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타대우 LF-40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2번째 줄: 2번째 줄:
[[타타대우상용차]]에서 만드는 중형저상버스. 우리나라에 대형 초저상버스가 나온 지 근 15년 만에 나오는 최초의 국산 중소형 [[초저상버스]]다.<ref>수입산까지 포함하면 [[벤츠 스프린터]]도 있다.</ref>
[[타타대우상용차]]에서 만드는 중형저상버스. 우리나라에 대형 초저상버스가 나온 지 근 15년 만에 나오는 최초의 국산 중소형 [[초저상버스]]다.<ref>수입산까지 포함하면 [[벤츠 스프린터]]도 있다.</ref>


길이는 7.495m, 폭은 2.050m, 높이는 2.615m로 [[자일대우 레스타]]보다 315mm 정도 더 길다. 충돌 시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저상면을 넓히기 유리하게 엔진, 구동 차축을 [[보닛]] 안에다가 넣은 [[FF]] 구동 방식으로 만들었다. 2018년부터 출시될 예정이다. [http://autotimes.hankyung.com/apps/news.sub_view?popup=0&nid=02&c1=02&c2=02&c3=00&nkey=201701231658231 기사]
길이는 7.495m, 폭은 2.050m, 높이는 2.615m로 [[자일대우 레스타]]보다 315mm 정도 더 길다. 저상면을 넓히기 유리하게 엔진, 구동 차축을 [[보닛]] 안에다가 넣은 [[FF]] 구동 방식으로 만들었다. 2018년부터 출시될 예정이다. [http://autotimes.hankyung.com/apps/news.sub_view?popup=0&nid=02&c1=02&c2=02&c3=00&nkey=201701231658231 기사]
 
변속기는 6단 [[수동변속기]]다. 휠체어 [[경사판]]은 수동식. 출입문은 [[스윙 도어]]다. 출입문 개수는 [[현대 카운티]]처럼 1개(중문형)와 2개(중후문형) 중에서 선택이 가능하다.
== 개발 과정 ==
== 개발 과정 ==
[https://www.kaia.re.kr/portal/landmark/readTskFinalView.do?tskId=61800&yearCnt=1&menuNo=200100 '중형저상버스 표준모델 개발 기획.']이라는 이름으로 개발되었다.
2014년부터 자동차융합기술원,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과 함께 개발하기 시작했다.  
 
2010년 [[한국철도기술연구원]]에서도 ‘중형저상버스 시스템 사양개발’이라는 이름으로 중형저상버스 개발을 한 적이 있다. [http://blog.naver.com/hsoolee3/110153538885 농어촌용] [http://eggpictures.kr/110153536263 중소도시용] 이 때는 [[히노 폰초]]와 비슷한 [[RR]] 구동 방식으로 기획되었다. 이 차종을 개발할 때 이 성과물을 활용했다.
 
2014년부터 자동차융합기술원,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과 함께 개발하기 시작했다.


2017년 1월부터 시험운행에 들어갔다. 동년 3월에는 [[시흥시]]에서 [http://www.ajunews.com/view/20170313101749048 시승식]이 열렸다. 시승식에서 9m급 저상버스 개발이 새로운 과제로 떠올랐다. {{ㅊ|[[현대자동차|다른]] [[자일대우버스|제조]][[에디슨 모터스|사]]에서 9m급 저상버스 출시를 준비하고 있다면 다행이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또다시 3여 년을 기다려야겠지.}} 5월 말에는 국토교통기술대전에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5/24/0200000000AKR20170524087000003.HTML?input=1195m 공개]되었다.
2017년 1월부터 시험운행에 들어갔다. 동년 3월에는 [[시흥시]]에서 [http://www.ajunews.com/view/20170313101749048 시승식]이 열렸다. 시승식에서 9m급 저상버스 개발이 새로운 과제로 떠올랐다. {{ㅊ|[[현대자동차|다른]] [[자일대우버스|제조]][[TGM|사]]에서 9m급 저상버스 출시를 준비하고 있다면 다행이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또다시 3여 년을 기다려야겠지.}} 5월 말에는 국토교통기술대전에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5/24/0200000000AKR20170524087000003.HTML?input=1195m 공개]되었다. 수동식 휠체어 경사판을 적용했다고 한다.


2017년 9월 15일부터는 [http://www.dtnews24.com/news/article.html?no=434428 아산시], 9월 20일부터는  [http://www.shbus.net/index//bbs/board.php?bo_table=comm_01&wr_id=273 시흥시]의 실제 노선에서 3개월동안 시범운행을 하기 시작했다. 이로써 우리나라의 [[노선버스]] 중에서 처음 운행하기 시작한 수동변속기 초저상버스 차종이라는 타이틀이 생겼다.
2017년 9월 15일부터는 [http://www.dtnews24.com/news/article.html?no=434428 아산시], 9월 20일부터는  [http://www.shbus.net/index//bbs/board.php?bo_table=comm_01&wr_id=273 시흥시]의 실제 노선에서 3개월동안 시범운행을 하기 시작했다.


2018년 2월 [https://www.kaia.re.kr/portal/landmark/readTskFinalView.do?tskId=68837&yearCnt=4&menuNo=200100 최종보고서]가 나왔다.
그 이전부터 2010년 [[한국철도기술연구원]]에서도 중형저상버스 개발을 한 적이 있다. [http://blog.naver.com/hsoolee3/110153538885 농어촌용] [http://eggpictures.kr/110153536263 중소도시용] [[히노 폰초]]와 비슷한 [[RR]] 구동 방식인 게 차이점이다. 이 차종하고 관련이 있는지는 [[추가바람]].


2023년에 저상버스 의무도입제가 시행됐는데도 출시 소식이 아직도 없다. 내연기관 중형저상버스, 7m급 중형저상버스는 아직 우리나라에 출시된 다른 차종이 없어서 나온다면 물 들어올 때 노를 젓게 되는건데도 소식이 없다. 덕분에 중형 차량 운행 노선에서 전기충전소가 설치되거나 7m급 저상버스가 출시되기 전까지 저상버스 도입이 유예된 노선들이 속출하고야 말았다. 게다가 위 문단의 최종보고서 링크에 나온대로 이 차종을 개발하는 데 '''국비 130억원'''을 들였다는 걸 생각해보면...
{{각주}}
{{각주}}
[[분류:버스 차종]]
[[분류:버스]]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