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3번째 줄: 3번째 줄:
|표기1= 한자(漢字)
|표기1= 한자(漢字)
|언어2= 일본어
|언어2= 일본어
|표기2= {{일본어=|漢字|r=かんじ|kanji}}
|표기2= {{lang-일본어|漢字|r=かんじ|kanji}}
|언어3= 중국어
|언어3= 중국어
|표기3= {{중국어=|汉字|hànzì, 한쯔}}
|표기3= {{lang-중국어|汉字|r=hànzì|한쯔}}
|언어4= 광둥어
|언어4= 광둥어
|표기4= 漢字(홍쯔)
|표기4= 漢字(홍쯔)
|언어5= 영어
|언어5= 영어
|표기5= {{영어=|Chinese characters}}
|표기5= {{lang-영어|Chinese characters}}
|언어6= 독일어
|언어6= 독일어
|표기6= {{독일어=|Chinesische Schrift}}
|표기6= {{lang-독일어|Chinesische Schrift}}
}}
}}


[[파일:Chinese Character Symbol.png|250px|섬네일]]
[[File:Chinese Character Symbol.png|250px|섬네일]]


한자는 [[중국]]에서 만들어진 [[표어 문자]]로 [[중화민국]], [[홍콩]], [[마카오]], [[일본]],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등의 [[동아시아]] 국가에서 사용되고 있는 문자이다.
한자는 [[중국]]에서 만들어진 [[표어 문자]]로 [[중화민국]], [[홍콩]], [[마카오]], [[일본]],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등의 [[동아시아]] 국가에서 사용되고 있는 문자이다.
37번째 줄: 37번째 줄:
송조 때에 명조체의 근간이 되는 글자체가 나왔고 일본에서는 에도문자라는 독특한 글자체가 개발되었다.
송조 때에 명조체의 근간이 되는 글자체가 나왔고 일본에서는 에도문자라는 독특한 글자체가 개발되었다.


=== 한자의 서체/폰트 ===
== 한자의 서체/폰트 ==
* [[갑골문]](甲骨文/Oracle bone script)
* [[갑골문]](甲骨文/Oracle bone script)
: 황하 문명 유적지에서 발굴된 거북이 등딱지에 새겨진 상형문자. 글자를 등딱지에 새겨 불에 달궈서 갈라지는 모양으로 점을 쳤다고 한다.
: 거북이 등딱지에 새겨진 상형문자. 글자를 등딱지에 새겨 불에 달궈서 갈라지는 모양으로 점을 쳤다고 한다.
[[파일:Shang Oracle Bone (Museum Photo) (45868930051).jpg|thumb|left]]{{-}}
[[파일:Shang Oracle Bone (Museum Photo) (45868930051).jpg|thumb|left]]{{-}}
* 간독(簡牘)
* 간독(簡牘)
45번째 줄: 45번째 줄:
* [[금문]](金文/bronze inscriptions)
* [[금문]](金文/bronze inscriptions)
* 백서(帛書)
* 백서(帛書)
: 종이가 발명되기 전 비단에도 글씨를 썼다. 가격이 매우 비싸서 죽간에 써서 옮겨 적기도 했다. [[파일:The Yellow Emperor's four canons.jpg|thumb|left]]{{-}}
: 종이가 발명되기 전 비단에도 글씨를 썼다.[[File:The Yellow Emperor's four canons.jpg|thumb|left]]{{-}}
* [[대전]](大篆/Large Seal Script)
* [[대전]](大篆/Large Seal Script)
[[파일:Song ding inscription.jpg|thumb|left]]{{-}}
[[File:Song ding inscription.jpg|thumb|left]]{{-}}
* [[소전]]/[[전서]](小篆/篆書/Small Seal Script)
* [[소전]]/[[전서]](小篆/篆書/Small Seal Script)
: 진나라가 중국 대륙을 통일하고 문자 통일을 거치면서 탄생한 서체
: 진나라가 중국 대륙을 통일하고 문자 통일을 거치면서 탄생한 서체
* [[예서]](隷書/Clerical script)
* [[예서]](隷書/Clerical script)
* [[해서]](楷書/Regular script)
* [[해서]](楷書/Regular script)
: 흘려쓰지 않고 똑바로 쓴 글씨체. 현재 많은 교육용 책들에서 볼 수 있는 서체이다. 중국에선 교과서의 말풍선이나 인용문 등에 해서를 사용하고 본문은 명조체를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표준격 서체
[[파일:姚孟起九成宮.png|thumb|left]]{{-}}
[[파일:姚孟起九成宮.png|thumb|left]]{{-}}
* [[행서]](行書/Semi-cursive script)
* [[행서]](行書/Semi-cursive script)
:해서를 흘려쓴 서체, 정적인 해서와는 달리 동적이라는 느낌을 줘 행서라고 이름 붙였다.
:해서를 흘려쓴 서체
[[파일:Calligraphy of Xie Jishi.jpg|thumb|left]]{{-}}
[[File:Calligraphy of Xie Jishi.jpg|thumb|left]]{{-}}
* [[초서]](草書/Cursive script)
* [[초서]](草書/Cursive script)
: 해서를 흘려쓴 서체인데 가독성을 희생하고 쓰는 속도를 매우 빠르게 한 서체. 한자 [[필기체]]라고 생각하면 쉽다.<ref>러시아 필기체 수준..</ref> 중국 간체자 중에서 초서를 이용해 획을 줄인 자체가 꽤 많다. 일본에선 비율 상 초서로 쓰여있는 고서적이 다른 나라보다 많은 편이다.
: 해서를 흘려쓰는 서체인데 가독성을 희생하고 쓰는 속도를 단축시킨 서체. 한자 [[필기체]]라고 생각하면 쉽다.<ref>러시아 필기체 수준..</ref> 중국 간체자 중에서 초서를 이용해 획을 줄인 자체가 꽤 많다.
[[파일:张芝冠军帖.jpg|thumb|left|<del>지렁이</del>]]{{-}}
[[File:张芝冠军帖.jpg|thumb|left|<del>지렁이</del>]]{{-}}
* [[에도문자]]({{일본어|江戶文字}})
* [[에도문자]]({{llang-일본어|江戶文字}})
: [[칸테이류]], 스모문자 등이 있다. 간판에서 주로 사용하는 서체로 두드러지는 특징으로는 극단적으로 획을 굵게 쓴다. 칸테이류가 흔히 보이는데 이 서체는 중국 음식점 간판에도 사용되는 경우를 볼 수 있고 오픈소스 폰트인 HanWangKanTan은 대만에서 제작되기도 했다.
: [[칸테이류]], 스모문자 등이 있다. 두드러지는 특징으로는 극단적으로 획을 굵게 쓴다.
[[파일:Cyochin2.jpg|thumb|left]]{{-}}
[[File:Cyochin2.jpg|thumb|left]]{{-}}
 
==== 활자체(인쇄체) ====
===== 활자체(인쇄체) =====
* [[송조체]](宋體)
* [[송조체]](宋體)
: [[파일:仿宋體.svg|left|50px]] 중국 남송의 수도 임안부에서 쓰이던 서체. 주로 목판, 활자 인쇄에서 쓰였고 송조체나 [[명조체]]나 원래 같은 것을 가리키긴 하지만 일본에서 부르는 송조체는 원시적인 명조체이다. 중국에서는 방송체(仿宋體)라고 부른다.
: 중국 남송의 수도 임안부에서 쓰이던 서체. 주로 목판, 활자 인쇄에서 쓰였고 송조체나 명조체나 원래 같은 것을 가리키긴 하지만 일본에서 부르는 송조체는 원시적인 명조체이다.[[File:FangSong.jpg|thumb|left]]{{-}}
[[파일:FangSong.jpg|thumb|left]]{{-}}
* [[명조체]]({{llang-중국어|明体}})
* [[명조체]]({{중국어|明体}})
* [[고딕체]](Sans-serif)
* [[고딕체]](Sans-serif)
* [[둥근고딕체]]
* [[둥근고딕체]]
124번째 줄: 122번째 줄:


== 한자 문화권 ==
== 한자 문화권 ==
{{참고|한자문화권}}
{{참조|한자문화권}}
[[한국]], [[베트남]], [[일본]], [[몽골]] 등 [[동아시아]] 지역은 2천년 이상 [[중국]]과 함께 [[한자 문화권]]에 속하기 때문에<ref>중국 [[한나라]]의 [[한 무제|무제]]가 [[기원전 111년]] [[베트남]]의 [[남월국]]을, [[기원전 108년]] [[한국]]의 [[고조선]]을 멸망시켰기 때문에 [[기원전 1세기]]에는 [[베트남]]과 [[한국]]에 한자(漢字)가 상당히 침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기원전 7세기]] 무렵의 사실을 기록한 《[[관자]](管子)》에 [[고조선]]이 [[제나라]]와 교역한 것이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한국]]에는 [[춘추 시대]]에 이미 한자가 유입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베트남]]은 중국 출신인 [[조타]]가 세운 [[남월국]]이 [[툭판 왕조]]를 멸망시킨 [[기원전 207년]]에 이미 한자가 유입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ref> 단어의 상당수가 한자를 바탕으로 한다. [[20세기]]에 들어서 [[베트남]]에서는 [[꾸옥응으]]([[로마자]])가, [[몽골]]에서는 [[키릴문자]]가 쓰이면서 한자를 쓰지 않게 되었고, [[한반도]]에서도 [[1948년]]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강력한 [[한글 전용]] 정책을 펴서 일상생활에서는 거의 [[한글]]만을 쓰고 있으며, [[대한민국]]에서도 [[한글]]만을 쓴다. 현재는 [[중국]]과 [[중화권]] 국가([[타이완]], [[싱가포르]] 등)를 빼면 [[일본]]만이 일상에서 한자를 자국의 문자처럼 사용한다.
[[한국]], [[베트남]], [[일본]], [[몽골]] 등 [[동아시아]] 지역은 2천년 이상 [[중국]]과 함께 [[한자 문화권]]에 속하기 때문에<ref>중국 [[한나라]]의 [[한 무제|무제]]가 [[기원전 111년]] [[베트남]]의 [[남월국]]을, [[기원전 108년]] [[한국]]의 [[고조선]]을 멸망시켰기 때문에 [[기원전 1세기]]에는 [[베트남]]과 [[한국]]에 한자(漢字)가 상당히 침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기원전 7세기]] 무렵의 사실을 기록한 《[[관자]](管子)》에 [[고조선]]이 [[제나라]]와 교역한 것이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한국]]에는 [[춘추 시대]]에 이미 한자가 유입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베트남]]은 중국 출신인 [[조타]]가 세운 [[남월국]]이 [[툭판 왕조]]를 멸망시킨 [[기원전 207년]]에 이미 한자가 유입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ref> 단어의 상당수가 한자를 바탕으로 한다. [[20세기]]에 들어서 [[베트남]]에서는 [[꾸옥응으]]([[로마자]])가, [[몽골]]에서는 [[키릴문자]]가 쓰이면서 한자를 쓰지 않게 되었고, [[한반도]]에서도 [[1948년]]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강력한 [[한글 전용]] 정책을 펴서 일상생활에서는 거의 [[한글]]만을 쓰고 있으며, [[대한민국]]에서도 [[한글]]만을 쓴다. 현재는 [[중국]]과 [[중화권]] 국가([[타이완]], [[싱가포르]] 등)를 빼면 [[일본]]만이 일상에서 한자를 자국의 문자처럼 사용한다.


=== 대한민국 ===
=== 대한민국 ===
{{본문|한자문화권#대한민국|}}
한국은 [[세종 (조선)|세종]]이 [[훈민정음]]을 창제하기 전까지 [[한국어]]를 나타낼 수 있는 문자를 가지지 못하였기에{{*|[[발해]]에서 고유한 문자를 만들어 사용하였다는 설이 있다. 하지만 자료가 부족하여 사실인지는 분명치 않다.}} 중국에서 들여온 한자로 한국어를 나타내었다. 또한 한자를 한국어를 표기할 수 있도록 개조하여 구결자나, 향찰 표기 등을 만들어쓰기도 하였다. 한글 창제 이후로 한글은 천대받았으나 꾸준히 여성들 사이에서 사용되었다. 1800년대 말에는 국한문혼용체가 나오면서 한글의 사용률이 늘어나기 시작했지만 한자의 비중이 아직도 높았다. 오늘날이라면 그냥 한글로 썼을 말을 불필요하게 한자어로 표기하기도 하였다. 이후 국문을 연구하고 보급하는 운동에 의해 국한문혼용문에서 한자 사용이 더욱 줄었다. 일제강점기 후반으로 가면서 사실상의 공용어가 일본어가 되면서 한자와 가나를 사용하였다. 덕분에 일본제 한자어의 비중이 늘어났다. [[1968년]]에는 모든 공문서에서 한자 사용을 금지함으로써 한자어의 비중이 더욱 줄어들기 시작했다. 한때 다시 한자어 사용을 확대시키기도 하였지만 정부 사업으로 다시 줄이도록 하였다. [[2015년]] 기준으로 [[한국어]]의 단어 중 약 33%가 [[한자어]]로 이루어져 있으나 성명과 지명 또한 순우리말, 비한자어의 비중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교육부는 한자, 한문을 공통 과목에서 삭제하고 초중등교육과정의 선택과목으로 변경시킴으로서 언어연구 및 역사학자, 한의학 관련 학자들만 습득하고 있다. 현대 한국어에서는 [[한글]]만 쓰고 한자는 보조용으로 사용한다.
 
[[대한민국]]에서는 학술 용어, 옛날 역사자료 해독 등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거의 대부분의 [[한자어]] 또한 [[한글]]로 쓰며, 69년 이후 표준맞춤법, 국어기준법에 의거 공문서에 한자 사용은 한글 옆에 괄호로 하여 의미 전달을 구체화하기 위한 기호 및 외국어에 준하여 사용토록 규정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학술 용어, 옛날 역사자료 해독 등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거의 대부분의 [[한자어]] 또한 [[한글]]로 쓰며, 69년 이후 표준맞춤법, 국어기준법에 의거 공문서에 한자 사용은 한글 옆에 괄호로 하여 의미 전달을 구체화하기 위한 기호 및 외국어에 준하여 사용토록 규정하고 있다.


====한국어의 한자음====
=== 일본 ===
한국어의 한자음의 유래에는 여러가지 설이 있다.
[[일본어]]에서는 일본의 음절 문자인 [[가나 (문자)|가나]]와 함께 쓰인다. 일본어 한자는 음독(音讀, 일본식 한자음)과 훈독(訓讀, 한자를 같은 뜻의 일본 고유어로 읽는 것)이 함께 쓰이므로 고유어도 한자로 나타낸다. 이 방식은 고유어를 보존하면서 음절 길이를 줄이는 장점이 있는 반면, 한자 읽기가 복잡해진다는 단점도 있다. 하지만 띄어쓰기도 없고 한 음절에 초성 중성만 존재하는 경우가 많아 한자 없이 히라가나로만 쓰였다면 가독성은 현저하게 떨어지기 때문에 오히려 한자를 집어 넣는게 오히려 더 편할 수도 있다. 한자와 조사는 쉽게 구분이 가기 때문에 한국어도 한자와 혼용하면 띄어쓰기가 없어도 가독성이 좋다.<ref>물론 한글과 띄어쓰기를 버리고 복잡한 한자 사용을 늘릴려고 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ref> [[인명]] 등 [[고유명사]]나 일반인이 읽기 어려운 한자 위에는 읽는 법을 다는 [[요미가나]]가 있다. [[일본어]]에서 한자는 명사, 동사와 형용사의 어간 및 일부 부사에 쓰이고, 가나는 문법 기능을 나타내는 토씨와 [[외래어]]나 [[외국어]]를 표기할 때에 주로 쓰인다.


*아리사카 히데요(有坂秀世/1936)의 송대 개봉(開封)음설
일본어도 고유의 문자가 없었기에 한자를 기반으로 문자를 만들어 사용하였다. 일본어는 음소의 개수가 적은 덕분에 한자 기반의 문자를 쉽게 만들 수가 있었다. 만요가나는 한자의 발음을 빌려와 일본어를 표기한 일본 최초의 표음문자였다. 그 만요가나는 육안상으로 한자와 거의 비슷하여 신라의 향찰 표기처럼 만요가나와 한자가 구분이 가지 않았다. 만요가나로 쓰인 글은 한자음만 표기하여 해독이 매우 쉬운경우도 있고 단어를 모두 같은 의미를 가진 한자로 대치하여 어순이 혼재되어 해독이 난해해지는 경우도 있다. 이처럼 일본어를 표기하는 최초의 문자라는 의의가 있지만 고학력을 요구해 보급률은 낮았다. 훗날 여성들 사이에서는 한자를 흘려쓴 초서체에서 유래된 헨타이가나, 불교를 중심으로 가타카나가 사용되다가 메이지 유신 이후 헨타이가나는 한 발음에 한 글자만을 할당하도록 정하고 획을 단순화되어 히라가나로 다듬어져서 현재까지 사용되고있다.
*고노 로쿠로(河野六郎/1968)의 당대 장안음설
*박병채(朴炳採/1971)의 수당(隋唐)대 초 북방중원음설
*신용태(辛容泰/1982)의 [[위진남북조]]음설
*리득춘(1985)의 상고음설
*이토 치유키(伊藤智ゆき/2002)의 당(唐) 말 장안음설
===일본===
{{본문|한자문화권#일본}}


=== 중국 ===
=== 중국 ===
한자가 발생한 본 고장. 중국 대륙에서 [[중국어]]는 거의 [[간체자]]로 표기한다. 이는 외래어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홍콩]]과 [[마카오]]나 광둥어, 민어에서는 보통 예전부터 쓰던 [[정체자]]를 쓴다.
중국 대륙에서 [[중국어]]는 거의 [[간체자]]로 표기한다. 이는 외래어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홍콩]]과 [[마카오]]나 광둥어, 민어에서는 보통 예전부터 쓰던 [[정체자]]를 쓴다.


간체자는 두 단계에 걸친 문자 단순화 사업의 첫 번째 단계이다. 간체자를 한 번 더 단순화시킨(...) 것이 이간자인데 이간자는 너무 단순해서 의미 구별이 더욱가지 않았다고 한다. 결국 간체자가 중화인민공화국의 표준 자형이 되었다.
간체자는 두 단계에 걸친 문자 단순화 사업의 첫 번째 단계이다. 간체자를 한 번 더 단순화시킨(...) 것이 이간자인데 이간자는 너무 단순해서 의미 구별이 더욱가지 않았다고 한다. 결국 간체자가 중화인민공화국의 표준 자형이 되었다.
150번째 줄: 142번째 줄:
한자를 잘 알던 사람도 간체자가 장벽이 되어 중국어를 읽을 수가 없다. 일본에서는 한글 전용 사업이 동아시아권에서의 소통의 고립을 야기한다는 주장도 있는데 간체자의 사례를 들면 말이 되지 않는다.
한자를 잘 알던 사람도 간체자가 장벽이 되어 중국어를 읽을 수가 없다. 일본에서는 한글 전용 사업이 동아시아권에서의 소통의 고립을 야기한다는 주장도 있는데 간체자의 사례를 들면 말이 되지 않는다.


===대만===
=== 대만 ===
[[중화민국|타이완]]에서는 [[한국]]에서 쓰는 것과 유사한 [[정체자]]를 써서 중국어를 표기한다. 대만식 정체자가 따로 있는데 정체자의 획을 약간 단순화시킨 한자다. 한자의 자형을 의미가 잘 드러나도록 약간의 커스텀(?)을 거쳤다. 비 우([[雨]])자를 보면 알 수 있다.
[[중화민국|타이완]]에서는 [[한국]]에서 쓰는 것과 유사한 [[정체자]]를 써서 중국어를 표기한다. 대만식 정체자가 따로 있는데 정체자의 획을 약간 단순화시킨 한자다. 한자의 자형을 의미가 잘 드러나도록 약간의 커스텀(?)을 거쳤다. 비 우([[雨]])자를 보면 알 수 있다.


===베트남===
=== 베트남 ===
[[베트남]]에서는 [[꾸옥응으]]라고 하는 [[베트남어]]의 [[로마자]] 표기법을 사용하므로, 일상에서 한자는 사용되지 않는다. 과거에는 베트남 고유의 [[쯔놈]]이라는 문자를 사용하였으나 꾸옥응으보다는 효율적이지 않다. 베트남어의 단어에는 [[한국]]의 [[한자어]]와 비슷한 [[한월어]](漢越語)가 있다.
[[베트남]]에서는 [[꾸옥응으]]라고 하는 [[베트남어]]의 [[로마자]] 표기법을 사용하므로, 일상에서 한자는 사용되지 않는다. 과거에는 베트남 고유의 [[쯔놈]]이라는 문자를 사용하였으나 꾸옥응으보다는 효율적이지 않다. 베트남어의 단어에는 [[한국]]의 [[한자어]]와 비슷한 [[한월어]](漢越語)가 있다.


==한역==
== 한역 ==
다른 문자로 된 문헌을 한문으로 번역하는 것을 '''한역'''(漢譯)이라고 한다. "한역"이라는 말은, 특히, [[고대]]에 [[불교]]와 [[힌두교]]의 [[산스크리트어]]나 [[팔리어]]의 [[문자]]로 이루어진 [[경전]]을 한자로 번역한 것을 지칭할 때 자주 사용된다. (참고: [[한역대장경]])
다른 문자로 된 문헌을 한문으로 번역하는 것을 '''한역'''(漢譯)이라고 한다. "한역"이라는 말은, 특히, [[고대]]에 [[불교]]와 [[힌두교]]의 [[산스크리트어]]나 [[팔리어]]의 [[문자]]로 이루어진 [[경전]]을 한자로 번역한 것을 지칭할 때 자주 사용된다. (참고: [[한역대장경]])


==신기한 한자==
== 신기한 한자 ==
{{본문|신기한 한자}}
- 이 문단의 본문은 [[신기한 한자]]입니다.


[[파일:Biang (简体).svg|250px|섬네일|[[중국]]의 음식 [[뱡뱡면]]의 '''뱡'''(𰻞)이라는 글자.]]
[[파일:Biang.png|250px|섬네일|[[중국]]의 음식 [[뱡뱡면]]의 '''뱡'''(𰻞)이라는 글자.]]
실제로 한자는 [[제자 원리]]에 따라 무한히 복잡하게 만들 수 있지만, 실제로 사용된 기록이 있는 문자 중에서 가장 획수가 많은 한자는 기준에 따라 몇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실제로 한자는 [[제자 원리]]에 따라 무한히 복잡하게 만들 수 있지만, 실제로 사용된 기록이 있는 문자 중에서 가장 획수가 많은 한자는 기준에 따라 몇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유니코드]] 5.0에 포함된 가장 복잡한 한자는 <span style="font-size:xx-large"></span>(말 많을 절, U+2A6A5)로, 龍(용 룡)을 네 번 써서 이루어진 한자이고 16 × 4 = 64획이다. 이 한자는 조엘 벨라센(Joël Bellassen)(1989) 등에 따르면 기록에 등장하는 중국어 한자 중 가장 복잡하며, [[5세기]] 이전에 사용되었다고 한다. 똑같은 64획으로 <span style="font-size:xx-large"></span>(뜻 미상, 음은 정<ref>[[강희자전]]에서 音政이라 소개되어 있다.</ref>,八부 62획, U+2053B)이 있으나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이 글자는 興(일어날 흥)을 네 번 써서 이루어진 한자이다.
[[유니코드]] 5.0에 포함된 가장 복잡한 한자는 <span style="font-size:xx-large"></span>(말 많을 절, U+2A6A5)로, 龍(용 룡)을 네 번 써서 이루어진 한자이고 16 × 4 = 64획이다. 이 한자는 조엘 벨라센(Joël Bellassen)(1989) 등에 따르면 기록에 등장하는 중국어 한자 중 가장 복잡하며, [[5세기]] 이전에 사용되었다고 한다. 똑같은 64획으로 <span style="font-size:xx-large"></span>(뜻 미상, 음은 정<ref>[[강희자전]]에서 音政이라 소개되어 있다.</ref>,八부 62획, U+2053B)이 있으나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이 글자는 興(일어날 흥)을 네 번 써서 이루어진 한자이다.


현재까지 중국어에서 쓰이는 한자 중 가장 획수가 많은 한자는 [[산시성 (섬서)|산시성]]에서 유명한 면 음식인 [[뱡뱡면]]을 가리키는 [[:파일:Biang (简体).svg|57획짜리 한자]]이지만 방언에서만 사용되는 문자로 취급되어 자전에는 나오지 않고, 유니코드에도 13.0에 와서야 추가되었다. 현대 한자 자전에 나오는 한자 중 가장 획수가 많은 한자는 {{크기|++++++|}}(코 막힐,코를 킁킁거릴 낭)으로 36획이다. 이 밖에 일부 한자의 ‘고자’(古字)는 상당히 복잡한 경우가 있다. 그 예로 우레 뢰(雷)의 고자는 밭 전(田)이 가로로 4자, 그 밑으로 돌아올 회(回)가 가로로 4자 다시 밭 전이 4자로 된 것이 상하로 2개 있는 모양, 도합 128획이다.<ref>{{뉴스 인용|제목 = 대략 난감? ‘난해한 한자’ 인터넷 투표|url  =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china/246049.html|출판사 = 한겨레|작성일 = 2007-10-26|확인일자 = 2008-3-17}}</ref>
현재까지 중국어에서 쓰이는 한자 중 가장 획수가 많은 한자는 [[산시성 (섬서)|산시성]]에서 유명한 면 음식인 [[뱡뱡면]]을 가리키는 [[:파일:Biang.png|57획짜리 한자]]이지만 방언에서만 사용되는 문자로 취급되어 자전에는 나오지 않고, 유니코드에도 13.0에 와서야 추가되었다. 현대 한자 자전에 나오는 한자 중 가장 획수가 많은 한자는 <span style="font-size:xx-large"></span>(코 막힐,코를 킁킁거릴 낭)으로 36획이다. 이 밖에 일부 한자의 ‘고자’(古字)는 상당히 복잡한 경우가 있다. 그 예로 우레 뢰(雷)의 고자는 밭 전(田)이 가로로 4자, 그 밑으로 돌아올 회(回)가 가로로 4자 다시 밭 전이 4자로 된 것이 상하로 2개 있는 모양, 도합 128획이다.<ref>{{뉴스 인용|제목 = 대략 난감? ‘난해한 한자’ 인터넷 투표|url  =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china/246049.html|출판사 = 한겨레|작성일 = 2007-10-26|확인일자 = 2008-3-17}}</ref>
 
== 편견과 오해 ==
* 한자 사용률이 점점 감소하면서 한국과는 관련 없다는 인식도 확대되고 있다. 아주 예전에는 한자에 박식하면 똑똑하다는 인식이 있었고 시간이 지나면서 '그거 왜 배움'이라는 말과 함께 노인네라는 말도 들을 수 있었고 현재는 아예 한자에 관심이 많다고 중국을 좋아한다는 편견을 가지기도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훈음이라는 독자적인 한자 지칭 체계가 생겨났고<ref>일본의 경우 부수를 이용하여 한자를 지칭하는데 情을 가리킬 때, 뜻 정 이렇게 하지 않고 "忄부의 靑"와 같이 부른다.</ref> [[국자]]같은 한국 고유 한자와 한자로 적었지만 한국의 정서가 담긴 시도 만들어 읊었고 한국식 한문을 발전시켰다. 엄연히 한자도 한국으로 들어와 현지화된 한국의 전통문화이다.
* 한자는 전부 다 상형문자이다.
*: 한자는 모든 글자가 다 상형문자인 것은 아니다. 형성자처럼 소리를 나타내는 부분과 의미를 나타내는 부분이 결합한 글자로 있고 회의자처럼 서로 다른 뜻의 한자를 결합해 새로운 뜻의 한자를 만든 것도 있다. 두 글자를 조합해 새로운 한 글자를 만든 것이 상당 비율을 차지한다.
* 한자는 한 글자만 써서 모든 것을 표현할 수 있다.
*: 고대에는 한 글자만 사용하여 대부분을 표현했다고 전해지고 사회가 발전하자 표현할 개념이 많아져 여러 글자를 조합한 단어를 사용했다.
* 일상에서 한문을 쓸 때 모든 글자를 알아야 한다.
*: 아니다. 중국어를 잘 하기 위해서 6000여자만 알면 된다. 일본어도 2000여자만 알면된다. 중국, 일본 정부에서 공식적으로 이 글자만 사용하도록 지정했다.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갑골문자]]
* [[갑골문자]]
*[[간체자]](簡體字)
* [[간체자]](簡體字)
*[[정체자]](正體字)
* [[정체자]](正體字)
*[[중국어]]
* [[중국어]]
*[[한국어]]
* [[한국어]]
*[[한국 한자음]]
* [[한국 한자음]]
*[[국자 (한자)]]
* [[국자 (한자)]]
*[[한문]]
* [[한문]]
*[[한자 문화권]]
* [[한자 문화권]]
*[[한자능력검정시험]]
* [[한자능력검정시험]]
*[[급수 한자]](급수에 따른 한자 분류)
* [[급수 한자]](급수에 따른 한자 분류)


==외부 링크==
== 외부 링크 ==
*[http://www.itkc.or.kr/ 한국 고전 번역원]
* [http://www.itkc.or.kr/ 한국 고전 번역원]
*[http://zonmal.com 존 한자 사전]
* [http://zonmal.com 존 한자 사전]
*[http://kldp.net/projects/hanja/ KLDP.net: 한자 한글 변환 프로젝트]
* [http://kldp.net/projects/hanja/ KLDP.net: 한자 한글 변환 프로젝트]


{{각주}}
{{각주}}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