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R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 뜻}}
{{철도회사
{{법인 정보
| 한국어명 = 주식회사 에스알
|법인이름 = SR
| 일본어명 =  
|원어이름 =  
| 영어명 = SR Corporation
|로고    = [[파일:SR Corporation logo.svg|200px]]
| 배경색 = {{철도 노선색|SRT}}
|그림    =  
| 로고 = SR_Logo.jpg
|그림설명 =  
| 그림설명 =
|법인종류 = 사기업
| 본사 =  
|주식코드 =  
| 그림설명2 =  
|분야    = 고속철도 운행, 관리
| 약칭 = SR
|창립자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창립일  = [[2013년]]
| 설립년도 = [[2013년]]
|해산일  =
| 해체년도 =
|이전회사 =
| 권역 = [[대한민국]]
|이후회사 =  
| 연장 =  
|본사    = [[대한민국]]
| 웹사이트 = https://www.srail.co.kr/
|지사수  =
|인물    =
|자본금  =
|매출액  =
|영업이익 =
|순이익  =
|자산총액 =
|주주    =
|모회사  =
|자회사  =
|종업원  =  
|웹사이트 = https://www.srail.co.kr/
|비고    =
}}
}}
[[SRT]]를 운영하는 기업이다.
주식회사 SR은 [[수도권고속철도]]를 운영하는 기업이다.  


== 소개 ==
== 소개 ==
[[이명박]] 정부 시절, [[호남고속철도]] 민영화를 추진하려다 여론의 역풍으로 사업이 백지화되고, 본래 호남고속철도 계획의 수서 ~ 평택 구간을 따로 분리하여 [[수도권고속철도]]라는 별개의 노선으로 명칭을 부여하였고, 완전 민간투자 방식으로 탈피하여 [[한국철도공사]]의 자회사 개념으로 고속철도사업면허를 발급받은 이후, 주식회사 수서고속철도라는 사명으로 출발했다. 이후 [[박근혜]] 정부로 정권이 교체되고, 한국철도공사, 사학연금, 중소기업은행, 산업은행 등 공공출자 형태로 지분을 정리하였으며 [[2014년]] 사명을 주식회사 SR로 변경하였다.
[[이명박]] 정부 시절, [[호남고속철도]] 민영화를 추진하려다 여론의 역풍으로 사업이 백지화되고, 본래 호남고속철도 전용으로 사용하려던 [[수서역]]을 기점으로 건설되던 [[수서평택고속선]]을 따로 분리하여 [[수도권고속철도]]라는 별개의 노선으로 명칭을 부여하였고, 완전 민간투자 방식으로 탈피하여 [[한국철도공사]]의 자회사 개념으로 고속철도사업면허를 발급받은 이후, 주식회사 수서고속철도라는 사명으로 출발했다. 이후 [[박근혜]] 정부로 정권이 교체되고, 한국철도공사, 사학연금, 중소기업은행, 산업은행 등 공공출자 형태로 지분을 정리하였으며 [[2014년]] 사명을 주식회사 SR로 변경하였다.


== 연혁 ==
== 연혁 ==
38번째 줄: 25번째 줄:
* [[2014년]] [[3월 18일]] : [[현대로템]]에 전용 고속철도차량 10편성 발주.
* [[2014년]] [[3월 18일]] : [[현대로템]]에 전용 고속철도차량 10편성 발주.
* [[2014년]] [[6월 11일]] : 사명을 주식회사 SR로 변경.
* [[2014년]] [[6월 11일]] : 사명을 주식회사 SR로 변경.
* [[2015년]] [[8월 17일]] : 본사를 [[대전광역시]] [[대전 서구|서구]] [[둔산동]]에서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으로 이전.
* [[2015년]] [[8월 17일]] : 본사를 [[대전광역시]] [[서구 (대전광역시)|서구]] [[둔산동]]에서 [[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으로 이전.
* [[2015년]] [[10월 20일]] : 발주한 고속철도 차량 1호기 출고.
* [[2015년]] [[10월 20일]] : 발주한 고속철도 차량 1호기 출고.
* [[2016년]] [[2월 1일]] : 전용 고속철도 차량의 명칭을 [[SRT]]로 명명.
* [[2016년]] [[2월 1일]] : 전용 고속철도 차량의 명칭을 [[SRT (고속열차)|SRT]]로 명명.
* [[2016년]] [[12월 9일]] : [[수서평택고속선]] 및 [[SRT]] 개통.<ref>본 계획상 [[2015년]] [[12월]] 개통을 목표로 했었으나, 1,2공구 담당 건설사인 [[경남기업]]의 부도, 건설구간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2016년]] [[8월]]로 연기했다. 그후 [[율현터널]] [[용인시|용인]] 구간에서 발견된 균열을 보수하는 기간이 늘어나면서 동년 [[12월]]로 개통을 연기했다.</ref>.
* [[2016년]] [[12월]] : [[수도권고속철도]] 개통 예정<ref>본 계획상 [[2015년]] [[12월]] 개통을 목표로 했었으나, 1,2공구 담당 건설사인 [[경남기업]]의 부도, 건설구간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2016년]] [[8월]]로 연기했다. 그후 [[율현터널]] [[용인시|용인]] 구간에서 발견된 균열을 보수하는 기간이 늘어나면서 동년 [[12월]]로 개통을 연기했다.</ref>.
* [[2017년]] [[6월 30일]] : [[SRT]] 누적 이용객 1천만명 돌파.<reF>[http://www.yonhapnewstv.co.kr/MYH20170630019300038/?did=1825m SRT 이용객 1천만명 돌파…914만km 달려], 연합뉴스TV, [[2017년]] [[6월 30일]]</ref>
* [[2023년]] [[9월 1일]] : [[전라선]], [[동해선]], [[경전선]] 계통 SRT 운행 개시


== 지분구조 및 민영화 ==
== 지분구조 및 민영화 ==
본래 취지는 [[한국철도공사]]의 독과점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호경쟁체제를 목적으로 민영화를 추진했다. 하지만 완전한 민간기업으로 전환하려던 계획은 여론의 우려로 불식되었고, '''자회사와 경쟁체제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논리를 펼친 한국철도공사의 반발도 상당하였다. 그래도 경쟁체제를 통한 서비스 향상 및 가격경쟁 유도를 목표로 정부차원에서 공공기금을 투입하기로 결정하였고, [[2016년]] 현재 지분구조는 다음과 같다.
본래 취지는 [[한국철도공사]]의 독과점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호경쟁체제를 목적으로 민영화를 추진했다. 하지만 완전한 민간기업으로 전환하려던 계획은 여론의 우려로 불식되었고, '''자회사와 경쟁체제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논리를 펼친 한국철도공사의 반발도 상당하였다. 그래도 경쟁체제를 통한 서비스 향상 및 가격경쟁 유도를 목표로 정부차원에서 공공기금을 투입하기로 결정하였고, [[2016년]] 현재 지분구조는 다음과 같다.
* [[한국철도공사]] : 41%
* [[한국철도공사]] : 41%
* [[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 : 31.5%
* [[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 : 31.5%
55번째 줄: 41번째 줄:


== 운영현황 ==
== 운영현황 ==
수도권고속철도 전용역인 [[수서역]], [[동탄역]], [[평택지제역]]을 운영하며, [[수서평택고속선]] 구간에 대한 전반적인 운영 및 유지관리를 담당한다.
수도권고속철도 전용역인 [[수서역]], [[동탄역]], [[지제역]]을 운영하며, [[수서평택고속선]] 구간에 대한 전반적인 운영 및 유지관리를 담당한다.
 
실질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기관사, [[수서역]] 및 SR 소속 임직원들 뿐으로, 나머지 역사 관리 업무나 차량 정비, 전산, 객실 승무원<ref>유니폼은 SR 복장을 착용하지만, 소속은 SR이 아닌 모기업 자회사인 코레일 관광개발이다. SR 출범 당시에도 SR 직고용이 아닌 민간 외주업체에서 파견을 나오는 형태였다가 문재인 정부 들어 비정규직 차별 금지 등 정책의 영향으로 코레일 관광개발로 소속이 전환된 것.</ref> 같은 것은 모회사인 코레일이나 코레일 자회사([[코레일네트웍스]] 등)에게 외주주고 있는 형태이다. 선로 관리는 [[국가철도공단]]의 고유 업무이며, 수서역에는 차량 이상 등 비상시에 대비한 코레일 정비반의 사무실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운영비의 비중이 높은 인건비와 차량 유지보수를 외주 형태로 내보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코레일에 비해 수익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노선 ===
=== 노선 ===
; [[경부고속선]] 계통
* [[경부고속선]] 계통
: [[수서평택고속선]] [[수서역]] ~ [[동탄역]] ~ [[평택지제역]]을 거쳐 [[경부고속선]]에 진입한 후, [[천안아산역]] ~ [[오송역]] ~ [[대전역]] ~ [[김천구미역]] ~ [[동대구역]]<ref>현재 [[대구광역시]]와 해당 지역구 [[국회의원]]이 야심차게 추진하고 있는 [http://www.idaegu.co.kr/news.php?code=po01&mode=view&num=195749 서대구역 계획]이 실현되면 SR의 노선은 동대구역이 아닌 서대구역을 거치게 될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이럴경우 현재 존치중인 대구북연결선을 통해 서대구역을 경유한 후 다시 동대구역을 거쳐 다시 경부고속선 본선에 진입할 것으로 보인다.</ref> ~ [[신경주역]] ~ [[울산역]] ~ [[부산역]]에 종착하는 운행계통이다.
: [[수서평택고속선]] [[수서역]] ~ [[동탄역]]을 거쳐 [[경부고속선]]에 진입한 후, [[천안아산역]] ~ [[오송역]] ~ [[대전역]] ~ [[김천구미역]] ~ [[동대구역]]<ref>현재 [[대구광역시]]와 해당 지역구 [[국회의원]]이 야심차게 추진하고 있는 [http://www.idaegu.co.kr/news.php?code=po01&mode=view&num=195749 서대구역 계획]이 실현되면 SR의 노선은 동대구역이 아닌 서대구역을 거치게 될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이럴경우 현재 존치중인 대구북연결선을 통해 서대구역을 경유한 후 다시 동대구역을 거쳐 다시 경부고속선 본선에 진입할 것으로 보인다.</ref> ~ [[신경주역]] ~ [[울산역]] ~ [[부산역]]에 종착하는 운행계통이다.
; [[호남고속선]] 계통
* [[호남고속선]] 계통
: [[오송역]]에서 [[호남고속선]]에 진입한 후, [[공주역]] ~ [[익산역]] ~ [[정읍역]] ~ [[광주송정역]] ~ [[나주역]] ~ [[목포역]]에 종착하는 운행계통이다.
: [[오송역]]에서 [[호남고속선]]에 진입한 후, [[공주역]] ~ [[익산역]] ~ [[정읍역]] ~ [[광주송정역]] ~ [[나주역]] ~ [[목포역]]에 종착하는 운행계통이다.
; [[전라선]], [[동해선]](포항), [[경전선]](진주) 계통
 
: [[2023년]] [[9월 1일]]부터 운행을 시작하였다. 운행 횟수는 1일 2왕복으로 사실상 오전 1왕복, 오후 1왕복 수준의 상징성이 부여된 정도이며 오히려 노선 확대로 인해 차량이 부족한 SR측은 경부고속선의 운행 횟수를 줄일 수 밖에 없게 되었다.
현재 SR이 운영할 노선은 철저하게 고속선 본선구간을 경유하도록 되어있다. 향후 수요 및 [[국토교통부]]와의 조율로 [[전라선]], [[경전선]], [[동해선]] 등 다양한 형태의 운행계통이 추가될 가능성은 남아있다.  


=== 차량 ===
=== 차량 ===
{{참고|KTX-산천/2세대}}
SR의 고속열차 명칭은 SRT로 정해졌으며, 세부적으로는 철도공사에서 임대한 120000호대 22편성과 SR이 발주한 130000호대 10편성을 의미한다. 또한 130000호대 도입이 완료되기 이전<ref>차량 제작이 완료되더라도 곧바로 영업에 투입되지않고 안정성을 검증할 목적으로 일정기간 영업노선에서 시운전을 거쳐야 한다.</ref>까지는 한시적으로 철도공사의 KTX-산천 110000호대 5편성이 대체열차로 투입된다. 출범 시점에서 한국철도공사가 SR의 지분 41%를 보유하기에 열차를 빌려주는 것은 용이하다.
SR의 고속열차 명칭은 [[SRT]]로 정해졌으며, 세부적으로는 철도공사에서 임대한 120000호대 22편성과 SR이 발주한 130000호대 10편성을 의미한다. 또한 130000호대 도입이 완료되기 이전<ref>차량 제작이 완료되더라도 곧바로 영업에 투입되지않고 안정성을 검증할 목적으로 일정기간 영업노선에서 시운전을 거쳐야 한다.</ref>까지는 한시적으로 철도공사의 KTX-산천 110000호대 5편성이 대체열차로 투입된다. 출범 시점에서 한국철도공사가 SR의 지분 41%를 보유하기에 열차를 빌려주는 것은 용이하다.
 
* 120000호대
* [[SRT (고속열차)/120000호대]]
*: 본래 [[호남고속철도]] 민영화를 대비하여 발주하였던 22편성이 [[수도권고속철도]] 운영사인 SR측에 임대형식으로 넘어왔다. 운영주체가 변경됨에 따라 열차명칭 역시 철도공사 시절의 [[KTX-산천]]이 아닌 SR의 전용열차 명칭인 [[SRT]]로 변경되었으며, SR이 다시 철도공사로 흡수되는 최악의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 한 퇴역시까지 SRT로 운행하게 된다.
: 본래 [[호남고속철도]] 민영화를 대비하여 발주하였던 22편성이 [[수도권고속철도]] 운영사인 SR측에 임대형식으로 넘어올 예정이다. SR측으로 운영권이 넘어오면 열차명칭은 [[KTX-산천]]이 아닌 SR의 전용열차 명칭인 SRT로 변경된다.
* 130000호대
 
*: SR이 자체적으로 발주한 10편성의 차량이다. 기본적으로 120000호대와 외형적으로는 동일하고 내부 인테리어에 있어서 좌석의 색상이 SR의 도색을 따라 자주색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특실의 수화물 수납함이 여객기의 그것처럼 밀폐형으로 변경되었다.
* [[SRT (고속열차)|130000호대]]
: SR이 자체적으로 발주한 10편성의 차량이다. 기본적으로 [[KTX-산천/120000호대]]와 외형적으로는 동일하고 내부 인테리어에 있어서 좌석의 색상이 SR의 도색을 따라 자주색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특실의 수화물 수납함이 여객기의 그것처럼 밀폐형으로 변경되었다.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79번째 줄: 64번째 줄:


{{각주}}
{{각주}}
{{한국철도공사}}
{{대한민국의 철도 회사}}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회사]]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회사]]
[[분류:2013년 설립]]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