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선 편집하기


편집하면 당신의 IP 주소가 공개적으로 기록됩니다. 계정을 만들고 로그인하면 편집 시 사용자 이름만 보이며, 위키 이용에 여러 가지 편의가 주어집니다.

편집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이 편집을 되돌리려면 아래의 바뀐 내용을 확인한 후 게시해주세요.

최신판 당신의 편집
1번째 줄: 1번째 줄:
{{철도 노선 정보
{{철도 노선 정보
|이름    = 대구선
|노선명 = 대구선
|원어이름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KR}}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KR}}
|글자색 = white
|글자색   = white
|그림 =  
|그림     =
|나라 = {{국기그림|대한민국}} [[대한민국]]
|그림크기 =
|종류 = [[일반철도]]([[지선철도|지선]])
|그림설명 =
|번호 = 30210
|그림alt  =  
|노선 =
|나라     = {{나라|대한민국}}
|구간 = [[가천역|가천]] ~ [[영천역|영천]] <small>(29.0 km, 8개)</small>
|종류     = [[일반철도]]([[지선철도|지선]])
|번호     = 30210
|구간     = [[가천역|가천]] ~ [[영천역|영천]]
|영업거리 = 26.1 km
|역수    = 6개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
|개통일  = [[1917년]] [[12월 24일]]
|폐지일  =
|경유노선 =
|차량기지 =  
|차량기지 =  
|궤간     = 1,435 mm ([[표준궤]])
|개통일 = [[1917년]] [[12월 24일]]
|선로     = 2
|폐지일 =
|전기     = [[교류]] 25 kV, 60 Hz, [[가공전차선]]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신호     = [[ATS]], [[ATP]]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
|비고    =  
|궤간 = 1,435 mm ([[표준궤]])
|선로 = 2
|전기 = 교류 25 kV, 60 Hz, [[가공전차선]]
|신호 = [[ATS]]/[[ATP]]
|최고속도 =
|주석 =  
}}
}}


30번째 줄: 25번째 줄:


== 역사 ==
== 역사 ==
=== 사철시대 ===
* [[2019년]] [[4월 17일]] : 노선번호가 2020에서 30210로 변경됨.<ref>[http://gwanbo.mois.go.kr/ezpdf/customLayout.jsp?contentId=00000000000000001555309930817000&tocId=00000000000000001555373583857000&isTocOrder=N&name=%25EA%25B5%25AD%25ED%2586%25A0%25EA%25B5%2590%25ED%2586%25B5%25EB%25B6%2580%25EA%25B3%25A0%25EC%258B%259C%25EC%25A0%259C2019-173%25ED%2598%25B8(%25EC%2582%25AC%25EC%2597%2585%25EC%259A%25A9%25EC%25B2%25A0%25EB%258F%2584%2520%25EB%2585%25B8%25EC%2584%25A0%25EB%25B2%2588%25ED%2598%25B8%2520%25EB%25B3%2580%25EA%25B2%25BD)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9-173호]</ref>
대구선은 일제강점기의 조선중앙철도 주식회사의 [[경편철도]]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1916년에 [[국유철도|국철]] [[경부선]] [[대구역]]을 기점으로 하여 동해안 포항을 지나 학산에 이르는 노선과, 도중 경주에서 분기하여 울산을 경유, 동래에 이르는 노선, 그리고 울산에서 장생포에 이르는 구간을 갖춘 131.9마일, 궤간 2피트 6인치(762mm [[협궤]]), 동력방식은 증기인 철도로 부설허가를 받은 것이 시초이다<ref>철도청(1999). "한국철도100년사". pp.443.</ref>. 다만 당시에는 대구선이라는 이름이 없이 조선중앙철도, 줄여서 중철 또는 중앙철도 등으로 불리웠다<ref>'중철궤도 확대'. 동아일보, 1920년 4월 9일 보도.</ref><ref>'중앙철도 양선 개통'.동아일보, 1921년 10월 30일 보도.</ref>
 
이후 1917년 2월에 기공하여 건설에 착수, 같은해 11월에 [[하양역|하양]] 까지의 구간을 개업하였고, 1918년에는 경주 [[서악역|서악]]에서 분기하여 [[불국사역|불국사]] 및 [[포항역|포항]]까지의 구간을 완공, 개업하여 현재의 대구선 구간에 해당하는 협궤노선의 골간이 완성되었다. 이후 조선중앙철도는 1919년에 포항~[[학산역|학산]]까지의 구간을 완공하고, 현재 [[동해남부선]]에 해당하는 불국사~울산 간의 구간은 1921년에 완공하였다.
 
이후 1923년에 대합동으로 조선중앙철도를 포함한 사철 6개사가 [[조선철도 주식회사]]로 합병되면서 해당 노선은 '''경동선'''(慶東線)이라는 선명을 부여받았다. 이후 조선국유철도12년 계획에 의해 매수선으로 지정되어, 1928년 7월 1일에 총독부 철도국에 인수되었다.
 
=== 개궤 및 노선명 부여 ===
이후 경동선은 협궤인 상태로 남겨져 있었으나, 1935년 9월에 [[표준궤]]로의 개궤 공사에 착수하여, 1938년 7월 1일에 영천까지의 구간을 완공하였고, 이후 1939년 6월 1일에 경주까지 개궤를 완공하였다. <ref>한국철도공사(2010). "철도주요연표". pp. 76.</ref> 이 개궤는 [[중앙선]] 건설에 호응하여, 대구 및 [[부산역|부산]] 방향으로의 직결운행을 수행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었다. 개궤 이후 경경선의 대구~[[영천역|영천]] 구간을 '''대구선'''으로 재명명하게 된다.
 
=== 이설 및 복선전철화 ===
대구선은 이후 경부선의 지선으로서 중앙선 및 동해남부선을 연계하는 일종의 연결선으로 유지되었다. 이후 포항, 울산의 공업생산이 확대되면서 대구선은 동남권의 석유, 화학, 철강 제품을 수도권으로 수송하는 화물수송 루트로 활용되었다. 이후 1970년에는 대구역의 저탄장, 목재하치장 등 화물기능을 이전받는 역으로 [[반야월역]]이 결정되어<ref>'현대구역 폐쇄키로 하역시설 등 교외로'. 매일경제, 1970년 9월 28일 보도.</ref>, 이후 [[경북선]], [[태백선]], [[영동선]]으로부터의 석탄운송 열차 또한 집중되게 되었다.
 
이후 도시지역 통과로 인한 민원을 해소하기 위해서 [[동대구역|동대구]]~[[청천역|청천]]구간의 이설이 대구시로부터의 수탁 형태로 추진되어, 1997년에 11월 19일에 기공되었다. 이후 2005년 11월 3일에 현재의 [[가천역|가천]], [[금강역|금강]] 경유의 신규 노선이 개업하게 되었다. 그러나, 반야월역에 위치한 연료단지에의 [[석탄]] 수송이 유지되고 있어서 기존 대구선이 '''구대구선'''이라는 이름으로 2008년 5월 15일까지 유지되었다.
 
한편으로, 대구선 이설에 이어서 대구선을 고규격의 복선전철로 개량하는 사업이 추진되었다. 이를 통해 동해축의 간선철도 기능을 확보하고, 대구, 경산, 영천간의 광역철도망을 구축하여 지역주민의 교통편의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사업 추진은 상당히 지연되어 2011년 4월 7일에서야 착공되었고, 당초 2017년 정도에는 개통될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2021년에 이르러서야 겨우 사용개시에 이르렀으며, 전차선 등의 전력설비는 2021년 연말에 정식 개통될 예정이다.
 
===연혁===
* [[2019년]] [[4월 17일]]: 노선번호를 2020에서 30210로 변경<ref>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ref>
* [[2021년]] [[6월 17일]]: 선로 이설 및 [[봉정역]], [[북영천역]]<ref>중앙선 역은 유지</ref> 폐지<ref>국토교통부고시 제2021-860호</ref>
* 2021년 12월 28일: 복선전철 개통


== 운행 ==
== 운행 ==
=== 무궁화호 ===
=== 무궁화호 ===
[[무궁화호]]는 '''지역간 수송'''(Regional)을 주로 담당하는 열차로, 현재 대구선을 경유하는 열차는 다음과 같다. 정차역은 주요역만을 나열하였으며, ''기울임체''를 사용한 역은 [[중앙선]] 및 [[동해선]] 구간이다. 운행횟수는 구간운행 열차를 포함한다.
[[무궁화호]]는 '''지역간 수송'''(Regional)을 주로 담당하는 열차로, 현재 대구선을 경유하는 열차는 다음과 같다.
* '''무궁화호''' (1670): [[동대구역|동대구]] - [[하양역|하양]] - [[영천역|영천]] (→ [[중앙선]], [[영동선]] 경유 [[동해역|동해]] 착발) (1일 2왕복)
 
* '''무궁화호''' (1750): 동대구 - 하양 - 영천 - ''[[서경주역|서경주]] - [[포항역|포항]]'' (1일 4왕복)
* '''무궁화호''' (1670): 동대구 - 하양 - 영천 - (→ [[중앙선]], [[영동선]] 경유 동해 발착) (1일 2왕복)
* '''무궁화호''' (1770): 동대구 - 하양 - 영천 - ''[[경주역|경주]] - [[태화강역|태화강]] - [[기장역|기장]] - [[신해운대역|신해운대]] - [[부전역|부전]]'' (1일 11왕복<ref>전구간은 3왕복</ref>)
* '''무궁화호''' (1750): 동대구 - 하양 - 영천 - (→ [[중앙선]], [[동해선]] 경유 포항 발착) (1일 4왕복)
* '''무궁화호''' (1770): 동대구 - 하양 - 영천 - (→ [[중앙선]], [[동해선]] 경유 부전·태화강 발착) (태화강행 1일 3왕복, 부전행 1일 10왕복)


== 역 목록 ==
== 역 목록 ==
* ●: 모든 열차 정차, ┃: 모든 열차 통과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white-space: nowrap; overflow-x: auto;"
|-
|-
! km
! km
! 정거장
! 역명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여객|무궁화}}; color: white;" | 무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여객|무궁화}}; color: white;" | 무
! 연계 노선
! 연계 노선
80번째 줄: 55번째 줄: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style="text-align: left;" |  
| [[대구 동구|동구]]
| [[동구 (대구)|동구]]
|-
|-
| style="text-align: right;" | 8.1
| style="text-align: right;" | 8.1
86번째 줄: 61번째 줄: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style="text-align: left;" |  
| rowspan="5" | {{세로|[[경상북도]]}}
| rowspan="6" | {{세로|[[경상북도]]}}
| rowspan="2" | [[경산시]]
| rowspan="2" | [[경산시]]
|-
|-
| style="text-align: right;" | 13.6
| style="text-align: right;" | 14.1
| [[하양역|하양]]
| [[하양역|하양]]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대구|1}} [[대구 도시철도 1호선|1호선]] (예정)''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대구|1}} [[대구 도시철도 1호선|1호선]]''
|-
|-
| style="text-align: right;" | 18.7
| style="text-align: right;" | 19.0
| [[금호역 (영천)|금호]]
| [[금호역 (영천)|금호]]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style="text-align: left;" |  
| rowspan="3" | [[영천시]]
| rowspan="4" | [[영천시]]
|-
| style="text-align: right;" | 23.2
| <del>[[봉정역|봉정]]</del><ref>전산망에서는 삭제되었으나, 역명거리표에 반영되지 않았다.</ref>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
| style="text-align: right;" | 23.9
| style="text-align: right;" |  
| (분기점)
| (분기점)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영천삼각선]] (연결)
| style="text-align: left;" | [[영천삼각선]] (연결)
|-
|-
| style="text-align: right;" | 26.1
| style="text-align: right;" | 29.0
| [[영천역|영천]]
| [[영천역|영천]]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111번째 줄: 91번째 줄:
|-
|-
|}
|}
=== 폐역 ===
* [[동촌역]]
* [[신평신호소]]
* [[반야월역 (폐역)|반야월역]]
* [[봉정역]]


{{각주}}
{{각주}}
122번째 줄: 96번째 줄: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분류:대구선| ]]
리브레 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라이선스로 배포됩니다(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브레 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글이 직접 작성되었거나 호환되는 라이선스인지 확인해주세요. 리그베다 위키, 나무위키, 오리위키, 구스위키, 디시위키 및 CCL 미적용 사이트 등에서 글을 가져오실 때는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여야 하고, 만약 본인이 문서의 유일한 기여자라는 증거가 없다면 그 문서는 불시에 삭제될 수 있습니다.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 () [] [[]] {{}} {{{}}} · <!-- --> · [[분류:]] · [[파일:]] · [[미디어:]] · #넘겨주기 [[]] · {{ㅊ|}} · <onlyinclude></onlyinclude> · <includeonly></includeonly> · <noinclude></noinclude> · <br /> · <ref></ref> · {{각주}} · {|class="wikitable" · |- · rowspan=""| · colspan=""|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