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필터 기록

편집 필터 둘러보기 (처음 | 최근 필터의 바뀜 | 과거의 편집 검토하기 | 편집 필터 기록)
기록 60,325에 대한 자세한 정보

2024년 1월 19일 (금) 11:19: Bulbadiego (토론 | 기여)님이 시력교정술에서 "edit" 동작을 수행하여 필터 1이(가) 작동했습니다. 조치: 태그; 필터 설명: 미디어위키와 호환되지 않는 모니위키 문법 추가 방지 (검사)

편집에서 바뀐 내용

== 개요 ==
굴절 이상으로 인해 저하된 나안[[시력]][* 안경이나 렌즈를 벗고 측정한 시력]을 교정시켜 주는 수술. 방법에 따라 크게 나누어 본다면 라식(LASIK)과 라섹(LASEK), 스마일(Small Incision Lenticule Extraction)[* 보통은 스마일라식이라고 부른다.] 등이 포함되어 있는 __레이저 시력교정술__과 [[안구]] 내 __렌즈 삽입술__로 나눌 수 있다.


* __레이저 시력교정술__은 의료용 [[레이저]]로 [[각막]] 일부를 태우거나 절단해 각막의 [[모양]]을 렌즈 형태로 변화시켜 시력을 교정시킨다.
* __렌즈 삽입술__은 실제 의료용 [[렌즈]]를 [[홍채]] 앞 또는 뒤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시력을 교정시킨다.
시력교정술은 치료 수술이 아니라 미용 수술로 분류된다. 시력은 [[안경]]이나 [[콘택트렌즈|렌즈]]를 통해서도 이미 대부분 교정할 수 있기 때문. 애초에 시력을 회복하는 게 아닌 교정하는 것이고, 목적도 대부분 안경을 쓰지 않으면서 앞이 잘 보이도록 생활하게끔 만드는 수술이라 미용 수술로 분류되는 것이며, 그래서 종종 [[성형외과]] 의사들도 시력교정술과 관련된 수술을 많이 진행한다.
시력교정술도 다른 미용 수술들처럼 보통은 성장이 어느 정도 마무리된 18세 이상의 [[성인]]에게만 권장되며 성장이 진행 중인 미성년자에게는 거의 권장되지 않는다. 시력은 성장기 중에 떨어지는 경우가 많고, 성인이 되면 시력 변동이 없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 고로 시력 교정을 받기에 '''적합할 조건'''은 일단 기본적으로 '''성인(18세 이상)이면서 반 년~2년 이상 시력 변동이 없는 경우'''이다.
그리고 다음의 조건 역시 기본적으로 해당해야 한다. 바로 '''눈이 너무 작지 않은 경우, 각막이 너무 얇지 않은 경우 [[안구건조증]]이 심하지 않고 [[동공]]이 너무 크지 않은 경우'''다. 마찬가지로 이에 해당하지 않는 자에게 역시 거의 권장되지 않는다.[* 물론 그 외에도 여러 고려사항이 있다.] 다만 이 '''적합할 조건'''들에 모두 해당되더라도 그 위험성에 비해 시력교정술 자체를 너무 쉽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데, 후술될 종류와 장/단점, 부작용 증상 등을 보면서 면밀히 고찰해보자.

명령 변수

변수
사용자의 편집 수 (user_editcount)
62
사용자 계정 이름 (user_name)
'Bulbadiego'
사용자 계정 만든 후 지난 시간 (user_age)
3609440
사용자 권한 그룹 (자동으로 부여된 권한 포함) (user_groups)
[ 0 => '*', 1 => 'user', 2 => 'autoconfirmed' ]
문서 ID (page_id)
0
문서 이름공간 (page_namespace)
0
(이름공간을 뺀) 문서 제목 (page_title)
'시력교정술'
전체 문서 제목 (page_prefixedtitle)
'시력교정술'
동작 (action)
'edit'
편집 요약/이유 (summary)
''
이전 콘텐츠 모델 (old_content_model)
''
새 콘텐츠 모델 (new_content_model)
'wikitext'
편집 전 과거 문서의 위키텍스트 (old_wikitext)
''
편집 후 새 문서의 위키텍스트 (new_wikitext)
'== 개요 == 굴절 이상으로 인해 저하된 나안[[시력]][* 안경이나 렌즈를 벗고 측정한 시력]을 교정시켜 주는 수술. 방법에 따라 크게 나누어 본다면 라식(LASIK)과 라섹(LASEK), 스마일(Small Incision Lenticule Extraction)[* 보통은 스마일라식이라고 부른다.] 등이 포함되어 있는 __레이저 시력교정술__과 [[안구]] 내 __렌즈 삽입술__로 나눌 수 있다. * __레이저 시력교정술__은 의료용 [[레이저]]로 [[각막]] 일부를 태우거나 절단해 각막의 [[모양]]을 렌즈 형태로 변화시켜 시력을 교정시킨다. * __렌즈 삽입술__은 실제 의료용 [[렌즈]]를 [[홍채]] 앞 또는 뒤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시력을 교정시킨다. 시력교정술은 치료 수술이 아니라 미용 수술로 분류된다. 시력은 [[안경]]이나 [[콘택트렌즈|렌즈]]를 통해서도 이미 대부분 교정할 수 있기 때문. 애초에 시력을 회복하는 게 아닌 교정하는 것이고, 목적도 대부분 안경을 쓰지 않으면서 앞이 잘 보이도록 생활하게끔 만드는 수술이라 미용 수술로 분류되는 것이며, 그래서 종종 [[성형외과]] 의사들도 시력교정술과 관련된 수술을 많이 진행한다. 시력교정술도 다른 미용 수술들처럼 보통은 성장이 어느 정도 마무리된 18세 이상의 [[성인]]에게만 권장되며 성장이 진행 중인 미성년자에게는 거의 권장되지 않는다. 시력은 성장기 중에 떨어지는 경우가 많고, 성인이 되면 시력 변동이 없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 고로 시력 교정을 받기에 '''적합할 조건'''은 일단 기본적으로 '''성인(18세 이상)이면서 반 년~2년 이상 시력 변동이 없는 경우'''이다. 그리고 다음의 조건 역시 기본적으로 해당해야 한다. 바로 '''눈이 너무 작지 않은 경우, 각막이 너무 얇지 않은 경우 [[안구건조증]]이 심하지 않고 [[동공]]이 너무 크지 않은 경우'''다. 마찬가지로 이에 해당하지 않는 자에게 역시 거의 권장되지 않는다.[* 물론 그 외에도 여러 고려사항이 있다.] 다만 이 '''적합할 조건'''들에 모두 해당되더라도 그 위험성에 비해 시력교정술 자체를 너무 쉽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데, 후술될 종류와 장/단점, 부작용 증상 등을 보면서 면밀히 고찰해보자.'
편집 전후의 차이 (edit_diff)
'@@ -1,0 +1,11 @@ +== 개요 == +굴절 이상으로 인해 저하된 나안[[시력]][* 안경이나 렌즈를 벗고 측정한 시력]을 교정시켜 주는 수술. 방법에 따라 크게 나누어 본다면 라식(LASIK)과 라섹(LASEK), 스마일(Small Incision Lenticule Extraction)[* 보통은 스마일라식이라고 부른다.] 등이 포함되어 있는 __레이저 시력교정술__과 [[안구]] 내 __렌즈 삽입술__로 나눌 수 있다. + + * __레이저 시력교정술__은 의료용 [[레이저]]로 [[각막]] 일부를 태우거나 절단해 각막의 [[모양]]을 렌즈 형태로 변화시켜 시력을 교정시킨다. + + * __렌즈 삽입술__은 실제 의료용 [[렌즈]]를 [[홍채]] 앞 또는 뒤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시력을 교정시킨다. + +시력교정술은 치료 수술이 아니라 미용 수술로 분류된다. 시력은 [[안경]]이나 [[콘택트렌즈|렌즈]]를 통해서도 이미 대부분 교정할 수 있기 때문. 애초에 시력을 회복하는 게 아닌 교정하는 것이고, 목적도 대부분 안경을 쓰지 않으면서 앞이 잘 보이도록 생활하게끔 만드는 수술이라 미용 수술로 분류되는 것이며, 그래서 종종 [[성형외과]] 의사들도 시력교정술과 관련된 수술을 많이 진행한다. + +시력교정술도 다른 미용 수술들처럼 보통은 성장이 어느 정도 마무리된 18세 이상의 [[성인]]에게만 권장되며 성장이 진행 중인 미성년자에게는 거의 권장되지 않는다. 시력은 성장기 중에 떨어지는 경우가 많고, 성인이 되면 시력 변동이 없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 고로 시력 교정을 받기에 '''적합할 조건'''은 일단 기본적으로 '''성인(18세 이상)이면서 반 년~2년 이상 시력 변동이 없는 경우'''이다. +그리고 다음의 조건 역시 기본적으로 해당해야 한다. 바로 '''눈이 너무 작지 않은 경우, 각막이 너무 얇지 않은 경우 [[안구건조증]]이 심하지 않고 [[동공]]이 너무 크지 않은 경우'''다. 마찬가지로 이에 해당하지 않는 자에게 역시 거의 권장되지 않는다.[* 물론 그 외에도 여러 고려사항이 있다.] 다만 이 '''적합할 조건'''들에 모두 해당되더라도 그 위험성에 비해 시력교정술 자체를 너무 쉽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데, 후술될 종류와 장/단점, 부작용 증상 등을 보면서 면밀히 고찰해보자. '
새 문서 크기 (new_size)
2477
편집 중 추가된 줄 (added_lines)
[ 0 => '== 개요 ==', 1 => '굴절 이상으로 인해 저하된 나안[[시력]][* 안경이나 렌즈를 벗고 측정한 시력]을 교정시켜 주는 수술. 방법에 따라 크게 나누어 본다면 라식(LASIK)과 라섹(LASEK), 스마일(Small Incision Lenticule Extraction)[* 보통은 스마일라식이라고 부른다.] 등이 포함되어 있는 __레이저 시력교정술__과 [[안구]] 내 __렌즈 삽입술__로 나눌 수 있다.', 2 => '', 3 => ' * __레이저 시력교정술__은 의료용 [[레이저]]로 [[각막]] 일부를 태우거나 절단해 각막의 [[모양]]을 렌즈 형태로 변화시켜 시력을 교정시킨다.', 4 => '', 5 => ' * __렌즈 삽입술__은 실제 의료용 [[렌즈]]를 [[홍채]] 앞 또는 뒤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시력을 교정시킨다.', 6 => '', 7 => '시력교정술은 치료 수술이 아니라 미용 수술로 분류된다. 시력은 [[안경]]이나 [[콘택트렌즈|렌즈]]를 통해서도 이미 대부분 교정할 수 있기 때문. 애초에 시력을 회복하는 게 아닌 교정하는 것이고, 목적도 대부분 안경을 쓰지 않으면서 앞이 잘 보이도록 생활하게끔 만드는 수술이라 미용 수술로 분류되는 것이며, 그래서 종종 [[성형외과]] 의사들도 시력교정술과 관련된 수술을 많이 진행한다.', 8 => '', 9 => '시력교정술도 다른 미용 수술들처럼 보통은 성장이 어느 정도 마무리된 18세 이상의 [[성인]]에게만 권장되며 성장이 진행 중인 미성년자에게는 거의 권장되지 않는다. 시력은 성장기 중에 떨어지는 경우가 많고, 성인이 되면 시력 변동이 없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 고로 시력 교정을 받기에 '''적합할 조건'''은 일단 기본적으로 '''성인(18세 이상)이면서 반 년~2년 이상 시력 변동이 없는 경우'''이다. ', 10 => '그리고 다음의 조건 역시 기본적으로 해당해야 한다. 바로 '''눈이 너무 작지 않은 경우, 각막이 너무 얇지 않은 경우 [[안구건조증]]이 심하지 않고 [[동공]]이 너무 크지 않은 경우'''다. 마찬가지로 이에 해당하지 않는 자에게 역시 거의 권장되지 않는다.[* 물론 그 외에도 여러 고려사항이 있다.] 다만 이 '''적합할 조건'''들에 모두 해당되더라도 그 위험성에 비해 시력교정술 자체를 너무 쉽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데, 후술될 종류와 장/단점, 부작용 증상 등을 보면서 면밀히 고찰해보자.' ]
편집이 토르 끝 노드를 통해 바뀌었는 지의 여부 (tor_exit_node)
false
바뀐 시점의 유닉스 시간 기록 (timestamp)
'17056307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