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저 (팀 포트리스 2)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8번째 줄: 8번째 줄:
==개요==
==개요==
{{팀 포트리스 2 병과 정보
{{팀 포트리스 2 병과 정보
|이미지= [[파일:TF2 soldier.png|125픽셀]]
|이미지= [[파일:TF2_soldier.png|125픽셀]]
|병과= 솔저
|병과= 솔저
|이름= 제인 도우
|이름= 제인 도우
17번째 줄: 17번째 줄:
}}
}}


{{인용문|전진이다, 이 구더기들아!}}
{{인용문|Maggots!<br/>구더기들!|솔저|게임내 도발과 '솔저를 만나다'에서|center}}
 
{{인용문|Maggots!<br />구더기들!|솔저|게임내 도발과 '솔저를 만나다'에서|center}}


[[팀 포트리스 2]]의 공격형 병과로 [[체력]]은 200로 높은 편이고, 이동속도는 80%로 느린 편이다. 균형잡힌 [[능력치]]로 정면 [[전투]]를 하는 것과 로켓점프를 이용한 [[기습]]이 주 역할이며, 진입장벽은 낮으나 제대로된 운용법과 응용은 어렵다. 한마디로 전형적인 'Easy to learn, Difficult to master'
[[팀 포트리스 2]]의 공격형 병과로 [[체력]]은 200로 높은 편이고, 이동속도는 80%로 느린 편이다. 균형잡힌 [[능력치]]로 정면 [[전투]]를 하는 것과 로켓점프를 이용한 [[기습]]이 주 역할이며, 진입장벽은 낮으나 제대로된 운용법과 응용은 어렵다. 한마디로 전형적인 'Easy to learn, Difficult to master'
37번째 줄: 35번째 줄:


== 장점 ==
== 장점 ==
*'''우수한 자체스펙'''
솔저의 체력은 200으로 [[헤비 (팀 포트리스 2)|헤비]] 다음으로 높은 체력을 자랑하여 대응을 적절히 잘 한다면 쉽게 죽지 않으며, 솔저의 로켓은 느리지만 강력한 피해와 로켓이 터지면서 내는 확산피해, 그리고 일단 중간에 가로 막힐 장애물이 없으면 끝까지 날아가는 긴 사정거리로 솔저 특유의 강력함을 더해준다.
솔저의 체력은 200으로 [[헤비 (팀 포트리스 2)|헤비]] 다음으로 높은 체력을 자랑하여 대응을 적절히 잘 한다면 쉽게 죽지 않으며, 솔저의 로켓은 느리지만 강력한 피해와 로켓이 터지면서 내는 확산피해, 그리고 일단 중간에 가로 막힐 장애물이 없으면 끝까지 날아가는 긴 사정거리로 솔저 특유의 강력함을 더해준다.


*'''로켓 점프의 기동성'''
이동속도는 80으로 헤비 다음으로 느리지만 로켓점프라는 테크닉을 연마한다면 스카웃보다도 높은 기동성을 가지는게 가능하다.  
이동속도는 80으로 헤비 다음으로 느리지만 로켓점프라는 테크닉을 연마한다면 스카웃보다도 높은 기동성을 가지는게 가능하다. 이걸 활용해서, 적을 기습하거나 우회로를 이용해 진영을 붕괴하는 플레이가 가능하다.


*'''상성을 타지 않음'''
거기에다 다양한 부무장 선택으로 정면에서 전투를 수행할지, 전선에 있는 동료들을 백업할지, 적진으로 날아가서 주요 목표물들을 암살할지 결정하는게 가능하다.
다른 병과들은 상성과 장단점이 뚜렷하고, 카퉁터에 취약하지만, 솔저는 유일하게 무상성에 카운터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 올라운더다. 범용성도 높아서, 로켓 점프의 기동성을 살려 적을 기습/암살할지, 보조무장으로 아군들을 지원할지, 산탄총을 끼고 직접 화력전에 나설 지 등 다방면으로 활용 가능하다. 로켓은 근거리부터 장거리까지 적 견제와 사살 그리고 엔지니어의 농장 철거 등 못 써먹을 데가 없는 만능 무기.
 
이처럼 솔저는 무엇을 해도 무난한 말 그대로 만능형 병과이다. 여러 방향으로 균형잡힌 능력치덕에 딱히 상성을 타는 요소가 없다는것 역시 장점


== 단점 ==
== 단점 ==
솔저는 입문은 쉽지만 제대로 운용하려면 정말 어려워지는 전형적인 'Easy to learn, Difficult to master'형 병과이다. 일단 로켓점프만 하더라도 단순히 높이 점프한다는 것에만 맞추면 굉장히 쉽다. 그러나 이를 이용해서 기동성을 높이고 기습이 용이한 수준까지 가려면 정말 뼈를 깎는 연습과 노력이 필요하다.
솔저는 입문은 쉽지만 제대로 운용하려면 정말 어려워지는 전형적인 'Easy to learn, Difficult to master'형 병과이다. 일단 로켓점프만 하더라도 단순히 높이 점프한다는 것에만 맞추면 굉장히 쉽다. 그러나 이를 이용해서 기동성을 높이고 기습이 용이한 수준까지 가려면 정말 뼈를 깎는 연습과 노력이 필요하다.  


뭘 해도 무난하다는 뜻은 반대로 말하자면 뭣 하나 제대로 하기에는 애매하다는 소리가 된다.기동성, 지속딜, 탱킹 능력 그 어느 분야에서도 항상 특화된 부분이 없다.적어도 스카웃은 기동성에, 지속화력은 파이로가, 탱킹은 헤비가, 순간적인 위력은 데모맨과 스나이퍼가 우세<ref>거리에 상관없이 헤드샷만 하면 150~450의 위력이 나온다.노차지 헤드샷도 발당 위력은 로켓을 더 능가한다!</ref>를 점하는데 말이다.
뭘 해도 무난하다는 뜻은 반대로 말하자면 뭣 하나 제대로 하기에는 애매하다는 소리가 된다.기동성, 지속딜, 탱킹 능력 그 어느 분야에서도 항상 특화된 부분이 없다.적어도 스카웃은 기동성에, 지속화력은 파이로가, 탱킹은 헤비가, 순간적인 위력은 데모맨과 스나이퍼가 우세<ref>거리에 상관없이 헤드샷만 하면 150~450의 위력이 나온다.노차지 헤드샷도 발당 위력은 로켓을 더 능가한다!</ref>를 점하는데 말이다.
53번째 줄: 50번째 줄:
로켓의 낮은 장탄수 또한 문제가 된다. 로켓은 총 24발중에서 4발씩 장전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전선에서 이리구르고 저리구르고를 반복하다보면 어느새 로켓이 모두 떨어져 나도 모르게 샷건이나 모종삽을 들고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로켓의 낮은 장탄수 또한 문제가 된다. 로켓은 총 24발중에서 4발씩 장전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전선에서 이리구르고 저리구르고를 반복하다보면 어느새 로켓이 모두 떨어져 나도 모르게 샷건이나 모종삽을 들고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로켓 점프 없는 솔저는 말하자면 '''찐빵에 팥이 없는 격'''이 된다.로켓의 장탄수는 최악인데 그마저도 근거리에서 위력적이지, 멀리서 쏘면 긁는 수준밖에 안 된다.결국은 최대한 재빠르게 근접해야 하는데 그러기에는 기동성이 부족하다.뒤에서 두번째인 기동력은 말할 것도 없고 멀리서 쏴제끼자니 멀리 있는 적은 잘 안죽을 뿐더러 탄속이 느린 덕택에 직격포가 아닌 이상 슥 보고 간단히 회피할 수 있다.
로켓 점프 없는 솔저는 말하자면 '''찐빵에 팥이 없는 격'''이 된다.로켓의 장탄수는 최악인데 그마저도 근거리에서 위력적이지, 멀리서 쏘면 긁는 수준밖에 안된다.결국은 최대한 재빠르게 근접해야 하는데 그러기에는 기동성이 부족하다.뒤에서 두번째인 기동력은 말할 것도 없고 헤비와 거의 차이가 없다.체력이 200이나 된다 한들 발이 느려서 전투 후 도주하기에도 부족하다.


때문에 로켓 점프를 통해 최대한 기동성을 확보한 뒤 빠르게 접근해서 근거리에서 폭딜을 넣는 방식으로 전투를 해야 이득을 볼 수 있다.로켓 점프를 전략적으로 활용하지 않는 솔저는 스카웃, 파이로, 헤비, 데모맨, 스나이퍼 등에 밀려날 수밖에 없다.
때문에 로켓 점프를 통해 최대한 기동성을 확보한 뒤 빠르게 접근해서 근거리에서 폭딜을 넣는 방식으로 전투를 해야 이득을 볼 수 있다.로켓 점프를 전략적으로 활용하지 않는 솔저는 스카웃, 파이로, 헤비, 데모맨, 스나이퍼 등에 밀려날 수 밖에 없다.


== 운용법 ==
== 운용법 ==
=== 로켓점프 ===
=== 로켓점프 ===
<big><big><big>'''솔저의 알파이자 오메가.'''</big></big></big>
둠이나 퀘이크와 같은 고전 FPS에서 고스란히 물려받은 기능. 높게 뛰기<ref>앉고(컨트롤) 일어나자마자 아주 빨리 스페이스바</ref> 후 발밑에 로켓을 쏘면 시전 가능하다.
기본적으로 굼뜨기인 솔저의 수직(그리고 때로는 수평) 기동성을 '''지수함수적'''으로 향상시켜주는 기술이기 때문에 당신이 어떤 스타일로 플레이하든 반 필수적으로 습득해야만 하는 기술이다.<ref>거기다 솔저의 무장 중에는 '''로켓 점프를 반드시 동원해야만''' 제 성능을 내는 무장도 있다!</ref>
기본적으로 자기 발 밑에 바로 쏘아 수직 기동성을 증가시키는 기술이지만, 자신의 발 뒤에 쏴 폭발적인 가속력을 얻을 수도 있다. 아니, '''사실 이 쪽이 메인이다.''' 또한 로켓의 넉백을 연속적으로 적용받을 수 있기 때문에 벽에 달라붙어 계속 로켓 점프를 한다던가, 바닥에 살짝만 뜬 채로 로켓 점프를 한다던가 하는 다양한 변종이 존재. 당신 하기 나름이다.
=== 솔격기 ===
=== 솔격기 ===
'''로켓 점프 장치(Rocket jumper)''', 혹은 그 대용으로 자유투사(Liberty launcher)를 드는 솔저. 기본적으로 로켓 점프로 빠르게 적진에 침입하여 목표를 완수하고 로켓 점프로 빠르게 이탈하는 전술을 사용한다. 보통 '''예능'''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닌 전술로 취급되지만, <big>'''Hightower'''</big> 같은 맵에서는 정정당당하게 날아다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기본적으로 '''로켓 점프 장치+인간딛개+마켓가든 모종삽''' 3종 콤보로{{ㅊ|[[가면라이더 오즈|로켓점프! 인간딛개! 모종삽! 로딛삽! 로딛삽 로딛삽!]]}} 적 팀의 대가리를 깨부수고 다니는 것이 이들의 주요한 전술. 아니, 이들의 '''99%.''' 가히 흥행했었던 전술이다. 솔격기를 모는 것이 얼마나 손맛이 있는 지의 증명이라고도 볼 수 있다. 솔직히 지금도 고수가 들면 충분히 양학 가능한 수준(...)
거점 점령이나 수레 밀기가 목적인 경우는 로켓 점프 장치와 고통행 열차 조합을 사용한다. 이들은 그렇게 많이 보이지 않는다.
=== 로밍솔저 ===
=== 로밍솔저 ===
의미 그대로 '''돌아다니는''' 솔저. 로켓 점프의 막강한 기동성을 기반으로 전장 이곳저곳을 쏘다니며 불시에 기습하고 빠르게 도주하는 전술을 많이 사용한다.
주무장은 '''로켓 점프 장치를 제외하고''' 아무거나 들어도 괜찮다. 생존력을 높이기 위하여 블랙박스를 착용 할 수도 있고, 순간적인 폭딜을 위해 직격포나 공중 폭격포를 착용 할 수도 있다. 기본 로켓 발사기도 어느 정도 밥값은 한다. '''단지 로켓 점프 장치만 들지 않으면 된다.'''
부무장은 주로 깃발류 보다는 산탄총류를 사용한다. 주무장과 마찬가지로 아무거나 들어도 괜찮다. 가끔씩 로켓 점프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건보츠를 착용할 때도 있다.
근접무기는 주로 '''탈출 계획'''을 많이 드는 편. 들면 줄어든 체력에 비례해 이동속도가 늘어나는 편리한 무장이다.
=== 포켓솔저 ===
=== 포켓솔저 ===
팀원들과 함께하며 딜링과 서포팅을 담당하는 솔저. 주로 증진을 걸어주는 깃발류와 함께 하는 편.


== 무기 ==
== 무기 ==
{{본문|솔저 (팀 포트리스 2)/무기}}
[[솔저 (팀 포트리스 2)/무기|해당 항목 참조]]


== 밈(Meme) ==
== 밈(Meme) ==
=== Painis cupcake ===
=== Painis cupcake ===
{{인용문|I'm a painis cupcake. I will eat you.|솔저|[https://www.youtube.com/watch?v=WBuggMdUbog 영상에서]}}
{{인용문|I'm a painis cupcake. I will eat you.|솔저|[https://www.youtube.com/watch?v=WBuggMdUbog 영상에서]}}  


[https://www.youtube.com/watch?v=WBuggMdUbog 원본]
[https://www.youtube.com/watch?v=WBuggMdUbog 원본]


Painis cupcake은 솔저가 자신이 페이니스 컵케잌이라며 상대를 먹는 영상이 인기가 많아져 솔저의 대표밈으로 자리 잡았다.
Painis cupcake은 솔저가 자신이 페이니스 컵케잌이라며 상대를 먹는 영상이 인기가 많아져 솔저의 대표밈으로 자리 잡았다.
특징은 움직일때마다 산탄총 장전 소리를 내며, 상대를 발견할시 나는 페이니스 컵케이크다.난 너를 먹어버리겠다.(I am painis cupcake. I will eat you.) 라고 한 후에 미소를 짓고 '''상대를 인수분해 시킨후 먹어버린다(...).'''
특징은 움직일때 마다 산탄총 장전 소리를 내며, 상대를 발견할시 나는 페이니스 컵케이크다.난 너를 먹어버리겠다.(I am painis cupcake. I will eat you.) 라고 한 후에 미소를 짓고 '''상대를 인수분해 시킨후 먹어버린다(...).'''
게임모드 Freak Fortress 2(색스톤 헤일 모드) 에서도 등장한다.
게임모드 Freak Fortress 2(색스톤 헤일 모드) 에서도 등장한다.


105번째 줄: 80번째 줄:
=== Seedier(씨저) ===
=== Seedier(씨저) ===
{{인용문|See?!|씨저}}
{{인용문|See?!|씨저}}
얼굴이 일그러지며'''See?!'''를 외치고 음악에 맞춰 <del>막</del>춤을 추는 블루팀 솔저. 설명에서부터 알 수 있듯 Seeman의 패러디다. <del>참으로 쓸데없지만</del> 춤출 때 흐르는 배경음악은 레드얼럿 2의 Grinder.
얼굴이 일그러지며'''See?!'''를 외치고 음악에 맞춰 <del>막</del>춤을 추는 블루팀 솔저. 설명에서붙 알 수 있듯 Seeman의 패러디다.


{{각주}}
{{각주}}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