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인크래프트/멀티플레이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7번째 줄: 7번째 줄:
그렇기에 서버가 단순 생존이냐 건축이냐로 논의되는 과거 Beta버전 시절과는 전혀 다른 양상을 띄고 있으며 개발자를 괴롭히면 괴롭힐수록 플러그인이 구현하는 한계의 폭이 넓어지는 탓에 마인크래프트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RPG 서버도 있고 대형 모드를 일정 분기마다 초기화하며 즐기는 서버도 있다. 물론 접근성이 좋을수록 즐기는 유저도 많다는 것은 변함없긴 하다.
그렇기에 서버가 단순 생존이냐 건축이냐로 논의되는 과거 Beta버전 시절과는 전혀 다른 양상을 띄고 있으며 개발자를 괴롭히면 괴롭힐수록 플러그인이 구현하는 한계의 폭이 넓어지는 탓에 마인크래프트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RPG 서버도 있고 대형 모드를 일정 분기마다 초기화하며 즐기는 서버도 있다. 물론 접근성이 좋을수록 즐기는 유저도 많다는 것은 변함없긴 하다.


=== 게임 유형에 따른 종류 ===
* 약탈 : 보호 플러그인 자체가 없는 경우가 많으며 자신이 접속하지 않을때에 상자나 화로 등을 털어도 법으로 처벌 받지 않는다. 거기에 상대방을 기습해서 아이템을 빼앗아도 무죄. 따라서 상대방이 접근하기 어려운 곳에 거처를 마련하고 살거나 그마저도 움직여가며 살아나가야 하는 서버이다. 문자 그대로 어떤 방법으로 약탈해도 무방한 무법천지 서버이다.
* 약탈 : 보호 플러그인 자체가 없는 경우가 많으며 자신이 접속하지 않을때에 상자나 화로 등을 털어도 법으로 처벌 받지 않는다. 거기에 상대방을 기습해서 아이템을 빼앗아도 무죄. 따라서 상대방이 접근하기 어려운 곳에 거처를 마련하고 살거나 그마저도 움직여가며 살아나가야 하는 서버이다. 문자 그대로 어떤 방법으로 약탈해도 무방한 무법천지 서버이다.


21번째 줄: 20번째 줄:


* 모드 : 대형 모드들을 하나의 패키지로 구성해서 즐기는 서버. 즐기는 인구는 적지만 대부분 매니악한 유저들이라 오래 붙들고 있는 것이 특징. 하지만 매니악한 유저들은 상당히 효율적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수십일내에 테크트리를 거의 다 타버리기도 하며 모든 테크트리를 다 타고나서는 '할 게 없다'는 식으로 자신이 경험하지 못 한 모드를 끄적이게 된다. 만약 초심자라면 가능하면 서버 초기화 주기가 긴 서버에 들어가는게 유리하며 질문을 계속 던지면서 습득하기 쉬운 '''기술모드''' 먼저 습득하는게 유리하다.<ref>마법모드도 결국에는 기술모드의 자원을 기반으로 성장하는게 태반이다.</ref> 모드팩 서버는 구 버전(1.7.10/1.10/1.12.2)을 이용하기도 한다.
* 모드 : 대형 모드들을 하나의 패키지로 구성해서 즐기는 서버. 즐기는 인구는 적지만 대부분 매니악한 유저들이라 오래 붙들고 있는 것이 특징. 하지만 매니악한 유저들은 상당히 효율적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수십일내에 테크트리를 거의 다 타버리기도 하며 모든 테크트리를 다 타고나서는 '할 게 없다'는 식으로 자신이 경험하지 못 한 모드를 끄적이게 된다. 만약 초심자라면 가능하면 서버 초기화 주기가 긴 서버에 들어가는게 유리하며 질문을 계속 던지면서 습득하기 쉬운 '''기술모드''' 먼저 습득하는게 유리하다.<ref>마법모드도 결국에는 기술모드의 자원을 기반으로 성장하는게 태반이다.</ref> 모드팩 서버는 구 버전(1.7.10/1.10/1.12.2)을 이용하기도 한다.
=== 서버 형태에 따른 종류 ===
* LAN 서버: 서버 구현체 없이 한 플레이어(호스트)가 서버가 되어서 연결되는 서버. 호스트 유저가 게임을 끄면 서버도 종료된다. VPN과 조합해서 원격으로 플레이 할 수 있다.
* 서버 프로그램(버킷): 흔히 버킷이라고 부르는 것. 서버 프로그램(서버 구현체)을 실행하여 서버를 운영하는 방식. 구글 클라우드나 아마존 웹서비스 같은 서버에도 서버 프로그램을 올릴 수 있다.<ref>이 경우 서버가 다른 대륙에 있다면 지연 시간이 길이지게 된다. 한국, 일본이나, 중국, 대만같이 가까운 데에 만들어주자. kubernetes 같은 데에도 서버를 올리는게 가능한데 일반 가상머신보다 속도가 올라간다. 난이도는 어렵다.</ref> 서버 프로그램에는 paper, spigot, purpur, fabric서버 등이 있다. 대형 서버에서는 클러스터를 구축해 응답 속도를 개선한다.
* 렐름: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전용 서버를 빌리는 방식. 한 달에 만원 미만의 비용으로 즐길 수 있는데 싼 편은 아니다.<ref>원격 서버치고는 싼 편이다. 구글 클라우드의 경우 돈이 많이 들어간다.</ref> 맵 용량이 어느 정도 커지면 서버에서 맵을 다운받을 수 없다... 조금 속도는 느리다.


=== 서버 목록 ===
=== 서버 목록 ===
35번째 줄: 30번째 줄:


==== 미니 게임 서버 ====
==== 미니 게임 서버 ====
* [[Hypixel network|Hypixel]] [https://hypixel.net/ hypixel.net] [[google:Hypixel|구글 검색 Hypixel]]
* Hypixel [https://hypixel.net/ hypixel.net] [[google:Hypixel|구글 검색 Hypixel]]
*: 하이픽셀이라고 하는데 그 아래에 수 많은 미니게임들이 있다. 프로토타입 미니게임인 스카이블럭이 있는데 하이픽셀에서 가장 중요한 미니게임이 되어가고 있다. 다른 유명한 미니게임 중에서는 zombies가 있는데 좀비 디펜스 게임하고 유사하다.
*: 하이픽셀이라고 하는데 그 아래에 수 많은 미니게임들이 있다. 프로토타입 미니게임인 스카이블럭이 있는데 하이픽셀에서 가장 중요한 미니게임이 되어가고 있다.
 
==== 무정부 서버(Anarchy) ====
관리자가 마크 서버 내에서 전혀 손을 대지 않아 자유도가 무제한이다. 통제가 없다보니 매우 거칠고 혼돈 그 자체다.
 
* 2b2t
*: 마인크래프트에서 가장 오래된 무정부 서버다. 스폰 지역에 아예 테러를 해서 뉴비의 접속을 막는다... 스폰 지역에서 탈출하기 위해서는 지옥에 있는 흑요석으로 된 고속도로를 타야되는데 고속도로를 타기 위한 포탈 조차 흑요석으로 막아놓는 경우도 있다. 고속도로에 수상하게 배회하는 유저들도 있는데 PK 플레이어일 수도 있으니 접근하면 안 된다. 건축 팀이 힘을 합쳐 근거지를 건설하곤 하는데 테러리스트한테 걸리면 파괴확정... [[렉머신]]을 대규모로 만들어 놓고 서버 테러하는 경우도 많다. 대기열을 몇 시간을 기다려야 접속이 가능하다. 서버 CPU는 i9 시리즈, SSD는 NVME 메모리를 달아놓았다.
 
{{유튜브|Vfxgn9q08Bc|캡션= 스폰지역 탈출. 잘 보면 나치 상징도 있다.}}
<!-- 서버목록 기여 끝 -->
<!-- 서버목록 기여 끝 -->


97번째 줄: 84번째 줄:
{{주석}}
{{주석}}
{{마인크래프트}}
{{마인크래프트}}
[[분류:마인크래프트|/]]
[[분류:마인크래프트|멀티플레이]]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

이 문서는 다음의 숨은 분류 1개에 속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