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필터 기록

편집 필터 둘러보기 (처음 | 최근 필터의 바뀜 | 과거의 편집 검토하기 | 편집 필터 기록)
기록 9,710에 대한 자세한 정보

2015년 10월 26일 (월) 23:52: Ehddiehddi (토론 | 기여)님이 오답노트에서 "edit" 동작을 수행하여 필터 0이(가) 작동했습니다. 조치: 태그; 필터 설명: (검사)

편집에서 바뀐 내용

== 개요 ==
[[파일:오답노트 예시]]
'''오답노트의 예시''' [[http://www.gongsin.com/m/bbs/board.php?bo_table=gongsin_column_bbs&wr_id=120277|출처]]


~~노답노트~~
틀렸거나 찍어서 맞춘 문제를 노트에 쓰거나 오려내 붙인 다음 그 아래에 풀이나 원리를 필기함으로써 같은 유형의 문제를 다시 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만드는 노트. 오답노트 형식이 인쇄된 [[공책]]도 나온다.
모든 노트 필기가 그렇듯이, 다 만든 오답노트를 보면 묘한 성취감이 느껴진다고 한다. ~~그야 당연히 더럽게 지루한 거 끝내니까 좋지~~
== 학습 효과가 있는가? ==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학습 방법이지만, 그 효과에 대해선 아직까지도 논란이 있다.[* 사실 오랫동안 진리로 받아들여지다가 요즘 들어 비판론이 나오는 것이다.] 물론 학습 방법이란 게 과목마다 그리고 개인마다 효과의 편차가 있기에 뭐라 단언할 순 없는 노릇이지만, 확실한 것은 제대로 된 복습을 하지 않고 그저 '''아무 생각 없이''' 오답노트만 만드는 것은 십중팔구 뻘짓이 된다는 것이다.
공부를 잘 하는 학생은 오답의 수가 적고 몰라서 틀린 것보다 아는데 실수로 틀린 문제가 많아서 오답노트를 통해 실수를 바로잡을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하지만, 공부를 못 하는 학생의 경우 틀린 문제 자체가 많기 때문에 오답노트를 만들 시간에 공부를 더 하는 것이 낫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적인 의견이다. (출처 추가 바람)
=== 있다는 의견 ===
[https://youtu.be/iiScZ_LDpmI '''오답노트가 공부의 비결이었다며 소개하는 [[서울대]] 학생'''(2분 13초부터)]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2&aid=0002603980 수능 상위권 학생들의 공통적인 습관이 오답노트 작성이라는 경향신문 기사]]
모르는 문제에서 정확히 어느 부분을 모르는지, 왜 틀렸는지, 정답은 무엇인지, 거기에서 알아둬야 할 개념은 무엇인지 정확히 짚고 스스로 정리하는 습관을 기르게 돼 다음부터 비슷한 유형의 문제는 틀리지 않게 된다.
또한 오답노트를 곱씹어 보면 [[복습]]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되고, 자기주도적인 학습 점검도 될 것이다.
=== 없거나 미미하다는 의견 ===
[https://youtu.be/VZ2fxdaYPk0 '''오답노트를 대차게 까는 [[삽자루]]'''(2분 15초부터)]
쉽게 말해서, '''시간낭비'''다. 의외로 만드는 데 시간이 오래 들 뿐더러 한 번 노트를 만들었다고 그것에 대한 기억이 아주 오래오래 지속되는 것도 아니다. 그래서 차라리 오답노트를 만들 시간에 문제 몇 개를 더 풀면서 머리속으로 곱씹어보는 게 낫다.
또한 문제와 유형 암기를 목표로 하는 오답노트의 특성은 이해를 중심으로 하는 현 [[수능]]의 체제와 맞지 않기에 별 효과를 보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특히, [[수리 영역]]은 '''한 번 나왔던 문제가 또 나오는 경우는 거의 없기에'''[* 더군다나 고난이도 문제들은 대부분 새로운 유형이다.] 오답노트가 거의 효과를 발휘하지 못한다.
== 독특한 사용법 ==
오답노트용으로 칸이 나눠져 나오는 노트는 그림 그리기나 설정짜기를 좋아하는 학생들에겐 캐릭터북으로 쓰기 딱 좋은 [[공책]]이다. 생각해보면 크기별로 나뉘어 있는 칸이 외형 묘사, 작명, 설정 정리 등을 하는 데 매우 적절하기 그지없다. 그 이외에 낙서장 겸 다이어리로 쓰는 경우도 존재한다.
--물론 이런 용도로 쓰면 학습 효과 따위 없다--
[[분류:교육]]

명령 변수

변수
사용자의 편집 수 (user_editcount)
14
사용자 계정 이름 (user_name)
'Ehddiehddi'
사용자 계정 만든 후 지난 시간 (user_age)
7086290
user_mobile
false
문서 ID (page_id)
0
문서 이름공간 (page_namespace)
0
(이름공간을 뺀) 문서 제목 (page_title)
'오답노트'
전체 문서 제목 (page_prefixedtitle)
'오답노트'
동작 (action)
'edit'
편집 요약/이유 (summary)
''
사소한 편집으로 표시할지의 여부 (더 이상 쓰이지 않음) (minor_edit)
false
편집 전 과거 문서의 위키텍스트 (old_wikitext)
''
편집 후 새 문서의 위키텍스트 (new_wikitext)
'== 개요 == [[파일:오답노트 예시]] '''오답노트의 예시''' [[http://www.gongsin.com/m/bbs/board.php?bo_table=gongsin_column_bbs&wr_id=120277|출처]] ~~노답노트~~ 틀렸거나 찍어서 맞춘 문제를 노트에 쓰거나 오려내 붙인 다음 그 아래에 풀이나 원리를 필기함으로써 같은 유형의 문제를 다시 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만드는 노트. 오답노트 형식이 인쇄된 [[공책]]도 나온다. 모든 노트 필기가 그렇듯이, 다 만든 오답노트를 보면 묘한 성취감이 느껴진다고 한다. ~~그야 당연히 더럽게 지루한 거 끝내니까 좋지~~ == 학습 효과가 있는가? ==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학습 방법이지만, 그 효과에 대해선 아직까지도 논란이 있다.[* 사실 오랫동안 진리로 받아들여지다가 요즘 들어 비판론이 나오는 것이다.] 물론 학습 방법이란 게 과목마다 그리고 개인마다 효과의 편차가 있기에 뭐라 단언할 순 없는 노릇이지만, 확실한 것은 제대로 된 복습을 하지 않고 그저 '''아무 생각 없이''' 오답노트만 만드는 것은 십중팔구 뻘짓이 된다는 것이다. 공부를 잘 하는 학생은 오답의 수가 적고 몰라서 틀린 것보다 아는데 실수로 틀린 문제가 많아서 오답노트를 통해 실수를 바로잡을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하지만, 공부를 못 하는 학생의 경우 틀린 문제 자체가 많기 때문에 오답노트를 만들 시간에 공부를 더 하는 것이 낫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적인 의견이다. (출처 추가 바람) === 있다는 의견 === [https://youtu.be/iiScZ_LDpmI '''오답노트가 공부의 비결이었다며 소개하는 [[서울대]] 학생'''(2분 13초부터)]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2&aid=0002603980 수능 상위권 학생들의 공통적인 습관이 오답노트 작성이라는 경향신문 기사]] 모르는 문제에서 정확히 어느 부분을 모르는지, 왜 틀렸는지, 정답은 무엇인지, 거기에서 알아둬야 할 개념은 무엇인지 정확히 짚고 스스로 정리하는 습관을 기르게 돼 다음부터 비슷한 유형의 문제는 틀리지 않게 된다. 또한 오답노트를 곱씹어 보면 [[복습]]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되고, 자기주도적인 학습 점검도 될 것이다. === 없거나 미미하다는 의견 === [https://youtu.be/VZ2fxdaYPk0 '''오답노트를 대차게 까는 [[삽자루]]'''(2분 15초부터)] 쉽게 말해서, '''시간낭비'''다. 의외로 만드는 데 시간이 오래 들 뿐더러 한 번 노트를 만들었다고 그것에 대한 기억이 아주 오래오래 지속되는 것도 아니다. 그래서 차라리 오답노트를 만들 시간에 문제 몇 개를 더 풀면서 머리속으로 곱씹어보는 게 낫다. 또한 문제와 유형 암기를 목표로 하는 오답노트의 특성은 이해를 중심으로 하는 현 [[수능]]의 체제와 맞지 않기에 별 효과를 보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특히, [[수리 영역]]은 '''한 번 나왔던 문제가 또 나오는 경우는 거의 없기에'''[* 더군다나 고난이도 문제들은 대부분 새로운 유형이다.] 오답노트가 거의 효과를 발휘하지 못한다. == 독특한 사용법 == 오답노트용으로 칸이 나눠져 나오는 노트는 그림 그리기나 설정짜기를 좋아하는 학생들에겐 캐릭터북으로 쓰기 딱 좋은 [[공책]]이다. 생각해보면 크기별로 나뉘어 있는 칸이 외형 묘사, 작명, 설정 정리 등을 하는 데 매우 적절하기 그지없다. 그 이외에 낙서장 겸 다이어리로 쓰는 경우도 존재한다. --물론 이런 용도로 쓰면 학습 효과 따위 없다-- [[분류:교육]]'
편집 전후의 차이 (edit_diff)
'@@ -1 +1,36 @@ +== 개요 == +[[파일:오답노트 예시]] +'''오답노트의 예시''' [[http://www.gongsin.com/m/bbs/board.php?bo_table=gongsin_column_bbs&wr_id=120277|출처]] +~~노답노트~~ + +틀렸거나 찍어서 맞춘 문제를 노트에 쓰거나 오려내 붙인 다음 그 아래에 풀이나 원리를 필기함으로써 같은 유형의 문제를 다시 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만드는 노트. 오답노트 형식이 인쇄된 [[공책]]도 나온다. + +모든 노트 필기가 그렇듯이, 다 만든 오답노트를 보면 묘한 성취감이 느껴진다고 한다. ~~그야 당연히 더럽게 지루한 거 끝내니까 좋지~~ + +== 학습 효과가 있는가? ==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학습 방법이지만, 그 효과에 대해선 아직까지도 논란이 있다.[* 사실 오랫동안 진리로 받아들여지다가 요즘 들어 비판론이 나오는 것이다.] 물론 학습 방법이란 게 과목마다 그리고 개인마다 효과의 편차가 있기에 뭐라 단언할 순 없는 노릇이지만, 확실한 것은 제대로 된 복습을 하지 않고 그저 '''아무 생각 없이''' 오답노트만 만드는 것은 십중팔구 뻘짓이 된다는 것이다. + +공부를 잘 하는 학생은 오답의 수가 적고 몰라서 틀린 것보다 아는데 실수로 틀린 문제가 많아서 오답노트를 통해 실수를 바로잡을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하지만, 공부를 못 하는 학생의 경우 틀린 문제 자체가 많기 때문에 오답노트를 만들 시간에 공부를 더 하는 것이 낫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적인 의견이다. (출처 추가 바람) + +=== 있다는 의견 === +[https://youtu.be/iiScZ_LDpmI '''오답노트가 공부의 비결이었다며 소개하는 [[서울대]] 학생'''(2분 13초부터)]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2&aid=0002603980 수능 상위권 학생들의 공통적인 습관이 오답노트 작성이라는 경향신문 기사]] + +모르는 문제에서 정확히 어느 부분을 모르는지, 왜 틀렸는지, 정답은 무엇인지, 거기에서 알아둬야 할 개념은 무엇인지 정확히 짚고 스스로 정리하는 습관을 기르게 돼 다음부터 비슷한 유형의 문제는 틀리지 않게 된다. + +또한 오답노트를 곱씹어 보면 [[복습]]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되고, 자기주도적인 학습 점검도 될 것이다. + +=== 없거나 미미하다는 의견 === +[https://youtu.be/VZ2fxdaYPk0 '''오답노트를 대차게 까는 [[삽자루]]'''(2분 15초부터)] + +쉽게 말해서, '''시간낭비'''다. 의외로 만드는 데 시간이 오래 들 뿐더러 한 번 노트를 만들었다고 그것에 대한 기억이 아주 오래오래 지속되는 것도 아니다. 그래서 차라리 오답노트를 만들 시간에 문제 몇 개를 더 풀면서 머리속으로 곱씹어보는 게 낫다. + +또한 문제와 유형 암기를 목표로 하는 오답노트의 특성은 이해를 중심으로 하는 현 [[수능]]의 체제와 맞지 않기에 별 효과를 보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특히, [[수리 영역]]은 '''한 번 나왔던 문제가 또 나오는 경우는 거의 없기에'''[* 더군다나 고난이도 문제들은 대부분 새로운 유형이다.] 오답노트가 거의 효과를 발휘하지 못한다. + +== 독특한 사용법 == +오답노트용으로 칸이 나눠져 나오는 노트는 그림 그리기나 설정짜기를 좋아하는 학생들에겐 캐릭터북으로 쓰기 딱 좋은 [[공책]]이다. 생각해보면 크기별로 나뉘어 있는 칸이 외형 묘사, 작명, 설정 정리 등을 하는 데 매우 적절하기 그지없다. 그 이외에 낙서장 겸 다이어리로 쓰는 경우도 존재한다. + +--물론 이런 용도로 쓰면 학습 효과 따위 없다-- + +[[분류:교육]] '
새 문서 크기 (new_size)
3853
편집 중 추가된 줄 (added_lines)
[ 0 => '== 개요 ==', 1 => '[[파일:오답노트 예시]]', 2 => ''''오답노트의 예시''' [[http://www.gongsin.com/m/bbs/board.php?bo_table=gongsin_column_bbs&wr_id=120277|출처]]', 3 => '~~노답노트~~', 4 => false, 5 => '틀렸거나 찍어서 맞춘 문제를 노트에 쓰거나 오려내 붙인 다음 그 아래에 풀이나 원리를 필기함으로써 같은 유형의 문제를 다시 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만드는 노트. 오답노트 형식이 인쇄된 [[공책]]도 나온다. ', 6 => false, 7 => '모든 노트 필기가 그렇듯이, 다 만든 오답노트를 보면 묘한 성취감이 느껴진다고 한다. ~~그야 당연히 더럽게 지루한 거 끝내니까 좋지~~ ', 8 => false, 9 => '== 학습 효과가 있는가? ==', 10 =>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학습 방법이지만, 그 효과에 대해선 아직까지도 논란이 있다.[* 사실 오랫동안 진리로 받아들여지다가 요즘 들어 비판론이 나오는 것이다.] 물론 학습 방법이란 게 과목마다 그리고 개인마다 효과의 편차가 있기에 뭐라 단언할 순 없는 노릇이지만, 확실한 것은 제대로 된 복습을 하지 않고 그저 '''아무 생각 없이''' 오답노트만 만드는 것은 십중팔구 뻘짓이 된다는 것이다.', 11 => false, 12 => '공부를 잘 하는 학생은 오답의 수가 적고 몰라서 틀린 것보다 아는데 실수로 틀린 문제가 많아서 오답노트를 통해 실수를 바로잡을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하지만, 공부를 못 하는 학생의 경우 틀린 문제 자체가 많기 때문에 오답노트를 만들 시간에 공부를 더 하는 것이 낫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적인 의견이다. (출처 추가 바람)', 13 => false, 14 => '=== 있다는 의견 ===', 15 => '[https://youtu.be/iiScZ_LDpmI '''오답노트가 공부의 비결이었다며 소개하는 [[서울대]] 학생'''(2분 13초부터)]', 16 =>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2&aid=0002603980 수능 상위권 학생들의 공통적인 습관이 오답노트 작성이라는 경향신문 기사]]', 17 => false, 18 => '모르는 문제에서 정확히 어느 부분을 모르는지, 왜 틀렸는지, 정답은 무엇인지, 거기에서 알아둬야 할 개념은 무엇인지 정확히 짚고 스스로 정리하는 습관을 기르게 돼 다음부터 비슷한 유형의 문제는 틀리지 않게 된다.', 19 => false, 20 => '또한 오답노트를 곱씹어 보면 [[복습]]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되고, 자기주도적인 학습 점검도 될 것이다.', 21 => false, 22 => '=== 없거나 미미하다는 의견 ===', 23 => '[https://youtu.be/VZ2fxdaYPk0 '''오답노트를 대차게 까는 [[삽자루]]'''(2분 15초부터)]', 24 => false, 25 => '쉽게 말해서, '''시간낭비'''다. 의외로 만드는 데 시간이 오래 들 뿐더러 한 번 노트를 만들었다고 그것에 대한 기억이 아주 오래오래 지속되는 것도 아니다. 그래서 차라리 오답노트를 만들 시간에 문제 몇 개를 더 풀면서 머리속으로 곱씹어보는 게 낫다.', 26 => false, 27 => '또한 문제와 유형 암기를 목표로 하는 오답노트의 특성은 이해를 중심으로 하는 현 [[수능]]의 체제와 맞지 않기에 별 효과를 보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특히, [[수리 영역]]은 '''한 번 나왔던 문제가 또 나오는 경우는 거의 없기에'''[* 더군다나 고난이도 문제들은 대부분 새로운 유형이다.] 오답노트가 거의 효과를 발휘하지 못한다.', 28 => false, 29 => '== 독특한 사용법 ==', 30 => '오답노트용으로 칸이 나눠져 나오는 노트는 그림 그리기나 설정짜기를 좋아하는 학생들에겐 캐릭터북으로 쓰기 딱 좋은 [[공책]]이다. 생각해보면 크기별로 나뉘어 있는 칸이 외형 묘사, 작명, 설정 정리 등을 하는 데 매우 적절하기 그지없다. 그 이외에 낙서장 겸 다이어리로 쓰는 경우도 존재한다.', 31 => false, 32 => '--물론 이런 용도로 쓰면 학습 효과 따위 없다--', 33 => false, 34 => '[[분류:교육]]' ]
편집이 토르 끝 노드를 통해 바뀌었는 지의 여부 (tor_exit_node)
0
바뀐 시점의 유닉스 시간 기록 (timestamp)
1445871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