함수이다. 특히 [[계승]](Factorial)의 일반화 형식 중 하나로 <big>''n!=Γ(n+1)''</big>로 정의된다. [[리만 제타 함수]]의 범위를 확장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 [[감마 분포]](Beta distribution)은 연속확률분포 중에 하나이다. 확률함수는 이변수 함수로 [[지수 분포]]나 [[카이제곱분포]] 등을 일반화한 분포이다.
* [[감마 분포]](Beta distribution)은 연속확률분포 중에 하나이다. 확률함수는 이변수 함수로 [[지수 분포]]나 [[카이제곱분포]] 등을 일반화한 분포이다.
* p진 감마함수는(p-adic Gamma Function)은 <math>\Gamma_p(s)=(-1)^s\prod_{0<i<s,\ p\nmid i}i</math> 형태로 정의되는 함수이다.
* p진 감마함수는(p-adic Gamma Function)은 <math>\Gamma_p(s)=(-1)^s\prod_{0<i<s,\ p\not\mid i}i</math> 형태로 정의되는 함수이다.
* γ는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Euler-Mascheroni Constant)를 나타내는데 사용하는 문자이다.
* γ는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Euler-Mascheroni Constant)를 나타내는데 사용하는 문자이다.


=== 과학 ===
=== 과학 ===
27번째 줄: 30번째 줄:
* γ는 물리학에서 전파 상수(Propagation Constant)를 나타낼 때 사용한다.
* γ는 물리학에서 전파 상수(Propagation Constant)를 나타낼 때 사용한다.
* 공학에서 γ는 표면장력(Surface Tension)이나 응력(Shear strain)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 공학에서 γ는 표면장력(Surface Tension)이나 응력(Shear strain)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 [[감마 파]]는 뇌파 중 하나이다. 뇌가 각성된 상태일 때 주로 활성화되는 뇌파로, 알파파나 베타파보다도 진동수가 높다.  
* [[감마 파]]는 뇌파 중 하나이다. 뇌가 각성된 상태일 때 주로 활성화되는 뇌파로, 알파파나 베타파보다도 진동수가 높다.
* γ는 [[바이어 명명법]]에서 세 번째로 밝은 별을 뜻한다.
* γ는 [[바이어 명명법]]에서 세 번째로 밝은 별을 뜻한다.


=== 그 외 ===
=== 그 외 ===
{{참조|wikipedia:Gamma (disambiguation)}}
{{참고|wikipedia:Gamma (disambiguation)}}
 
 
 
== 외부 링크 ==
* [[위키백과:감마]]
* {{나무위키|감마}}
 


[[분류:그리스 문자]]
[[분류:그리스 문자]]

2022년 5월 25일 (수) 18:45 기준 최신판

그리스 알파벳 RomanA-01.svg
Α Β Γ Δ Ε Ζ Η Θ Ι Κ Λ Μ Ν Ξ Ο Π Ρ Σ Τ Υ Φ Χ Ψ Ω

Γ,γ

감마(γάμμα gamma)는 그리스 문자의 세 번째 글자이다.

음가[편집 | 원본 편집]

영어의 G와 유사하다. 키릴 문자 Г(Ge)는 발음 뿐 아니라 자형도 유사하다. (Γ(gr) vs Г(ru))

그러나 정작 그리스어에서의 취급이 다소 괴랄한데, 고전 그리스어로는 /g/발음을 내지만, 현대 그리스어로는 /j(y)/발음에 가까운 소리를 낸다. 예로 γύρος는 과거에는 '기-로스'로 읽었으나, 현재는 '이-로스'에 가깝게 읽는다.

용도[편집 | 원본 편집]

그리스어의 세 번째 문자로 "세 번째"의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알파베타가 대문자가 각각 로마자의 A, B와 유사한 것에 비해 감마의 경우 대문자도 로마자와 유사한 것이 없기에 많이 사용된다.

컴퓨터 및 기술[편집 | 원본 편집]

  • 감마 특성은 사진학 등에서 밝기 분포를 나타내는 값이다. 일반적으로는 2.2 정도이며 감마값이 커질수록 어두운 색보다 밝은 색의 밝기 차이가 커진다.
  • 감마 보정(Gamma Correction)은 이미지의 광도를 조정하는 방식을 말한다. 감마값이 클수록 이미지가 전반적으로 밝아진다.
  • 감마 엔진(γ engine)은 현대자동차그룹의 배기량 1.6리터 가솔린 엔진의 이름이다.
  • 스즈키 RG 250 감마는 스즈키자동차의 오토바이 이름이다.

수학 및 통계[편집 | 원본 편집]

  • 감마 함수(Beta function)은 [math]\displaystyle{ \Gamma (x) = \int_{0}^{\infty} e^{-t} t^{x-1} dt }[/math]로 정의되는 함수이다. 특히 계승(Factorial)의 일반화 형식 중 하나로 n!=Γ(n+1)로 정의된다. 리만 제타 함수의 범위를 확장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 감마 분포(Beta distribution)은 연속확률분포 중에 하나이다. 확률함수는 이변수 함수로 지수 분포카이제곱분포 등을 일반화한 분포이다.
  • p진 감마함수는(p-adic Gamma Function)은 [math]\displaystyle{ \Gamma_p(s)=(-1)^s\prod_{0\lt i\lt s,\ p\not\mid i}i }[/math] 형태로 정의되는 함수이다.
  • γ는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Euler-Mascheroni Constant)를 나타내는데 사용하는 문자이다.

과학[편집 | 원본 편집]

  • 감마선(Gamma Ray)은 방사선 중 하나로 고에너지 전자기파이다.
  • γ는 입자물리학에서 광자(Photon)를 나타내는 기호이다.
  • γ는 물리학에서 전파 상수(Propagation Constant)를 나타낼 때 사용한다.
  • 공학에서 γ는 표면장력(Surface Tension)이나 응력(Shear strain)을 나타낼 때 사용한다.
  • 감마 파는 뇌파 중 하나이다. 뇌가 각성된 상태일 때 주로 활성화되는 뇌파로, 알파파나 베타파보다도 진동수가 높다.
  • γ는 바이어 명명법에서 세 번째로 밝은 별을 뜻한다.

그 외[편집 | 원본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