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필터 기록

편집 필터 둘러보기 (처음 | 최근 필터의 바뀜 | 과거의 편집 검토하기 | 편집 필터 기록)
기록 14,142에 대한 자세한 정보

2016년 7월 27일 (수) 11:57: Loosejaw (토론 | 기여)님이 블랙드래곤피시에서 "edit" 동작을 수행하여 필터 0이(가) 작동했습니다. 조치: 태그; 필터 설명: (검사)

편집에서 바뀐 내용

== 개요 ==
앨퉁이목 스토미아스과의 [[심해어]]로, 남반구 열대 및 온대 해역의 수심 약 2,000m에 널리 분포한다.


== 상세 ==
이름처럼 검은색을 띄고있으며, 외형은 [[뱀]]과 유사한데 뱀처럼 턱을 크게 벌릴 수 있으며 입 안에는 날카로운 이빨이 촘촘히 박혀있다. 이러한 구조는 먹이를 놓치지 않기 위함이며, 사냥에 효율적인 도움을 준다.
다른 심해 생물들 처럼 발광기관을 가지고 있으며 턱수염 같은 형태의 발광기관과 온몸에 점처럼 생긴 발광기관을 가지고 있는데, 턱의 발광기관은 먹이를 찾는데 사용하며 몸에있는 발광기관은 천적으로 부터 도망치는데 사용하는데 빛을 점점 약하게 비추어 멀리 도망간것 처럼 천적이 착각하게 만든다고 한다.
일반적인 크기는 40cm이지만 현재까지 포획된 가장 큰 캐체는 63cm로 심해어들 중에는 대형종에 속하지만 크게 자라는건 [[암컷]]의 경우이며 [[수컷]]은 5~8cm로 작은 크기로 자라난다.
수컷은 성장할수록 턱과 이빨이 퇴화되고 소화 기관마저 사라져 암컷을 찾은 수컷은 오로지 생식 기능만 남은채 암컷의 몸에 합쳐져 평생을 암컷에게 의존한채 생식기능만 하며 살아간다.[* 일부 심해 [[아귀(어류)|아귀]] 또한 이러한 번식 방법을 취한다.]
[[분류:어류]]

명령 변수

변수
사용자의 편집 수 (user_editcount)
114
사용자 계정 이름 (user_name)
'Loosejaw'
사용자 계정 만든 후 지난 시간 (user_age)
4642184
문서 ID (page_id)
0
문서 이름공간 (page_namespace)
0
(이름공간을 뺀) 문서 제목 (page_title)
'블랙드래곤피시'
전체 문서 제목 (page_prefixedtitle)
'블랙드래곤피시'
동작 (action)
'edit'
편집 요약/이유 (summary)
''
사소한 편집으로 표시할지의 여부 (더 이상 쓰이지 않음) (minor_edit)
false
편집 전 과거 문서의 위키텍스트 (old_wikitext)
''
편집 후 새 문서의 위키텍스트 (new_wikitext)
'== 개요 == 앨퉁이목 스토미아스과의 [[심해어]]로, 남반구 열대 및 온대 해역의 수심 약 2,000m에 널리 분포한다. == 상세 == 이름처럼 검은색을 띄고있으며, 외형은 [[뱀]]과 유사한데 뱀처럼 턱을 크게 벌릴 수 있으며 입 안에는 날카로운 이빨이 촘촘히 박혀있다. 이러한 구조는 먹이를 놓치지 않기 위함이며, 사냥에 효율적인 도움을 준다. 다른 심해 생물들 처럼 발광기관을 가지고 있으며 턱수염 같은 형태의 발광기관과 온몸에 점처럼 생긴 발광기관을 가지고 있는데, 턱의 발광기관은 먹이를 찾는데 사용하며 몸에있는 발광기관은 천적으로 부터 도망치는데 사용하는데 빛을 점점 약하게 비추어 멀리 도망간것 처럼 천적이 착각하게 만든다고 한다. 일반적인 크기는 40cm이지만 현재까지 포획된 가장 큰 캐체는 63cm로 심해어들 중에는 대형종에 속하지만 크게 자라는건 [[암컷]]의 경우이며 [[수컷]]은 5~8cm로 작은 크기로 자라난다. 수컷은 성장할수록 턱과 이빨이 퇴화되고 소화 기관마저 사라져 암컷을 찾은 수컷은 오로지 생식 기능만 남은채 암컷의 몸에 합쳐져 평생을 암컷에게 의존한채 생식기능만 하며 살아간다.[* 일부 심해 [[아귀(어류)|아귀]] 또한 이러한 번식 방법을 취한다.] [[분류:어류]]'
편집 전후의 차이 (edit_diff)
'@@ -1 +1,12 @@ +== 개요 == +앨퉁이목 스토미아스과의 [[심해어]]로, 남반구 열대 및 온대 해역의 수심 약 2,000m에 널리 분포한다. +== 상세 == +이름처럼 검은색을 띄고있으며, 외형은 [[뱀]]과 유사한데 뱀처럼 턱을 크게 벌릴 수 있으며 입 안에는 날카로운 이빨이 촘촘히 박혀있다. 이러한 구조는 먹이를 놓치지 않기 위함이며, 사냥에 효율적인 도움을 준다. + +다른 심해 생물들 처럼 발광기관을 가지고 있으며 턱수염 같은 형태의 발광기관과 온몸에 점처럼 생긴 발광기관을 가지고 있는데, 턱의 발광기관은 먹이를 찾는데 사용하며 몸에있는 발광기관은 천적으로 부터 도망치는데 사용하는데 빛을 점점 약하게 비추어 멀리 도망간것 처럼 천적이 착각하게 만든다고 한다. + +일반적인 크기는 40cm이지만 현재까지 포획된 가장 큰 캐체는 63cm로 심해어들 중에는 대형종에 속하지만 크게 자라는건 [[암컷]]의 경우이며 [[수컷]]은 5~8cm로 작은 크기로 자라난다. + +수컷은 성장할수록 턱과 이빨이 퇴화되고 소화 기관마저 사라져 암컷을 찾은 수컷은 오로지 생식 기능만 남은채 암컷의 몸에 합쳐져 평생을 암컷에게 의존한채 생식기능만 하며 살아간다.[* 일부 심해 [[아귀(어류)|아귀]] 또한 이러한 번식 방법을 취한다.] +[[분류:어류]] '
새 문서 크기 (new_size)
1458
편집 중 추가된 줄 (added_lines)
[ 0 => '== 개요 ==', 1 => '앨퉁이목 스토미아스과의 [[심해어]]로, 남반구 열대 및 온대 해역의 수심 약 2,000m에 널리 분포한다.', 2 => '== 상세 ==', 3 => '이름처럼 검은색을 띄고있으며, 외형은 [[뱀]]과 유사한데 뱀처럼 턱을 크게 벌릴 수 있으며 입 안에는 날카로운 이빨이 촘촘히 박혀있다. 이러한 구조는 먹이를 놓치지 않기 위함이며, 사냥에 효율적인 도움을 준다.', 4 => '', 5 => '다른 심해 생물들 처럼 발광기관을 가지고 있으며 턱수염 같은 형태의 발광기관과 온몸에 점처럼 생긴 발광기관을 가지고 있는데, 턱의 발광기관은 먹이를 찾는데 사용하며 몸에있는 발광기관은 천적으로 부터 도망치는데 사용하는데 빛을 점점 약하게 비추어 멀리 도망간것 처럼 천적이 착각하게 만든다고 한다.', 6 => '', 7 => '일반적인 크기는 40cm이지만 현재까지 포획된 가장 큰 캐체는 63cm로 심해어들 중에는 대형종에 속하지만 크게 자라는건 [[암컷]]의 경우이며 [[수컷]]은 5~8cm로 작은 크기로 자라난다.', 8 => '', 9 => '수컷은 성장할수록 턱과 이빨이 퇴화되고 소화 기관마저 사라져 암컷을 찾은 수컷은 오로지 생식 기능만 남은채 암컷의 몸에 합쳐져 평생을 암컷에게 의존한채 생식기능만 하며 살아간다.[* 일부 심해 [[아귀(어류)|아귀]] 또한 이러한 번식 방법을 취한다.]', 10 => '[[분류:어류]]' ]
편집이 토르 끝 노드를 통해 바뀌었는 지의 여부 (tor_exit_node)
0
바뀐 시점의 유닉스 시간 기록 (timestamp)
1469588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