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코믹: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다른 뜻|웹툰|전반적인 인터넷 게재 만화|대한민국의 인터넷 게재 만화}} '''웹코믹'''(Webcomic)은 인터넷, 즉 월드 와이드 웹을 통해...)
 
잔글 (오류 수정 (빈칸))
10번째 줄: 10번째 줄:
== 유형 ==
== 유형 ==
작품 형식별로 웹코믹을 나누자면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작품 형식별로 웹코믹을 나누자면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 종이 매체([[만화 잡지]], [[신문]] 등)에 연재되던 만화를 인터넷에서도 서비스하는 '''전재형'''
# 종이 매체([[만화 잡지]], [[신문]] 등)에 연재되던 만화를 인터넷에서도 서비스하는 '''전재형'''
# 웹 환경에 맞추어 컷을 배분하고 연출한 '''특화형'''
# 웹 환경에 맞추어 컷을 배분하고 연출한 '''특화형'''

2021년 6월 19일 (토) 18:05 판

웹코믹(Webcomic)은 인터넷, 즉 월드 와이드 웹을 통해서 유통·발표되는 형식의 만화 작품을 가리킨다. 소위 말하는 인터넷 만화, 웹 만화를 뜻한다. 대한민국에서는 웹에 게재되는 만화를 웹툰이라고 부르지만 이는 한국에서만 사용하는 명칭으로, 다른 국가에서는 웹코믹이라는 명칭으로 통일하고 있다.

역사

전자 네트워크를 통해 발표된 만화 작품은 인터넷이 대중화되기 전부터 있었다. 바로 1985년미국PC통신 서비스 CompuServe에 업로드된 에릭 밀리킨(Eric Millikin)의 《Witches and Stitches》다.[1] 당시 초등학생이던 밀리킨이 통신망에 올린 이 만화는 《오즈의 마법사》의 패러디 작품이었는데, 비록 웹 환경이 아니더라도 최초의 웹코믹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특징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유형

작품 형식별로 웹코믹을 나누자면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종이 매체(만화 잡지, 신문 등)에 연재되던 만화를 인터넷에서도 서비스하는 전재형
  2. 웹 환경에 맞추어 컷을 배분하고 연출한 특화형


간단히 예를 들자면, 웹 브라우저에서 세로 스크롤을 전제로 위에서 아래로 내리며 열람하는 형식의 웹코믹이 특화형이다. 한국의 웹툰은 대개 이런 형식이다.

웹코믹 서비스

웹툰 서비스

각주

  1. 오제훈 (2013년 8월 30일). 네모 이야기를 시작하며 | YES24 문화웹진 채널예스. 예스이십사, YES24. 2018년 4월 22일에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