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 용어: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위키니트 1039365판)
3번째 줄: 3번째 줄:
== 사용자 ==
== 사용자 ==
=== 위키러 ===
=== 위키러 ===
'''위키러'''는 [[위키]]를 이용하는 사람을 통칭하는 [[대한민국]]의 인터넷 속어이다. 즉, [[기여자]]뿐만 아니라 단순 [[독자]]도 위키러로 볼 수 있다. 2010년 [[엔하위키]](현 리그베다 위키)에서 발생한 속어로<ref>[http://rigvedawiki.net/w/%EC%9C%84%ED%82%A4%EB%9F%AC?action=recall&rev=1.1 리그베다 위키의 '위키러' 1판], 2010.5.10</ref>, 본 [[리브레 위키]]와 [[나무위키]]에서도 일상적인 표현으로 굳어졌다.
'''위키러'''는 [[위키]]를 이용하는 사람을 통칭하는 [[대한민국]]의 인터넷 속어로, 위키와 [[니트]](NEET)의 합성어이다. 즉, [[기여자]]뿐만 아니라 단순 [[독자]]도 위키러로 볼 수 있다. 2010년 [[엔하위키]](현 리그베다 위키)에서 발생한 속어로<ref>[http://rigvedawiki.net/w/%EC%9C%84%ED%82%A4%EB%9F%AC?action=recall&rev=1.1 리그베다 위키의 '위키러' 1판], 2010.5.10</ref>, 본 [[리브레 위키]]와 [[나무위키]]에서도 일상적인 표현으로 굳어졌다.


위키러라는 단어의 유래는 『위키(wiki)』와 OO하는 사람을 뜻하는 [[영어]] 접미사인 『~er』가 합쳐진 합성말로 굳이 한글로 쓰자면'wikier'이기 때문에 발음은 '''위키어'''가 맞지만, "-[[러]]" 사용 문화에 영향을 받아 '''위키러'''로 불리고 있다.  
위키러라는 단어의 유래는 『위키(wiki)』와 OO하는 사람을 뜻하는 [[영어]] 접미사인 『~er』가 합쳐진 합성말로 굳이 한글로 쓰자면'wikier'이기 때문에 발음은 '''위키어'''가 맞지만, "-[[러]]" 사용 문화에 영향을 받아 '''위키러'''로 불리고 있다.  
10번째 줄: 10번째 줄:


=== 위키니트 ===
=== 위키니트 ===
'''위키니트''(Wiki NEET)'는 [[위키]] 사이트의 기여자들을 [[니트]]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 위키러와는 비슷하면서도 조금은 다른 의미인데 정확히 표현하면 평소 시간의 대부분을 [[위키질]]에 소비하는 사람들로 니트라는 단어가 주는 어감에서 위키만 하고 있다는 자조적인 느낌이 강하다.
기여를 많이 한다는 의미에서 헤비기여러 또는 헤비위키러라고도 한다. 영단어 Heavy와 위키에서 문서를 편집하는 뜻을 지닌 기여, 그리고 영어에서 사람을 의미하는 접미어인 er의 합성어.


=== 위키페어리 ===
=== 위키페어리 ===
16번째 줄: 19번째 줄:


==유의어·파생어==
==유의어·파생어==
<!--*[[위키니트]]
<!--
*:위키와 [[니트]](NEET)의 합성어. 할 일도 없이 위키나 하고 앉았느냐는 {{--|자조}}비하적인 의미를 품고 있는 비칭이라고 할 수 있다.
*[[위키페어리]]
*[[위키페어리]]
*:위키와 [[요정]]을 의미하는 [[페어리]](fairy)의 합성어. 위키니트가 자조적인 어감을 담고 있다면 이쪽은 긍정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 [[맞춤법]] 및 [[오타]] 수정 등, 수고로운 [[교정]] 작업을 아무도 모르게 해주는 요정 같은 위키러를 지칭하는 말이다.
*:위키와 [[요정]]을 의미하는 [[페어리]](fairy)의 합성어. 위키니트가 자조적인 어감을 담고 있다면 이쪽은 긍정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 [[맞춤법]] 및 [[오타]] 수정 등, 수고로운 [[교정]] 작업을 아무도 모르게 해주는 요정 같은 위키러를 지칭하는 말이다.
24번째 줄: 26번째 줄:


{{각주}}
{{각주}}
{{문서 가져옴|위키니트|1039365}}


[[분류:위키 용어]]
[[분류:위키 용어]]
[[분류:속어]]
[[분류:속어]]

2020년 12월 20일 (일) 19:11 판

위키 내에서만 사용되는 단어들이나 위키 내에서는 다른 의미로 사용되는 단어들을 모은 문서이다.

사용자

위키러

위키러위키를 이용하는 사람을 통칭하는 대한민국의 인터넷 속어로, 위키와 니트(NEET)의 합성어이다. 즉, 기여자뿐만 아니라 단순 독자도 위키러로 볼 수 있다. 2010년 엔하위키(현 리그베다 위키)에서 발생한 속어로[1], 본 리브레 위키나무위키에서도 일상적인 표현으로 굳어졌다.

위키러라는 단어의 유래는 『위키(wiki)』와 OO하는 사람을 뜻하는 영어 접미사인 『~er』가 합쳐진 합성말로 굳이 한글로 쓰자면'wikier'이기 때문에 발음은 위키어가 맞지만, "-" 사용 문화에 영향을 받아 위키러로 불리고 있다.

일종의 콩글리쉬로, 영어권에서는Wiki User, wikier라는 말이 주로 쓰이며, 위키피디아 한정으로 위키피디안(wikipedian)이라는 표현이 있기는 하지만, 이곳 리브레 위키를 비롯한 한국의 위키에서는 위키러라는 표현을 더 많이 쓰고 있다. 이런 용법은 2000년대 후반에 한국 인터넷에서 유행하기 시작한 소위 어미(존잘러, 글러 등)의 영향을 받아 리그베다 위키에 위키러라는 문서가 작성되면서 퍼진 것으로 추정된다.[2]

위키니트

'위키니트(Wiki NEET)'는 위키 사이트의 기여자들을 니트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 위키러와는 비슷하면서도 조금은 다른 의미인데 정확히 표현하면 평소 시간의 대부분을 위키질에 소비하는 사람들로 니트라는 단어가 주는 어감에서 위키만 하고 있다는 자조적인 느낌이 강하다.

기여를 많이 한다는 의미에서 헤비기여러 또는 헤비위키러라고도 한다. 영단어 Heavy와 위키에서 문서를 편집하는 뜻을 지닌 기여, 그리고 영어에서 사람을 의미하는 접미어인 er의 합성어.

위키페어리

위키모이

유의어·파생어

각주

  1. 리그베다 위키의 '위키러' 1판, 2010.5.10
  2.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wiki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이 문서의 전체 혹은 일부는 위키니트 문서의 1039365판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