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필터 기록

편집 필터 둘러보기 (처음 | 최근 필터의 바뀜 | 과거의 편집 검토하기 | 편집 필터 기록)
기록 46,266에 대한 자세한 정보

2022년 5월 20일 (금) 16:59: Nelson1827 (토론 | 기여)님이 참모총장에서 "edit" 동작을 수행하여 필터 0이(가) 작동했습니다. 조치: 태그; 필터 설명: (검사)

편집에서 바뀐 내용

참모총장(參謀總長, Chief of staff, Chief of Naval Operations)


각군 최고 선임 장교를 지칭하는 용어가 총사령관이 있는 나라를 제외하고, 많은 나라 군대에서 각군의 최고 선임 장교를 지칭하는 용어로 쓰는 편이다.
==설명==
참모총장이 각군의 최고 선임 장교가 된 이유는 참모부의 권한이 커지는 프로이센 군제와 그 영향을 받은 서방 열강의 군사 개혁이 정착되고 굳어져서 그렇다. [[장군참모]]제도를 시작으로 참모본부가 점점 더 중요한 위치에 오르면서 각군의 정점인 총사령관, 육군사령관 같은 자리를 참모총장 같은 참모부 수장이 차지하게 된 점이었다.
게다가 영국과 미국 같은 경우는 총사령관 같은 위치에 직업 군인을 두는 상황을 부정적으로 여기던 양상이었다. 그래서 19세기와 20세기를 거쳐서 문민인 최고사령관과 최고사령관을 대리하는 쪽을 보좌하는 군인 보직이 낫다고 여기게 되면서 정착한 편이었다.
프로이센의 경우도 방향은 달라도 비슷한 이유가 있었다. 바로 군대의 최고사령관인 왕을 보좌하기 위한 전문 참모부로 나온 것이 프로이센 참모본부였다.
대몰트케 아래의 참모본부가 위상이 강해져서 기존 프로이센 국왕을 보좌하던 고위귀족 출신인 고급부관국을 육군성과 함께 대체하는데 완전히 성공했다. 그 이전까지 프로이센군 참모본부는 육군성과 프로이센 국왕 직속 고급부관국 사이 알력에 시달리던, 생각보다 힘이 없던 조직이었다. 
대몰트케가 이끄는 프로이센군 참모본부는 그와 함께 하면서 위상이 훨씬 더 높아진 셈이다. 물론 그 알력에 시달리던 참모본부가 실력주의를 내세우면서 유능한, 전쟁대학을 졸업하고 [[장군참모]]가 될 자격을 가졌다고 인정 받은 이들이 모이면서 가능했던 일이다.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참모총장은 총사령관 등과 혼용되다가 총사령관 자리를 폐지하면서 확고하게 고정되었다. 총참모장의 호칭을 썼지만 9대부터 참모총장으로 고정되었다. 합참의장, 합동참모본부 합동참모의장이라는 용어가 확실해지기 전까지 썼던 보직 중에는 국방부 참모총장, 국군참모총장도 있었다.
현대 한국에서 참모총장은 육군과 해군, 그리고 공군의 최고 선임 장교를 지칭하는 용어다. 해당 보직은 각군 대장이 부임한다.

명령 변수

변수
사용자의 편집 수 (user_editcount)
32
사용자 계정 이름 (user_name)
'Nelson1827'
사용자 계정 만든 후 지난 시간 (user_age)
78033
사용자 권한 그룹 (자동으로 부여된 권한 포함) (user_groups)
[ 0 => '*', 1 => 'user' ]
문서 ID (page_id)
0
문서 이름공간 (page_namespace)
0
(이름공간을 뺀) 문서 제목 (page_title)
'참모총장'
전체 문서 제목 (page_prefixedtitle)
'참모총장'
동작 (action)
'edit'
편집 요약/이유 (summary)
'참모총장도 없기에 써봅니다. 추가하실 분은 마음껏 추가하시고, 수정하세요.'
이전 콘텐츠 모델 (old_content_model)
''
새 콘텐츠 모델 (new_content_model)
'wikitext'
편집 전 과거 문서의 위키텍스트 (old_wikitext)
''
편집 후 새 문서의 위키텍스트 (new_wikitext)
'참모총장(參謀總長, Chief of staff, Chief of Naval Operations) 각군 최고 선임 장교를 지칭하는 용어가 총사령관이 있는 나라를 제외하고, 많은 나라 군대에서 각군의 최고 선임 장교를 지칭하는 용어로 쓰는 편이다. ==설명== 참모총장이 각군의 최고 선임 장교가 된 이유는 참모부의 권한이 커지는 프로이센 군제와 그 영향을 받은 서방 열강의 군사 개혁이 정착되고 굳어져서 그렇다. [[장군참모]]제도를 시작으로 참모본부가 점점 더 중요한 위치에 오르면서 각군의 정점인 총사령관, 육군사령관 같은 자리를 참모총장 같은 참모부 수장이 차지하게 된 점이었다. 게다가 영국과 미국 같은 경우는 총사령관 같은 위치에 직업 군인을 두는 상황을 부정적으로 여기던 양상이었다. 그래서 19세기와 20세기를 거쳐서 문민인 최고사령관과 최고사령관을 대리하는 쪽을 보좌하는 군인 보직이 낫다고 여기게 되면서 정착한 편이었다. 프로이센의 경우도 방향은 달라도 비슷한 이유가 있었다. 바로 군대의 최고사령관인 왕을 보좌하기 위한 전문 참모부로 나온 것이 프로이센 참모본부였다. 대몰트케 아래의 참모본부가 위상이 강해져서 기존 프로이센 국왕을 보좌하던 고위귀족 출신인 고급부관국을 육군성과 함께 대체하는데 완전히 성공했다. 그 이전까지 프로이센군 참모본부는 육군성과 프로이센 국왕 직속 고급부관국 사이 알력에 시달리던, 생각보다 힘이 없던 조직이었다. 대몰트케가 이끄는 프로이센군 참모본부는 그와 함께 하면서 위상이 훨씬 더 높아진 셈이다. 물론 그 알력에 시달리던 참모본부가 실력주의를 내세우면서 유능한, 전쟁대학을 졸업하고 [[장군참모]]가 될 자격을 가졌다고 인정 받은 이들이 모이면서 가능했던 일이다.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참모총장은 총사령관 등과 혼용되다가 총사령관 자리를 폐지하면서 확고하게 고정되었다. 총참모장의 호칭을 썼지만 9대부터 참모총장으로 고정되었다. 합참의장, 합동참모본부 합동참모의장이라는 용어가 확실해지기 전까지 썼던 보직 중에는 국방부 참모총장, 국군참모총장도 있었다. 현대 한국에서 참모총장은 육군과 해군, 그리고 공군의 최고 선임 장교를 지칭하는 용어다. 해당 보직은 각군 대장이 부임한다.'
편집 전후의 차이 (edit_diff)
'@@ -1,0 +1,22 @@ +참모총장(參謀總長, Chief of staff, Chief of Naval Operations) + +각군 최고 선임 장교를 지칭하는 용어가 총사령관이 있는 나라를 제외하고, 많은 나라 군대에서 각군의 최고 선임 장교를 지칭하는 용어로 쓰는 편이다. + +==설명== + +참모총장이 각군의 최고 선임 장교가 된 이유는 참모부의 권한이 커지는 프로이센 군제와 그 영향을 받은 서방 열강의 군사 개혁이 정착되고 굳어져서 그렇다. [[장군참모]]제도를 시작으로 참모본부가 점점 더 중요한 위치에 오르면서 각군의 정점인 총사령관, 육군사령관 같은 자리를 참모총장 같은 참모부 수장이 차지하게 된 점이었다. + +게다가 영국과 미국 같은 경우는 총사령관 같은 위치에 직업 군인을 두는 상황을 부정적으로 여기던 양상이었다. 그래서 19세기와 20세기를 거쳐서 문민인 최고사령관과 최고사령관을 대리하는 쪽을 보좌하는 군인 보직이 낫다고 여기게 되면서 정착한 편이었다. + +프로이센의 경우도 방향은 달라도 비슷한 이유가 있었다. 바로 군대의 최고사령관인 왕을 보좌하기 위한 전문 참모부로 나온 것이 프로이센 참모본부였다. + +대몰트케 아래의 참모본부가 위상이 강해져서 기존 프로이센 국왕을 보좌하던 고위귀족 출신인 고급부관국을 육군성과 함께 대체하는데 완전히 성공했다. 그 이전까지 프로이센군 참모본부는 육군성과 프로이센 국왕 직속 고급부관국 사이 알력에 시달리던, 생각보다 힘이 없던 조직이었다. + +대몰트케가 이끄는 프로이센군 참모본부는 그와 함께 하면서 위상이 훨씬 더 높아진 셈이다. 물론 그 알력에 시달리던 참모본부가 실력주의를 내세우면서 유능한, 전쟁대학을 졸업하고 [[장군참모]]가 될 자격을 가졌다고 인정 받은 이들이 모이면서 가능했던 일이다. + + +==대한민국== + +대한민국의 참모총장은 총사령관 등과 혼용되다가 총사령관 자리를 폐지하면서 확고하게 고정되었다. 총참모장의 호칭을 썼지만 9대부터 참모총장으로 고정되었다. 합참의장, 합동참모본부 합동참모의장이라는 용어가 확실해지기 전까지 썼던 보직 중에는 국방부 참모총장, 국군참모총장도 있었다. + +현대 한국에서 참모총장은 육군과 해군, 그리고 공군의 최고 선임 장교를 지칭하는 용어다. 해당 보직은 각군 대장이 부임한다. '
새 문서 크기 (new_size)
2632
편집 중 추가된 줄 (added_lines)
[ 0 => '참모총장(參謀總長, Chief of staff, Chief of Naval Operations)', 1 => '', 2 => '각군 최고 선임 장교를 지칭하는 용어가 총사령관이 있는 나라를 제외하고, 많은 나라 군대에서 각군의 최고 선임 장교를 지칭하는 용어로 쓰는 편이다.', 3 => '', 4 => '==설명==', 5 => '', 6 => '참모총장이 각군의 최고 선임 장교가 된 이유는 참모부의 권한이 커지는 프로이센 군제와 그 영향을 받은 서방 열강의 군사 개혁이 정착되고 굳어져서 그렇다. [[장군참모]]제도를 시작으로 참모본부가 점점 더 중요한 위치에 오르면서 각군의 정점인 총사령관, 육군사령관 같은 자리를 참모총장 같은 참모부 수장이 차지하게 된 점이었다.', 7 => '', 8 => '게다가 영국과 미국 같은 경우는 총사령관 같은 위치에 직업 군인을 두는 상황을 부정적으로 여기던 양상이었다. 그래서 19세기와 20세기를 거쳐서 문민인 최고사령관과 최고사령관을 대리하는 쪽을 보좌하는 군인 보직이 낫다고 여기게 되면서 정착한 편이었다. ', 9 => '', 10 => '프로이센의 경우도 방향은 달라도 비슷한 이유가 있었다. 바로 군대의 최고사령관인 왕을 보좌하기 위한 전문 참모부로 나온 것이 프로이센 참모본부였다. ', 11 => '', 12 => '대몰트케 아래의 참모본부가 위상이 강해져서 기존 프로이센 국왕을 보좌하던 고위귀족 출신인 고급부관국을 육군성과 함께 대체하는데 완전히 성공했다. 그 이전까지 프로이센군 참모본부는 육군성과 프로이센 국왕 직속 고급부관국 사이 알력에 시달리던, 생각보다 힘이 없던 조직이었다. ', 13 => '', 14 => '대몰트케가 이끄는 프로이센군 참모본부는 그와 함께 하면서 위상이 훨씬 더 높아진 셈이다. 물론 그 알력에 시달리던 참모본부가 실력주의를 내세우면서 유능한, 전쟁대학을 졸업하고 [[장군참모]]가 될 자격을 가졌다고 인정 받은 이들이 모이면서 가능했던 일이다.', 15 => '', 16 => '', 17 => '==대한민국== ', 18 => '', 19 => '대한민국의 참모총장은 총사령관 등과 혼용되다가 총사령관 자리를 폐지하면서 확고하게 고정되었다. 총참모장의 호칭을 썼지만 9대부터 참모총장으로 고정되었다. 합참의장, 합동참모본부 합동참모의장이라는 용어가 확실해지기 전까지 썼던 보직 중에는 국방부 참모총장, 국군참모총장도 있었다. ', 20 => '', 21 => '현대 한국에서 참모총장은 육군과 해군, 그리고 공군의 최고 선임 장교를 지칭하는 용어다. 해당 보직은 각군 대장이 부임한다.' ]
편집이 토르 끝 노드를 통해 바뀌었는 지의 여부 (tor_exit_node)
false
바뀐 시점의 유닉스 시간 기록 (timestamp)
16530335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