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비아 콰차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화폐 정보
{{사용자:Pika/대체용 틀
|화폐이름 = 잠비아 콰차
|화폐이름 = 잠비아 콰차
|원어이름 = Kwacha ya Zambia 콰차 야 잠비아<sup>[[벰바어|bem]]</sup>
|원어이름 = Zambian Kwacha <small><sup>[[영어|en]]</sup></small>
|그림    = Bank_of_Zambia_logo.png
|그림    =  
|그림설명 = 은행 CI
|그림설명 =  
|그림2    = Coat of arms of Zambia.svg
|그림2    =  
|그림2설명= 국장(國章)
|그림2설명=  
|사용국  = {{나라|잠비아}}
|사용국  = {{나라|잠비아}}
|비공식  =  
|비공식  =  
|기호    = K (ZK)
|ISO      = ZMW (ZMK)
|ISO      = ZMW (ZMK)
|기호    = K (ZK)
|보조단위 =  
|보조단위 =  
  {{화폐 정보/보조단위
  {{화폐 정보/보조단위
  |비율 = 1/100
  |비율 = 1/100
  |이름 = 응위(Ngwee)
  |이름 = 은궤(Ngwee)
  }}
  }}
|지폐    = K2, K5, K10, K20, K50, K100
|지폐    = K2, K5, K10, K20, K50, K100
20번째 줄: 20번째 줄:
|인쇄처  =  
|인쇄처  =  
|조폐국  =  
|조폐국  =  
|환율    = 약 63~76원 (최대 50~90원, <small>2020년 이후</small>)
|환율    = 83원/K<small> (2020.02.26 기준)</small><br />200원/K<small> (2013.08.30 기준)</small>
|고정환율 =  
|고정환율=  
|이전화폐 = [[잠비아 파운드]] (1 : 2)
|이전화폐 =  
|이후화폐 =  
|이후화폐 =  
|비고    =  
|비고    =  
}}
}}
== 소개 ==
== 소개 ==
잠비아 콰차는 잠비아의 콰차계 통화이다. 현지어인 [[벰바어]]<sup>※잠비아의 공용어</sup>로 "밝아지다"를 의미하는데, 이는 같은 [[반투어족]]의 친척관계인 [[체와어]]<sup>※말라위의 공용어</sup>를 쓰는 말라위와 동일한 어원을 갖는다.
잠비아의 콰차계 통화이다.


=== 환전 및 사용 ===
=== 환전 및 사용 ===
명목상으로는 최소단위 화폐인 5응위까지 사용이 가능하긴 하나, 실질적으론 1콰차 단위로 거래된다. 대형마트 쯤 되어야 0.01콰차 단위까지 찍히는 걸 볼 수 있는데, 이것도 사실상 "☆☆.99"와 같은 가격표 눈속임을 위한 것에 지나지 않아, 동전 여분이 없을 땐 보조단위 발생으로 인한 거스름돈을 그냥 안 줄 때도 흔하다.
잠비아에서의 환전은 다소 까다로운 부분이 있다. 일단 한국에서 환전은 당연히 지원하지 않는다. 그리고 잠비아 내에서 카드 사용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나, 결제 환경이 썩 좋지는 않은 까닭에 현금으로 거래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그 현금을 수급하는데에 있어 달러화를 사용하여 환전하는 것이 가장 유리한데, 특이점으로 고액권과 저액권의 대우의 차이가 매우 큰지라, $50 및 $100 권종으로 챙겨갈 것이 권장된다. (달러로 직접 결제하면 환율을 엄청나게 깎아먹으므로 주의.) 허나 잠비아 콰차를 달러로 역환전할 때, 값이 너무 적으면<ref>정확히 확인 된 바는 없으나, $50 상당은 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ref> 환전소쪽에서 거절하는 일이 잦은 까닭에, 일단 한 번 바꿨으면 다 쓴다는 마인드로 다니는 것이 좋을 수도 있다.
그리고 경제적 빈국의 특성으로서, 현지인처럼 생활할 때와 관광객이 각종 편의시설을 이용해가며 소비할 때 체감하는 물가 관련 온도차가 굉장히 크다. 현지인처럼 생활한다면 최고액권인 100콰차가 그렇게까지 천대받을 수준은 아니나, 관광객의 입장에서 안전하고 편리한 시설만 골라 이용하다보면 100콰차짜리가 거의 5유로짜리에 준하는 잔돈처럼 느껴지게 된다. 로컬 시장과 대형 슈퍼마켓, 현지인 밥집과 관광객용 레스토랑 등지에서 그 차이를 절실히 느낄 수 있고, 특히 빅토리아 폭포에서의 물가 체감은 상상 그 이상이다. 공업이 발달하지 못한 까닭에, 공산품은 현지인용이든 관광객용이든 평등하게 비싼 편이다.
=== 환율 추이 ===
83원/K<small> (2020.02.26 기준)</small><br />200원/K<small> (2013.08.30 기준)</small>


== 2기 콰차 ==
== 2기 콰차 ==
=== 1차 (현행) ===
=== 1차 (현행) ===
2013년 화폐개혁으로 발행되었다. 0을 3개 깎았다는 말고는 크게 다른 점이 없지만, 밀려났던 보조단위 동전들이 한낱 기념품에서 다시 통화로서 부활'''하기는 한 것''' 정도가 의의라면 의의. 다만 개혁 이전에 20콰차 단위로 거래하던 습관이 있었으나, 그것의 치환된 단위인 2응위가 발행되지 않아 일반 시장 위주에서 아주 약간의 물가상승이 발생하였다.
2013년 화폐개혁으로 인해 등장. 0을 3개 깎았다는 말고는 크게 다른 점은 없다. 개혁하면서 밀려났던 보조단위 동전들이 한낱 기념품에서 다시 통화로서 부활한 것도 의의라면 의의. 하지만 반면에 기존에 20콰차 단위로 거래하던 습관이 치환하여 존재하지 않는 단위인 2은궤 대신 5은궤 단위로 끼워 맞추려다보니 아주 약간 소폭으로 물가가 상승했다는 평가도 없지는 않다.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colspan="3" | 잠비아 2기 콰차 시리즈
! colspan="5" style="text-align: center;" | Zambia 2nd Kwacha 1st Series (2013~)
|-
|-
| style="text-align: center;" | 초판 앞면 (2012 ~ 2014)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모습
| style="text-align: center;" | 2판 앞면 (2015 ~ 2018)
| style="text-align: center;" | 앞면나무
| style="text-align: center;" | 3판 앞면 (2019 ~ 0000)<ref>2013년 첫 발행 이후 2018년 8월에 이르기까지 위조지폐가 서서히 늘어나면서 이에 대한 대책으로 저액권→고액권 순으로 위조 방지장치 구성을 강화하여 갈아끼웠다.</ref>
| style="text-align: center;" | 뒷면동물
| style="text-align: center;" | 뒷면배경
|-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파일:ZMK611.jpg]]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 style="text-align: center;" | K2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영양
| style="text-align: center;" | 시장판 사람들
|-
|-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D5D5D5;" | K2 영양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E8D9FF;" | K5 사자
| style="text-align: center;" | K5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CEFBC9;" | K10 고슴도치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사자
| style="text-align: center;" | 카사바
|-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ZMW102.jpg]]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ZMW104.jpg]]
| style="text-align: center;" | K10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ZMW106.jpg]]
| style="text-align: center;" | 고슴도치 나무
|-
| style="text-align: center;" | 고슴도치
| style="text-align: center;" | 시장판 사람들
| style="text-align: center;" | 카사바
| style="text-align: center;" | 밀 수확
| style="text-align: center;" | 밀 수확
|-
|-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FAE0D4;" | K20 영양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D9E5FF;" | K50 표범
| style="text-align: center;" | K20
| style="text-align: center; background-color:#FAF4C0;" | K100 누우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영양
| style="text-align: center;" | 구리광산
(아프리카 남부의 코퍼벨트)
|-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ZMW108.jpg]]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ZMW110.jpg]]
| style="text-align: center;" | K50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ZMW112.jpg]]
| style="text-align: center;" | 돼지나무
| style="text-align: center;" | 표범
| style="text-align: center;" | 잠비아 은행 본청사
|-
|-
| style="text-align: center;" | 구리광산 (아프리카 남부의 코퍼벨트)
| style="text-align: center;" | [[File:ZMK611.jpg|섬네일|centre]]
| style="text-align: center;" | 잠비아 은행 본청사
| style="text-align: center;" | K100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누우
| style="text-align: center;" | 국회건물
| style="text-align: center;" | 국회건물
|-
| colspan="3" |※ 비고 : 앞면의 나무는 권종별로 모두 다르다. K2(티크나무), K5(발삼=뽕나무(Mopane)), K10(마잔제=슈가플럼나무 (Upaca Kirkiana)), K20(자단나무(Pterocarpus)), K50(돌무화과나무), K100(바오밥나무)
|}
|}
* 동전의 경우 5, 10, 50응위와 1콰차의 4종류가 고루 쓰이고 있다.
* 전판에서 K5,000~K50,000을 그대로 계승했는데, 색감은 약간 다르다.
* 개혁 이전의 K5,000~K50,000 모습을 그대로 계승하여 가져왔지만, 색감은 약간씩 다르다.
* 동전의 경우 5, 10, 50은궤와 1콰차의 4종류가 고루 쓰이고 있다.
* 2014년에 독립 50주년 K50 기념지폐를 발행한 바가 있다. 뒷면 좌측의 표범을 독립인사 5명으로 교체한 정도만 다르다.
* 발행 후 위조지폐 비중이 점차 늘어나게 된 것을 계기로 2018년 8월부터 저액권→고액권 순으로 위조방지 강화판이 발행되었다.
{{폐기권}}


== 1기 콰차 ==
== 1기 콰차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