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십리역: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승강장 번호 *= *([^| ]*) *승강장 *(\||\n) +승강장 번호=\1\2))
잔글 ('틀:새 철도역 정보' 표준화 v2.0)
1번째 줄: 1번째 줄:
{{새 철도역 정보
{{사용자:Pika/대체용 틀
|역이름  = 답십리역
|원어이름 =
|부역명  =
|관할약칭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서울교통}}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서울교통}}
|글자색  = white
|글자색  = white
|관할약칭 = 서울교통공사
|역명    = 답십리역
|그림    =  
|그림    =  
|역번호  = {{역번호/한국|542|수도권|5}}
|그림설명 =  
|역코드  = 2543
|주소    = [[서울특별시]] [[성동구]] [[천호대로]] 지하300
|주소    = [[서울특별시]] [[성동구]] [[천호대로]] 지하300
|번호    = {{역번호/한국|542|수도권|5}}
|노선    = [[서울 지하철 5호선]] <small>32.5 km</small>
|관할    = [[서울교통공사]]
|개업일  = [[1995년]] [[11월 15일]]
|개업일  = [[1995년]] [[11월 15일]]
|폐지일  =
|폐지일  =  
|관할     = [[서울교통공사]]
|코드     = 2543
|승강장  = 2면 2선
|승강장  = 2면 2선
|운임구역 =  
|관련역  =  
|노선     = [[서울 지하철 5호선]] <small>32.5 km</small>
|참고    =
|비고     =  
}}
}}



2022년 1월 11일 (화) 07:33 판

{{{이름}}}
번호  542 

답십리역
踏十里驛 / Dapsimni Station

개요

서울특별시 성동구 천호대로 지하 300(舊 용답동 99번지)에 위치한 지하역.

지하 3층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출구는 8개가 있다. 엘리베이터는 3대, 에스컬레이터는 2대가 구비되어 있다.

남녀 화장실이 구비되어 있지만 3~6번 출구 방향 지하 2층 대합실에만 1개가 구비되어 있어 역 내의 화장실을 이용하려면 상당히 번거로울 수도 있는 구조이다.

역 구조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역은 반대방향으로 횡단이 불가능한 역이다.

이 역과 마장역 사이게 급커브 구간이 존재하는데 거의 드리프트 급으로 각도가 심하여 열차의 속도가 매우 느리다. 해당 구간에서 열차는 45km/h 이상의 속도로 운행할 수 없으며, 두 역 사이만 운행하는 데 1분 40초가 걸린다. 물론 소음도 매우 심하다. 상일동행/하남풍산행 열차의 진입 속도를 보면 상당히 느리게 느껴지는 것도 이 구간 때문이다.

연혁

1995년 11월 15일 : 서울 지하철 5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특징

2호선 신답역이 근처에 있다. 서울교통공사 본사가 다음역인 장한평역과 이 역 사이에 있다. 또한 이 역의 경우 개업 당시 커다란 새장이 있엇다는 것이 특징인데, 조류 인플루엔자로 인해 2009년 철거되었다고 한다.

답십리역은 원래 대합실을 통해 반대편 승강장으로 건너갈 수 있도록 되어 있었으나, 공사 이후 구조가 변경되고 현재는 개찰구로 막혀 있어 아무리 잘못 들어왔다 하더라도 반대편 승강장으로 건너가는 것이 불가능하다.

경유 열차

5호선
방화 방면
 541  마장
 542  답십리 하남검단산 · 마천 방면
 543  장한평

버스 노선

  • 서울 버스 130
  • 서울 버스 145
  • 서울 버스 303
  • 서울 버스 370
  • 서울 버스 420
  • 서울 버스 721
  • 서울 버스 1218
  • 서울 버스 2015
  • 서울 버스 2221
  • 서울 버스 3216
  • 서울 버스 8221[1]
  • 서울 심야 버스 N30
  • 경기 광역 버스 9301
  • 경기 광역 버스 9403
  • 마을버스 동대문 05

사건·사고

각주

  1. 평일 운행 맞춤 버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