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필터 기록

편집 필터 둘러보기 (처음 | 최근 필터의 바뀜 | 과거의 편집 검토하기 | 편집 필터 기록)
기록 9,460에 대한 자세한 정보

2015년 10월 13일 (화) 10:46: Chirho (토론 | 기여)님이 호산항에서 "edit" 동작을 수행하여 필터 0이(가) 작동했습니다. 조치: 태그; 필터 설명: (검사)

편집에서 바뀐 내용

*湖山港
==개요==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호산리에 위치한 [[항구]]로 {{날짜/출력|1972-5-4}} 지방어항으로 지정된 그냥 동해안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작은 항포구였으나 [[삼척화력발전소]]와 LNG생산기지의 건설에 따라 LNG등 및 [[화력발전소]] 연료 취급을 위해 항만 확장공사를 하면서 {{날짜/출력|2009-4-6}}자로 무역항으로 지정되었다.  지정 당시에는 어항만 덩그러니 있고 신항만은 건설중인 상태였는데 건설중인 항구를 무역항으로 지정하는 이례적인 상황이었다.


==내항==
==외항==
[[삼척화력발전소]]와 LNG 생산기지의 물동량 및 삼척종합발전일반산단의 물류를 수송하기 위하여 2014년에 완공한 항구로 호산리 북쪽 꽤 넓은 구간의 바다를 매립하고, 산을 깎아내었다. 본래 호산항(현 내항) 북쪽 2km 지점에 작진항이라는 작은 포구가 있었는데 여기까지 매립을 하고 대규모 항만을 건설한 것이다.
===현황===
{| class="wikitable"
| 부두명||선석번호||길이(m)||접안능력(DWT)||취급화물
|-
| LNG 돌핀부두||11||420||127,000||LNG
|-
| B/C 부두||12||130||5,000||유 류
|-
| LNG 물양장||13||70||1,000||유지보수
|-
| 예선계류부두||14||200||4,000hp×4대||예인선
|-
| 연료하역돌핀-1||21||321||180,000||유연탄
|-
| 연료하역돌핀-2||22||250||90,000||유연탄
|-
| 연료하역부두-3||23||280||90,000||유연탄
|-
| CTS 부두||24||161||5,000||석회석
|-
| 석탄 물양장||25||115||5,000||잡 화
|}
==기타사항==
*이 항구의 남쪽 경계선은 [[고포마을]] 북쪽의 해안 돌출부이다. 참고로 이 마을의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꽤나 골때리는 곳이다.
{{주석}}

명령 변수

변수
사용자의 편집 수 (user_editcount)
9646
사용자 계정 이름 (user_name)
'Chirho'
사용자 계정 만든 후 지난 시간 (user_age)
15503122
user_mobile
false
문서 ID (page_id)
0
문서 이름공간 (page_namespace)
0
(이름공간을 뺀) 문서 제목 (page_title)
'호산항'
전체 문서 제목 (page_prefixedtitle)
'호산항'
동작 (action)
'edit'
편집 요약/이유 (summary)
''
사소한 편집으로 표시할지의 여부 (더 이상 쓰이지 않음) (minor_edit)
false
편집 전 과거 문서의 위키텍스트 (old_wikitext)
''
편집 후 새 문서의 위키텍스트 (new_wikitext)
'*湖山港 ==개요==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호산리에 위치한 [[항구]]로 {{날짜/출력|1972-5-4}} 지방어항으로 지정된 그냥 동해안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작은 항포구였으나 [[삼척화력발전소]]와 LNG생산기지의 건설에 따라 LNG등 및 [[화력발전소]] 연료 취급을 위해 항만 확장공사를 하면서 {{날짜/출력|2009-4-6}}자로 무역항으로 지정되었다. 지정 당시에는 어항만 덩그러니 있고 신항만은 건설중인 상태였는데 건설중인 항구를 무역항으로 지정하는 이례적인 상황이었다. ==내항== ==외항== [[삼척화력발전소]]와 LNG 생산기지의 물동량 및 삼척종합발전일반산단의 물류를 수송하기 위하여 2014년에 완공한 항구로 호산리 북쪽 꽤 넓은 구간의 바다를 매립하고, 산을 깎아내었다. 본래 호산항(현 내항) 북쪽 2km 지점에 작진항이라는 작은 포구가 있었는데 여기까지 매립을 하고 대규모 항만을 건설한 것이다. ===현황=== {| class="wikitable" | 부두명||선석번호||길이(m)||접안능력(DWT)||취급화물 |- | LNG 돌핀부두||11||420||127,000||LNG |- | B/C 부두||12||130||5,000||유 류 |- | LNG 물양장||13||70||1,000||유지보수 |- | 예선계류부두||14||200||4,000hp×4대||예인선 |- | 연료하역돌핀-1||21||321||180,000||유연탄 |- | 연료하역돌핀-2||22||250||90,000||유연탄 |- | 연료하역부두-3||23||280||90,000||유연탄 |- | CTS 부두||24||161||5,000||석회석 |- | 석탄 물양장||25||115||5,000||잡 화 |} ==기타사항== *이 항구의 남쪽 경계선은 [[고포마을]] 북쪽의 해안 돌출부이다. 참고로 이 마을의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꽤나 골때리는 곳이다. {{주석}}'
편집 전후의 차이 (edit_diff)
'@@ -1 +1,34 @@ +*湖山港 +==개요==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호산리에 위치한 [[항구]]로 {{날짜/출력|1972-5-4}} 지방어항으로 지정된 그냥 동해안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작은 항포구였으나 [[삼척화력발전소]]와 LNG생산기지의 건설에 따라 LNG등 및 [[화력발전소]] 연료 취급을 위해 항만 확장공사를 하면서 {{날짜/출력|2009-4-6}}자로 무역항으로 지정되었다. 지정 당시에는 어항만 덩그러니 있고 신항만은 건설중인 상태였는데 건설중인 항구를 무역항으로 지정하는 이례적인 상황이었다. +==내항== + +==외항== +[[삼척화력발전소]]와 LNG 생산기지의 물동량 및 삼척종합발전일반산단의 물류를 수송하기 위하여 2014년에 완공한 항구로 호산리 북쪽 꽤 넓은 구간의 바다를 매립하고, 산을 깎아내었다. 본래 호산항(현 내항) 북쪽 2km 지점에 작진항이라는 작은 포구가 있었는데 여기까지 매립을 하고 대규모 항만을 건설한 것이다. +===현황=== +{| class="wikitable" +| 부두명||선석번호||길이(m)||접안능력(DWT)||취급화물 +|- +| LNG 돌핀부두||11||420||127,000||LNG +|- +| B/C 부두||12||130||5,000||유 류 +|- +| LNG 물양장||13||70||1,000||유지보수 +|- +| 예선계류부두||14||200||4,000hp×4대||예인선 +|- +| 연료하역돌핀-1||21||321||180,000||유연탄 +|- +| 연료하역돌핀-2||22||250||90,000||유연탄 +|- +| 연료하역부두-3||23||280||90,000||유연탄 +|- +| CTS 부두||24||161||5,000||석회석 +|- +| 석탄 물양장||25||115||5,000||잡 화 +|} + +==기타사항== +*이 항구의 남쪽 경계선은 [[고포마을]] 북쪽의 해안 돌출부이다. 참고로 이 마을의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꽤나 골때리는 곳이다. +{{주석}} '
새 문서 크기 (new_size)
1818
편집 중 추가된 줄 (added_lines)
[ 0 => '*湖山港', 1 => '==개요==', 2 =>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호산리에 위치한 [[항구]]로 {{날짜/출력|1972-5-4}} 지방어항으로 지정된 그냥 동해안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작은 항포구였으나 [[삼척화력발전소]]와 LNG생산기지의 건설에 따라 LNG등 및 [[화력발전소]] 연료 취급을 위해 항만 확장공사를 하면서 {{날짜/출력|2009-4-6}}자로 무역항으로 지정되었다. 지정 당시에는 어항만 덩그러니 있고 신항만은 건설중인 상태였는데 건설중인 항구를 무역항으로 지정하는 이례적인 상황이었다.', 3 => '==내항==', 4 => false, 5 => '==외항==', 6 => '[[삼척화력발전소]]와 LNG 생산기지의 물동량 및 삼척종합발전일반산단의 물류를 수송하기 위하여 2014년에 완공한 항구로 호산리 북쪽 꽤 넓은 구간의 바다를 매립하고, 산을 깎아내었다. 본래 호산항(현 내항) 북쪽 2km 지점에 작진항이라는 작은 포구가 있었는데 여기까지 매립을 하고 대규모 항만을 건설한 것이다.', 7 => '===현황===', 8 => '{| class="wikitable"', 9 => '| 부두명||선석번호||길이(m)||접안능력(DWT)||취급화물', 10 => '|-', 11 => '| LNG 돌핀부두||11||420||127,000||LNG', 12 => '|-', 13 => '| B/C 부두||12||130||5,000||유 류', 14 => '|-', 15 => '| LNG 물양장||13||70||1,000||유지보수', 16 => '|-', 17 => '| 예선계류부두||14||200||4,000hp×4대||예인선', 18 => '|-', 19 => '| 연료하역돌핀-1||21||321||180,000||유연탄', 20 => '|-', 21 => '| 연료하역돌핀-2||22||250||90,000||유연탄', 22 => '|-', 23 => '| 연료하역부두-3||23||280||90,000||유연탄', 24 => '|-', 25 => '| CTS 부두||24||161||5,000||석회석', 26 => '|-', 27 => '| 석탄 물양장||25||115||5,000||잡 화', 28 => '|}', 29 => false, 30 => '==기타사항==', 31 => '*이 항구의 남쪽 경계선은 [[고포마을]] 북쪽의 해안 돌출부이다. 참고로 이 마을의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꽤나 골때리는 곳이다.', 32 => '{{주석}}' ]
편집이 토르 끝 노드를 통해 바뀌었는 지의 여부 (tor_exit_node)
0
바뀐 시점의 유닉스 시간 기록 (timestamp)
144470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