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HotCat을 사용해서 분류:한자성어 삭제함)
(→‎특성: 초한지와 초한쟁패기 구분)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4번째 줄: 4번째 줄:
옛 이야기를 하나씩 끼고 있다보니 오래된 사건의 이야기에서만 비롯되는 줄 아는 경우가 있는데 꼭 그렇지만은 않다. 근현대사에 있었던 이야기를 한자로 함축하여 성어를 만든다면 그 또한 고사성어의 반열에 들 수도 있다. 물론 근현대사인만큼 고사라고 하기는 어렵겠지만 어느 정도 대중에게 인정되어 오랜 시간 살아남는다면 고사성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이런 의미에서 보면, 어떤 사건이나 이야기를 요약한 말이 나오고, 그 말이 관련된 이야기와 함께 오랜 세월 살아남아 전해지는 것이 고사성어의 주요한 특성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옛 이야기를 하나씩 끼고 있다보니 오래된 사건의 이야기에서만 비롯되는 줄 아는 경우가 있는데 꼭 그렇지만은 않다. 근현대사에 있었던 이야기를 한자로 함축하여 성어를 만든다면 그 또한 고사성어의 반열에 들 수도 있다. 물론 근현대사인만큼 고사라고 하기는 어렵겠지만 어느 정도 대중에게 인정되어 오랜 시간 살아남는다면 고사성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이런 의미에서 보면, 어떤 사건이나 이야기를 요약한 말이 나오고, 그 말이 관련된 이야기와 함께 오랜 세월 살아남아 전해지는 것이 고사성어의 주요한 특성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고사성어가 많이 만들어진 시기를 보면 대체로 혼란기인 경우가 많은데, 실제로 [[춘추전국시대]]와 [[초한지]]관련 이야기에서 유래한 고사성어가 상당히 많이 알려져 있으며, 이외에 [[삼국지]]나 《[[삼국지연의]]》에서 유래한 고사성어들도 꽤 있다.
고사성어가 많이 만들어진 시기를 보면 대체로 혼란기인 경우가 많은데, 실제로 [[춘추전국시대]]와 [[초한쟁패기]] 관련 이야기에서 유래한 고사성어가 상당히 많이 알려져 있으며, 이외에 [[삼국지]]나 《[[삼국지연의]]》에서 유래한 고사성어들도 꽤 있다.


한 가지 재미난 사실은 [[한국]]만의 고사성어도 있다는 것인데, 이는 한국도 한자 문화권에 속하고 그 역사가 오래되다 보니 관련된 이야기와 그에 대한 요약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경우가 [[조선시대]] [[황희]] 정승과 연관된 [[계란유골]]이다. 그 기원을 따지기에 따라서는 고사성어가 아닌 민간어원설이 들어갈 여지 또한 존재하여 완전히 단정짓기는 어렵지만, 고사성어라고 하여서 무조건 [[중국]]만의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한 가지 재미난 사실은 [[한국]]만의 고사성어도 있다는 것인데, 이는 한국도 한자 문화권에 속하고 그 역사가 오래되다 보니 관련된 이야기와 그에 대한 요약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경우가 [[조선시대]] [[황희]] 정승과 연관된 [[계란유골]]이다. 그 기원을 따지기에 따라서는 고사성어가 아닌 민간어원설이 들어갈 여지 또한 존재하여 완전히 단정짓기는 어렵지만, 고사성어라고 하여서 무조건 [[중국]]만의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13번째 줄: 13번째 줄:


{{각주}}
{{각주}}
[[분류:고사성어| ]]
[[분류:고사성어| ]][[분류:한자성어| ]]

2021년 7월 11일 (일) 19:08 기준 최신판

고사성어(故事成語)는 한자성어의 일종으로 옛 문헌이나 이야기 등에 기록된 이야기에서 비롯된 말을 한자 특유의 함축성으로 축약하여 간단한 글자 몇 개로 나타내는 것이 특성이다. 기본적으로 한자성어의 특성 모두에 해당하지만 고사성어라고 불리려면 그에 관련된 이야기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

특성[편집 | 원본 편집]

옛 이야기를 하나씩 끼고 있다보니 오래된 사건의 이야기에서만 비롯되는 줄 아는 경우가 있는데 꼭 그렇지만은 않다. 근현대사에 있었던 이야기를 한자로 함축하여 성어를 만든다면 그 또한 고사성어의 반열에 들 수도 있다. 물론 근현대사인만큼 고사라고 하기는 어렵겠지만 어느 정도 대중에게 인정되어 오랜 시간 살아남는다면 고사성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이런 의미에서 보면, 어떤 사건이나 이야기를 요약한 말이 나오고, 그 말이 관련된 이야기와 함께 오랜 세월 살아남아 전해지는 것이 고사성어의 주요한 특성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고사성어가 많이 만들어진 시기를 보면 대체로 혼란기인 경우가 많은데, 실제로 춘추전국시대초한쟁패기 관련 이야기에서 유래한 고사성어가 상당히 많이 알려져 있으며, 이외에 삼국지나 《삼국지연의》에서 유래한 고사성어들도 꽤 있다.

한 가지 재미난 사실은 한국만의 고사성어도 있다는 것인데, 이는 한국도 한자 문화권에 속하고 그 역사가 오래되다 보니 관련된 이야기와 그에 대한 요약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경우가 조선시대 황희 정승과 연관된 계란유골이다. 그 기원을 따지기에 따라서는 고사성어가 아닌 민간어원설이 들어갈 여지 또한 존재하여 완전히 단정짓기는 어렵지만, 고사성어라고 하여서 무조건 중국만의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같이 보기[편집 | 원본 편집]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