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과응보: 두 판 사이의 차이

(부족한 부분은 추가를 부탁드립니다 :))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인과응보(因果應報)'''전생의 업보가 후생에 영향을 끼친다는 [[불교]]에서 온 용어이다.
{{한자성어
| 因 | 인할 ''''''<ref>원인</ref>
| 果 | 열매 '''과'''<ref>결과</ref>
| 應 | 응할 '''응'''
| 報 | 갚을 '''보'''
}}
 
전생의 업보가 후생에 영향을 끼친다는 [[불교]] 용어이다.


== 설명 ==
== 설명 ==
불교에서는 '덕(혹은 업보)'를 상당히 중요한 원동력으로 본다. 이 업보로 인해 인간은 다시 인간이 될 수도 있으나, 만물의 크고 작은 모든 것들로 다시 태어난다고 보기 때문이다. 또한 같은 인간이더라도 그 업보에 의해 능력과 외모가 처참 할 수도 있다고 한다. 그 때문에 스님들은 자신들의 부정적 업보를 쌓지 않으려 항상 수련하여 비우는 것이다. 그렇게 하여 자신의 업보를 끊임 없이 지워나가고, 선한 업보를 쌓으면 점차 해탈의 경지로 이어진다고 한다. 인과응보는 바로 그런 결에서 온 단어이다.
불교에서는 '덕(혹은 업보)'를 상당히 중요한 원동력으로 본다. 이 업보로 인해 [[인간]]은 다시 인간이 될 수도 있으나, 만물의 크고 작은 모든 것들로 다시 태어난다고 보기 때문이다. 또한 같은 인간이더라도 그 업보에 의해 능력과 외모가 처참 할 수도 있다고 한다. 그 때문에 [[스님]]들은 자신들의 부정적 업보를 쌓지 않으려 항상 수련하여 비우는 것이다. 그렇게 하여 자신의 업보를 끊임없이 지워나가고, 선한 업보를 쌓으면 점차 해탈의 경지로 이어진다고 한다. 인과응보는 바로 그런 결에서 온 단어이다.


'''좋은 원인은 좋은 결과를 내고, 나쁜 원인은 나쁜 결과를 낸다'''는 뜻을 가졌다. 이는 [[자업자득]]과 다른데, 자업자득은 평상시 악행으로 인한 선의의 징벌이 있을 때 주로 사용되는 것이 맞다. 흔히 도덕적으로 악행을 저지르던 사람이 크게 당하는 장면에서 '자업자득'을 쓸 수 있는 셈.
'''좋은 원인은 좋은 결과를 내고, 나쁜 원인은 나쁜 결과를 낸다'''는 뜻을 가졌다. 이는 [[자업자득]]과 다른데, 자업자득은 평상시 악행으로 인한 선의의 징벌이 있을 때 주로 사용되는 것이 맞다. 흔히 도덕적으로 악행을 저지르던 사람이 크게 당하는 장면에서 '자업자득'을 쓸 수 있는 셈.
12번째 줄: 19번째 줄:
* [[권선징악]]
* [[권선징악]]


 
{{각주}}
[[분류:한자성어]]
[[분류:한자성어]]
{{각주}}
[[분류:불교]]

2021년 8월 26일 (목) 14:33 기준 최신판

인할 [1]
열매 [2]
응할
갚을

전생의 업보가 후생에 영향을 끼친다는 불교 용어이다.

설명[편집 | 원본 편집]

불교에서는 '덕(혹은 업보)'를 상당히 중요한 원동력으로 본다. 이 업보로 인해 인간은 다시 인간이 될 수도 있으나, 만물의 크고 작은 모든 것들로 다시 태어난다고 보기 때문이다. 또한 같은 인간이더라도 그 업보에 의해 능력과 외모가 처참 할 수도 있다고 한다. 그 때문에 스님들은 자신들의 부정적 업보를 쌓지 않으려 항상 수련하여 비우는 것이다. 그렇게 하여 자신의 업보를 끊임없이 지워나가고, 선한 업보를 쌓으면 점차 해탈의 경지로 이어진다고 한다. 인과응보는 바로 그런 결에서 온 단어이다.

좋은 원인은 좋은 결과를 내고, 나쁜 원인은 나쁜 결과를 낸다는 뜻을 가졌다. 이는 자업자득과 다른데, 자업자득은 평상시 악행으로 인한 선의의 징벌이 있을 때 주로 사용되는 것이 맞다. 흔히 도덕적으로 악행을 저지르던 사람이 크게 당하는 장면에서 '자업자득'을 쓸 수 있는 셈.

관련 문서[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원인
  2.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