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체화 장애: 두 판 사이의 차이

(얜 질병군이 아니라 특정 질병이라니까요.)
11번째 줄: 11번째 줄:
한 마디로 자기 아들이 자폐증인데 완치시켰네 등의 개소리를 늘어놓는 야매 의원들의 경우 신체화 장애를 자폐증으로 잘못 알고 있었던 경우일 수 있다는 것.
한 마디로 자기 아들이 자폐증인데 완치시켰네 등의 개소리를 늘어놓는 야매 의원들의 경우 신체화 장애를 자폐증으로 잘못 알고 있었던 경우일 수 있다는 것.


'''국제진단기준인 ICD-10에 [[홧병]]이 등재'''되어 있다고 하는데, 이 홧병의 증상도 신체화 장애와 비슷하다.
'''국제진단기준인 ICD-10에 [[화병]]이 등재'''되어 있다고 하는데, 이 홧병의 증상도 신체화 장애와 비슷하다.


=== DSM-Ⅳ진단기준 ===
=== DSM-Ⅳ진단기준 ===

2015년 7월 2일 (목) 14:05 판

틀:의학

Somatized Disorder

Somatized Disorder 또는 Psychosomatic Disorder[1]

정신의 문제가 신체로까지 뻗어나간 장애. 지그문트 프로이트가 자신의 정신분석 이론을 만들 때 아주 많은 임상사례를 제공한 장애라고 한다.

주의할 점은, 이게 꾀병이 아니라는 것과, 분명히 정신에 의해서 발생한 문제인데도 환자의 운동 기능이 겉보기로는 신경학적 이상 또는 자폐증 정도까지 망가질 수도 있다는 것이다. 체격에 비해 이상하게 힘을 못 쓰면서 팔다리 동작이 기괴하고 표정이 항상 죽상인 경우는 거의 이 장애를 의심하면 맞는다고 한다. 정신 문제가 그렇게도 심해서 몸까지 망가졌다는 사람이 사회생활이나 대인관계 등등에 의욕이 있을 리도 없다.

한 마디로 자기 아들이 자폐증인데 완치시켰네 등의 개소리를 늘어놓는 야매 의원들의 경우 신체화 장애를 자폐증으로 잘못 알고 있었던 경우일 수 있다는 것.

국제진단기준인 ICD-10에 화병이 등재되어 있다고 하는데, 이 홧병의 증상도 신체화 장애와 비슷하다.

DSM-Ⅳ진단기준

  • 1. 다양한 신체적 증상 호소(아래 4가지 영역에 해당되어야 함)
    • 4개의 다른 신체적 증상(머리, 복부, 관절, 팔다리, 가슴, 월경동안, 성교동안, 소변동안 등)
    • 2개 이상 소화기계 증상(메스꺼움, 복부 팽만감, 구토, 설사)
    • 1개 이상의 성적 증상(성적 무관심, 발기 혹은 사정의 이상, 불규칙한 월경, 월경이 양이 지나치게 많음, 임신 중의 지속적 구토)
    • 1개 이상의 유사신경학적pseudoneurological 증상(운동협응이나 균형의 손상, 마비나 말초부위의 약화, 삼키기 어렵거나 목에 덩어리가 있음, 목소리가 안나오는 실성증, 환각, 촉감이나 통각 상실, 이중시야, 눈이 안보임, 귀가 안들림, 발작과 같은 전환증상, 기억상실증 같은 해리 증상, 현기증이 아닌 의식의 상실)
  • 2. 증상의 호소가 30세 이전에 시작해서 수년에 걸쳐 지속되며 과거에도 호소한 경력 있음
  • 3. 신체적 이상이나 물질에 의한 것이 아니어야 하며 신체적 이상이 있을 경우라도 신체적 호소와 부적응 양상이 기대되는 것보다 지나쳐야 함.
  • 4. 허위성 장애꾀병처럼 의도적으로 만들거나 과장하는 것이 아니어야 함

임상적 증상

위의 DSM 진단 기준만 보아도 알겠지만, 한 명의 환자에게서 근육통신경통내과 계열 증상, 성기능의 이상, 인지기능의 이상 등 수많은 증상들이 복합적으로 나타남에도 검사를 때려보면 그 장애에 걸맞는 이상이 발견되지 않는다는 골때리는 질환이다.

한편 신문기사 등 대중매체에서 이 질환이 인용될 때는, 아예 꾀병인 것처럼 소개하거나 그렇지 않더라도 "정신적 스트레스가 너무 심해서 몸이 진짜로 아픈 '것처럼 느껴지는' 질병"이라고 소개되는데, 틀린 설명이다. 신체화 장애를 앓는 그 환자에게는, 내과적 이상이나 신경통, 근육뭉침 등등은 진짜로 있는 것이다.

한편 근막동통증후군과 자주 엮이기도 한다. 근막동통증후군 역시 '검사해 보니까 병변이 없는데도 계속 통증을 호소', '만성적인 스트레스에 의해서 발병', '의욕감퇴나 주의집중력 분산이 자주 일어남' 등등 신체화 장애에서와 증상의 양상이 매우 비슷하고, 심지어는 근막동통증후군 역시도 정서적 상처나 과거 트라우마에 통증이 상당한 관계가 있다는 이야기도 있으며, 근막통증후군을 치료하는 의사 본인마저 근막통증후군과 신체화 장애를 같은 병으로 보기도 한다!

각주

  1. 정신과 임상의들 중에선 신체화 장애라고 하면 못 알아듣고 영문명을 불러주면 알아듣는 경우가 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