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자 비난: 두 판 사이의 차이

16번째 줄: 16번째 줄:
** 허위사실로 인해 이미지가 안좋아져도 계속해서 비난을 일삼으며 대처를 제대로 안(못)했다고 피해자 탓하기를 일삼는다.<ref>가상의 사례로는 한지우 인성왜곡, 훈발놈, 진짜광기 등이 있고 현실의 사례로는 타진요, 문희준, 정준하(대표적으로 포주 논란)등이 있다.</ref>
** 허위사실로 인해 이미지가 안좋아져도 계속해서 비난을 일삼으며 대처를 제대로 안(못)했다고 피해자 탓하기를 일삼는다.<ref>가상의 사례로는 한지우 인성왜곡, 훈발놈, 진짜광기 등이 있고 현실의 사례로는 타진요, 문희준, 정준하(대표적으로 포주 논란)등이 있다.</ref>
** 마찬가지로 이미지가 좋지 않으면 선행을 해도 평소 이미지가 좋지 않으니 선행도 비난하는 행동을 일삼는다.
** 마찬가지로 이미지가 좋지 않으면 선행을 해도 평소 이미지가 좋지 않으니 선행도 비난하는 행동을 일삼는다.
* 군부심.
* 군부심에 대한 얘기로 병역복무를 끝쳤으니 미필자, 공익, 면제들을 비난을 한다. 미필자의 경우는 드물지만 공익, 면제가 주로 비난받는데 일부 군부심을 부리는 군필자들은 정공등, 정신장애 5급등으로 문제가 있어 군대를 안갔다 온 사람을 장애가 있는것을 존중해주지않고 장애인 차별등 장애가 있는것을 조롱하는등 피해자 탓하기를 일삼는다. 대표적으로 던파를 대표로 국산 게이머들을 정공겜 취급하는 경우가 대표적인 사례
** 병역복무를 끝쳤다는 이유로 미필자, 공익, 면제들을 비난을 한다. 미필자의 경우는 드물지만 공익, 면제가 주로 비난받는데 일부 군부심을 부리는 군필자들은 정공, 정신장애 5급등으로 문제가 있어 군대를 안갔다 온 사람을 장애가 있는것을 존중해주지않고 장애인 차별등 장애가 있는것을 조롱하는등 피해자 탓하기를 일삼는다.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2021년 12월 9일 (목) 10:01 판

피해자 비난(Victim blaming)는 범죄, 폭력, 학대, 집단괴롭힘 등에 있어 책임을 가해자가 아닌 피해자에게 떠넘기거나, 피해자의 잘못을 묻는 경우를 의미한다. 국내에서는 '당한놈이 잘못이지'라는 표현으로 쓰이기도 한다. 물론 당연히 궤변이며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 행위이다. 보통 대상이 약자, 소수자인 경우가 많다.

예시

  • 가정이나 학교 등에서 일어난 아동학대 행위에 대해 피해아동의 잘못을 탓하는 경우[1]
  • 학교폭력/왕따 피해자에게(도) 문제있다는 식의 발언
    • 소위 찐따 드립. 왕따 주동자와 가해자들이 문제인 것인데 디시인사이드유튜브등을 대표로 대안우파나 당할만해서 당했다와 같은 사고방식의 사람들은 피해자의 행동거지를 희화화해서 피해자가 민폐끼쳐서 그랬다는 식으로 책임전가를 하며, 왕따당하는 아이들의 행동을 희화화해 그것이 문제인 거라고 혐오선동을 자행한다.
    • 온갖 문제아들이 많은 유튜브에서도 만연한데 찐따의 책임을 과도하게 부풀리는 경향이 있다. 유튜버들의 사이버 렉카질도 옹호하는 경우가 있는데 애초에 상대가 잘못을 안했으면 이슈화 되지도 않았을 것이라며 피해자를 비난하기도 한다.[2]
    • 대안우파 성향을 가진 사람들은 소수자를 배척하는 경우가 많다. 디시, 일베, 네덕, 유튜브등이 대표적이며 성소수자 뿐만 아니라 아래의 국산 게이머, 장애인등 사회적 소수자나 소수자 취급을 받는 사람에게 집단괴롭힘을 해도 소수자니까 당해도 문제없다는 식으로 나온다.
  • 성폭행 피해자에게 옷차림이나 행동거지 등을 통해 피해자에게도 책임을 묻는 행태. 대표적인 예시로 꼬리를 쳤다, 유혹을 했다, 너무 야하게 입고 다니니까 당하지 등등
  • 학교, 가정, 군대 등 사회에서 폭력 피해를 당한 이에게 "맞을 만한 짓을 했겠지"라고 발언하는 경우.
  • 선민사상에 빠진 게이머들
    • 보통 국산게임에 강한 적대감을 드러내고 있으며 해외 게임의 유저나 유독 갓겜충이 많은 스마일게이트의 소울워커, 로스트아크 등의 게이머들은 국산 게임이나 3N 게임을 욕하는데서 끝나지 않고 유저들까지 조롱하는일이 흔하게 벌어지고 있고 그 게임의 유저들이 반발을 할 경우 개돼지등으로 몰아가며 해당 게이머들을 조롱한다.
  • 평상시의 이미지가 좋지 않을 경우 좋지 않은 대상을 향해 2차 가해를 하는 경우
    • 연예인들에게 도가 지나친 악플들이 달릴때 연예인이 악플러들을 고소할경우 고소를 한 연예인의 멘탈에 문제가 있다는등 연예인들이 악플을 받는것을 정당화 한다.
    • 평상시 이미지가 안좋은 대상에게 허위사실로 선동을 했을때 그것이 잘못됐다고 지적해도 평소 이미지가 좋지 않으니 거짓선동을 받아도 문제없다는 식으로 책임전가를 가한다.
    • 허위사실로 인해 이미지가 안좋아져도 계속해서 비난을 일삼으며 대처를 제대로 안(못)했다고 피해자 탓하기를 일삼는다.[3]
    • 마찬가지로 이미지가 좋지 않으면 선행을 해도 평소 이미지가 좋지 않으니 선행도 비난하는 행동을 일삼는다.
  • 군부심에 대한 얘기로 병역복무를 끝쳤으니 미필자, 공익, 면제들을 비난을 한다. 미필자의 경우는 드물지만 공익, 면제가 주로 비난받는데 일부 군부심을 부리는 군필자들은 정공등, 정신장애 5급등으로 문제가 있어 군대를 안갔다 온 사람을 장애가 있는것을 존중해주지않고 장애인 차별등 장애가 있는것을 조롱하는등 피해자 탓하기를 일삼는다. 대표적으로 던파를 대표로 국산 게이머들을 정공겜 취급하는 경우가 대표적인 사례

같이 보기

각주

  1. 사랑의 매 드립이라던가, 얼마나 애가 힘들게 했으면 부모/선생이 그렇게까지 했겠냐는 식의 발언도 포함.
  2. 이는 100% 틀린말은 아니지만 인신공격의 오류인게 그걸 이슈화시킨 렉카들도 잘못이 없는건 아니다.
  3. 가상의 사례로는 한지우 인성왜곡, 훈발놈, 진짜광기 등이 있고 현실의 사례로는 타진요, 문희준, 정준하(대표적으로 포주 논란)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