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필터 기록

편집 필터 둘러보기 (처음 | 최근 필터의 바뀜 | 과거의 편집 검토하기 | 편집 필터 기록)
기록 13,870에 대한 자세한 정보

2016년 7월 2일 (토) 23:59: Utolee90 (토론 | 기여)님이 소수 정리에서 "edit" 동작을 수행하여 필터 0이(가) 작동했습니다. 조치: 태그; 필터 설명: (검사)

편집에서 바뀐 내용

{{학술|이 문서는 [[수학]]에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소수 정리(Prime Number Theorem)은 정수론의 가장 유명한 정리 중 하나로, 소수의 개수에 관한 정리이다.
== 소수 정리란? ==
소수의 개별적인 분포는 상당히 불규칙하지만 소수의 전체적인 갯수는 특정한 패턴을 따른다. 소수 정리는 이러한 특정한 소수의 개수의 특별한 패턴을 보여주는 정리다. 소수 정리(Prime Number Theorem)은 특정한 자연수 이하의 소수의 개수 <math>\pi(x)</math>가 ''x''값이 커짐에 따라 <math>x/\ln x</math>에 근사적으로 수렴한다는 것을 보인다. 또 다른 형태로는 <math> \pi(x) \sim \rm{Li} (x) = \int_2^x \frac{1}{\ln t} dt</math>로 로그적분함수(Logarithmic Integral Function)을 이용해서도 유도할 수 있다.  이것을 역으로 이용하면 n번째 소수 p<sub>n</sub>에 대해서 n에 커짐에 따라 <math>p_n \sim n \ln n</math>에 근사적으로 다가간다는 것도 보일 수 있다.
== 역사 ==
1797년에 프랑스의 수학자 아드리엔 마리 르장드르(Adrien Marie Legendre)가 소수의 개수에 관한 점근식을 <math>\pi(x) \sim x/(A \ln x+B)</math>로 추측했다고 전해진다. 르장드르는 1808년에 A=1, B=-1.08366으로 자신의 추측을 더 구체적으로 명시한다. 한편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Carl Friedrich Gauss)에 따르면 자신이 15~16살 사이에 이 정리에 대한 추측을 발견했다고 서술하기도 했다.
이후 러시아의 수학자 파브누티 체비쇼프(Pafnuty L'vovich Chebyshev)는 1848년과 1850년 사이에 이 정리에 대한 증명을 시도하였다. 체비쇼프는 리만 제타 함수 ζ(s)의 성질을 이용해서 이 정리보다 약한 정리인 <math>\pi(x) \ln x /x </math>가 x가 무한히 커짐에 따라 특정한 상수로 수렴함을 보였다.
1859년 베른하르트 리만(Bernhard Riemann)이  자신의 유일한 논문 ''On the Number of Primes Less Than a Given Magnitude''(특정한 숫자보다 작은 소수들의 숫자에 관해서)에서 이 소수 정리의 완전한 형태를 처음으로 증명했다. 이 증명에서는 리만제타함수를 복소평면에 확장한 함수를 이용해서 증명하였다. 1896년에는 아다마드(Jacques Hadamard)와 발레푸신(Charles Jean de la Vallée-Poussin)이 제각기 리만의 방법을 개선한 증명을 보였다. 두 정리 모두 복소해석학(Complex Analysis)적 방법을 사용하며, 리만 제타 함수 ζ(s)가 Re(s)≥1인 모든 s에 대해 (특히 Re(s)=1인 모든 s에 대해) 0이 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용해서 유도하였다.
복소해석학을 이용한 증명이 나온 한참 후에 아들레 셀베르그(Atle Selberg)와 폴 에르되시(Paul Erdös)가 [[1949년]]에 순수하게 수론적인 증명(흔히 elementary proof라고 부르는 방법)을 찾아냈으며, 1980년에는 뉴먼(Donald J Newman)이 해석학적인 방법 중 좀 더 간단한 방법을 찾았다. 2016년 현재까지 소수 정리의 증명 중 가장 간단한 방법이다.
== 복소해석학을 사용한 정리 증명 ==
소수 정리는 구체적으로 증명하다보면 복잡해진다. 여기서는 증명하는 전략에 대해서만 다룰 것이다. 여기서는 필즈상 수상자인 테렌스 타오(Terence Tao)의 강의 노트에 언급한 방법을 이용한다. 
=== 1단계 ===
우선 <math>\pi(x)</math>의 점근식에 대해 증명하는 대신 <math>\psi(x) = \sum_{p^k \le x, \atop p \, \text{is prime}} \ln p.</math>로 정의되는 체비세브 함수(Chevychev Function)</math>가 y=x에 근사적으로 접근한다는 것을 보일 것이다. 즉, <math>\lim_{x \to \infty} {\frac{\psi (x)}{x}} = 1</math>을 보이면 충분하다.  우선
:<math>\psi(x) = \sum_{p\le x} \ln p \left\lfloor \frac{\ln x}{\ln p} \right\rfloor \le \sum_{p\le x} \log x = \pi(x)\ln x</math> 따라서 <math>1 \le { \lim \inf}_{x \to \infty} \frac{\pi(x) \ln x}{\psi(x)}</math>
한편 big O notation을 이용해서 <math> \varepsilon > 0</math>가 성립할 때
:<math>\psi(x) \ge \sum_{x^{1-\varepsilon}\le p\le x} \ln p\ge\sum_{x^{1-\varepsilon}\le p\le x}(1-\varepsilon)\ln x=(1-\varepsilon)(\pi(x)+O(x^{1-\varepsilon}))\ln x.</math>. 따라서 임의의 작은 <math>\eta, \varepsilon >0</math>. <math> {\lim \sup}_{x \to \infty} \left| \frac{\psi(x) - (1-\varepsilon) \pi(x)}{x} \right| < \eta </math>가 성립한다. 즉 <math> \lim_{x \to \infty} \frac{ \pi(x) \ln x - \psi(x)}{x} =0</math>이고, <math>\lim_{x \to \infty}\frac{\pi(x) \ln x}{x} =1 \Leftrightarrow \lim_{x \to \infty}\frac{\psi(x)}{x} =1 </math>.
폰 망골트 함수(von Mangoldt Function)는 <math>\Lambda (n) = \begin{cases} \ln n & n~ \rm{prime} \\ 0 & n=1 ~ or ~ n ~\rm{composite} \end{cases}</math>로 정의되고, 한편 μ(n)이 뫼비우스 함수(Mōbius Function)일 때 <math> \Lambda(n)= \sum_{d|n} \mu(d) \ln (n/d)</math>,
이 때 <math>\frac{\zeta'(s)}{\zeta(s)} = -\sum_{n=1}^{\infty} \Lambda(n) n^{-s} </math>.
아래의 페론의 정리(Perron's Theorem)을 사용하면 정수가 아닌 <math>x</math>, <math>c>1</math>에 대해 (x가 정수일 때까지 감안한다면 <math>\psi_0 = \lim_{h \to 0}{\psi(x+h)+\psi(x-h)}/2</math>를 이용하면 된다. 오직 x가 소수의 k제곱수일 때에만 값이 달라진다.)
{{숨기기|페론의 정리(Perron's Theorem)|
정수 함수 <math>\{a(n)\}</math>와 그것으로 유도되는 디레클레 급수 <math>g(s){{=}}\sum_{n{{=}}1}^{\infty} \frac{a(n)}{n^s}</math>에 대해서 이 급수가 특정한 실수 s<sub>0</sub>에 대해 <math>\Re (s) \gt s_0</math>가 성립하면 실수 ''x'', ''c''>''s''<sub>0</sub>에 대해서
:: <math>A(x){{=}}\sum_{n \le x} ' a(n) {{=}} \int_{c-i \cdot \infty}^{c+ i \cdot \infty} g(z) \frac{x^z}{z} dz</math>
여기서 시그마 기호의 프라임 표시는 x가 정수일 때는 마지막 항 a(n)의 1/2를 더하라는 의미이다.
}}<ref> 출처: [[:wikipedia:Perron's Theorem]] </ref>
<math>\psi(x) = \sum_{n \le x} \Lambda (n) = {\frac{1}{2 \pi i}} \int_{c-i \cdot \infty}^{c+ i \cdot \infty} \left( - \frac{\zeta ' (z) }{\zeta (z)} \right) \frac{x^z}{z} dz</math>
=== 2단계 ===
이제 <math>\psi(x)= x-\sum_{\rho}{\rm{Res}}_{s=\rho} \frac{\zeta'(s)}{\zeta(s)}{x^{\rho}}</math>임을 보인다.
우선 <math>\zeta(s) = \prod_{p~ \rm{prime}} \frac{1}{1-p^{-s}}, \Re(s)>1, \xi(s)= \pi^{-s/2}\Gamma(s/2)\zeta(s)</math>에서 <math>\xi(s)</math>는 s=0, 1에서 극점을 갖는 유리형 함수(meromorphic)이면서 <math>\xi(s)=\xi(1-s)</math>를 만족한다. 구체적으로 세타함수를 <math>\vartheta(u)=\sum_{n=-\infty}^{\infty} e^{-\pi n^2 u}</math>와 같이 정의하면 <math>\xi(s) = \int_{1}^{\infty} \left( u^{-s/2-1/2}+u^{s/2-1} \right) \psi(u) du - \frac{1}{s}-\frac{1}{1-s}</math>
{{숨기기|증명하기|추가 예정}}■<ref> 증명 과정은 Complex Analysis의 section 6.2의  참조.</ref>
따라서 <math>\zeta(s)</math>는 복소수 <math>\mathbb{C}</math>에 대해서 s=1에서만 극점을 가진 유리형 함수(meromorphic function)가 된다. 또한 제타함수의 <math>(s-1)\zeta(s)</math>가 복소수 전체에서 정칙함수(holomorphic)이고, 차수(growth order)가 1이므로 바이에스트라스의 곱정리(Weierstrass product theorem)을 이용하면 제타함수의 비자명근(nontrivial root) ρ에 대해서(참고로 제타함수는 자명근 n=-2, -4, -6, …을 가진다.)<br>
{{숨김 시작|title=바이에스테라스의 곱정리(Weierstrass product theorem)}}
복소수 <math>\mathbb{C}</math> 전체에서 정칙인 함수(entire funciton) ''f(z)''의 차수(growth order, 충분히 절대값이 큰 z에 대해서 <math>|f(z)| \le A {\rm{exp}}(B|z|^{\rho})</math>를 만족하는 최소 ρ)를 <math>\rho_0</math>라고 놓자. 이때 m을 z=0에서의 f의 영점의 차수(f(z)=0일 때만, f(z)≠0이면 m=0), <math>a_1 , a_2 , \cdot\cdot\cdot a_n, \cdot\cdot\cdot</math>를 f의 0 아닌 근(중근일 경우 차수만큼 a<sub>i</sub>를 중복해서 쓴다.)이라고 가정하자. <math>k \le rho_0 \le k+1</math>를 만족하는 k와 초등인수 <math>E_k (z)= (1-z) {\rm{exp}}(z+{z^2}/2+\cdot\cdot\cdot+{z^k}/k)</math>, 차수가 k 이하인 P(z)에 대해서 <math>f(z)=e^{P(z)}z^m \prod_{n=1}^{\infty}E_k(z/a_n) </math>
{{숨김 끝}}■<ref>증명 과정은 Complex Analysis의 5.5 Hadamard Factorization Theorem 참조. </ref>γ
<math>(s-1)\zeta(s)=e^{a+bs}\prod_{n=1}^{\infty}(1+s/2n)e^{-s/2n} \prod_{\rho} (1-z/\rho)e^{z/\rho}</math>
여기서 제타함수의 곱셈식 <math>\zeta(s)=\prod_{p} \frac{1}{1-p^{-s}}</math>를 이용해서 <math>\zeta'(s)/\zeta(s)=-\prod_{p} {-\ln p}p^{-ms}=b-\frac{1}{s-1}- \sum_{n=1}^{\infty}\frac{s}{2n(s+2n)} +\sum_{\rho} \frac{s}{\rho(s-\rho)}</math> 이 식에서 s=0을 대입하면 <math>b+1=\zeta'(0)/\zeta(0)</math>이므로, <math>\Re(s)>0</math>에 대해서<br>
<math>- \frac{\zeta'(s)}{\zeta(s)}=\sum_{p} \ln p \cdot p^{-ms} = \frac{s}{s-1} - \frac{\zeta'(0)}{\zeta(0)}+\sum_{n=1}^{\infty}\frac{s}{2n(s+2n)} -\sum_{\rho} \frac{s}{\rho(s-\rho)}</math>.
한편  <math>\psi(x) =  {\frac{1}{2 \pi i}} \int_{c-i \cdot \infty}^{c+ i \cdot \infty} \left( - \frac{\zeta ' (z) }{\zeta (z)} \right) \frac{x^z}{z} dz</math>에서 이 식은
<math>\frac{1}{2 \pi i} \int_{c-i \cdot \infty}^{c+ i \cdot \infty} \left( \frac{s}{s-1} - \frac{\zeta'(0)}{\zeta(0)}+\sum_{n=1}^{\infty}\frac{s}{2n(s+2n)} -\sum_{\rho} \frac{s}{\rho(s-\rho)} \right) \frac{x^z}{z} dz</math>
여수 정리(Residue Theorem)를 활용하면 위의 식은 <math>s-\sum_{\rho} x^{\rho}/\rho - \zeta'(0)/\zeta(0) - 1/2 \sum_{n=1}^{\infty} s^{-2n}/n</math>으로 증명된다.
<ref> 참조 : [http://people.reed.edu/~jerry/361/lectures/rvm.pdf 출처] </ref>
=== 3단계 ===
이제 제타함수 ζ(s)의 근 ρ에 대해 실수부 Re(ρ)<1인 것을 보여서 충분히 큰 s에 대해 ψ(s)~s임을 보인다. 참고로 [[리만 가설]](Riemann Hypothesis)은 좀 더 강한 가설로 이 제타함수의 비자명근의 실수부가 1/2밖에 없다는 것에 대한 추측이다. 우선 실수 x에 대해서 <math>x^{a+bi} = x^a \cdot e^{\ln x \cdot bi} </math>이므로 허수 지수는 x<sup>s</sup>의 절대값의 크기를 변화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충분히 큰 x에 대해서 x에 비해 작은 값으로 나타나게 된다.
우선 <math>\Re (s) >1 </math>인 경우를 보면 <math>\zeta(s)= \prod_{p} \frac{1}{1-p^{-s}}</math>와 같이 수렴하는 곱셈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각각의 곱셈을 이루는 식이 0이 되지 않으므로 따라서 자명하게 ζ(s)가 0이 되지 않는다.
이제 Re(s)=1, s≠1 에 대해서 ζ(s)가 0이 되지 않음을 보일 것이다. 우선 우리는 <math>3+4 \cos \theta + cos 2\theta = 2(1+\cos \theta)^2 \ge 0</math>임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우리는 σ>1, 실수 t에서 <math> ln| \zeta^3 (\sigma) \zeta^4 (\sigma + it) \zeta (\sigma + 2 it)| \ge 0 </math>임을 확인할 수 있다.
우선 <math>\Re (n^{-\sigma - it}) = \Re (e^{-(\sigma+it) \ln n}) = n^{-\sigma} \cos (t \ln n)</math>이므로<br>
<math> ln| \zeta^3 (\sigma) \zeta^4 (\sigma + it) \zeta (\sigma + 2 it)| = 3 \Re [\ln \zeta(\sigma)] + 4 \Re [\ln (\zeta(\sigma + it))]+ \Re [\ln (\zeta (\sigma + 2it))]</math> 여기서 <math>\ln [\zeta(s)]= \sum_n {c_n n^{-s}}, ~ c_n=\begin{cases} 1/m & n=p^r \\ 0 & n \neq p^r \end{cases}</math>를 이용하면
<math>=\sum_n c_n n^{-\sigma}[3+ 4 \cos (t \ln n) + \cos 2(t \ln n)]</math> 당연히 c<sub>n</sub>와 대괄호 안의 부분은 0 이상이기에 전체 식도 0 이상이 된다. 따라서 위의 식이 성립한다.
이제 <math> \zeta(1+ it_0) = 0</math>을 만족하는 ''t<sub>0</sub>''의 존재가 있다는 가정을 한 뒤에 모순을 이끌어내자. 우선 1+''it<sub>0</sub>''에서 함수 ζ(s)가 정칙이므로 σ→1로 접근함에 따라 <math>{|\zeta (\sigma + it_0 )|}^4 \le C(\sigma -1)^4 </math>를 만족하게 하는 상수 C>0를 찾을 수 있다. 한편 σ=1에서는 ζ(s)가 1차원 극점이기에 상수 D>0에 대해서 <math>|\zeta(\sigma)|^3 \le D (\sigma -1)^{-3} </math>를 만족한다. 또한 ζ가 <math>\sigma + 2it_0</math>에서도 정칙이기에 특정한 값이 존재한다. 따라서 σ→1로 감에 따라 <math> |\zeta^3 (\sigma) \zeta^4 (\sigma + it) \zeta (\sigma + 2it)| \le CD|\zeta(\sigma + 2it)|(\sigma-1)</math>가 성립하므로 0으로 간다. 결과적으로 위의 결과와 모순되므로  <math> \zeta(1+ it_0) = 0</math>는 성립하지 않게 된다.
위의 1, 2, 3단계를 종합하면 x가 커짐에 따라 <math> \psi (x) \sim x </math>임이 증명되고, 따라서 <math> \pi (x) \sim \frac{x}{\ln x}</math>임이 증명된다.
=== 여담 ===
Tom Apostol의 Analytic Number Theorey에서는 직접 체비쇼브 함수 ψ(s)에 대해 구하는 대신 적분함수 <math> \psi_1 (s)=\int_{0}^{x} \psi(u) du \sim s^2 /2 </math>임을 보여서 증명하였다. 이 경우에는 위의 페론의 정리를 쓰지 않고 적분공식 <math> \int_{c-i \cdot \infty}^{c+i \cdot \infty} \frac{x^s}{s(s+1)}ds = \begin{cases} 0 & 0<a \le 1 \\ 1-1/a & 1 \le a \end{cases}</math>과 <math>\psi_1 (x) = \sum_{n\le x} \Lambda(n) (x-n)</math>를 이용해서 <math>\psi_1 (x) =  \frac{1}{2\pi i} \int_{c-i \infty}^{c+ i \infty} \frac{x^{s+1}}{s(s+1)} \left( \frac{\zeta'(s)}{\zeta(s)}\right) ds </math>인 사실, 또한 이것을 이용해서 <math>\frac{\psi_1 (x)}{x^2}- 1/2{\left(1-1/x \right)}^2 =\frac{1}{2\pi i} \int_{c-i \infty}^{c+ i \infty} \frac{x^{s-1}}{s(s+1)} \left( - \frac{\zeta'(s)}{\zeta(s)}-\frac{1}{s-1} \right)ds </math>(1)임을 증명한다. 그 다음에 σ≥1, 실수 t에 대해 <math>\zeta(\sigma+it) \neq 0</math>임을 확인한 후에  충분히 큰 실수 t에 대해서 <math> \left| \frac{\zeta'(1+it)}{\zeta(1+it)}\right| \leq M {(\ln t)}^9 </math>임을 통해서 적분(1)이 x가 커짐에 따라 수렴함을 보이면서 <math>\psi_1 (x) \sim x^2 /2 </math>임을 보일 수 있다.
== Li(x)와 관계 ==
로그적분 함수 <math> {\rm{Li}}(x)= \int_{2}^{\infty} \{1}{₩ln u} du</math> 에 대해서 <math> \pi(x) \sim {\rm{Li}}(x)</math>가 성립한다.
두 함수간의 오차는 대략
:<math>\pi(x)=\operatorname{Li} (x) + O \left(x \, \exp \left( -\frac{A(\log x)^{3/5}}{(\log \log x)^{1/5}} \right) \right).</math>
이 정도로 알려져 있으나 [[리만 가설]](Riemann Hypothesis)이 참이라는 전제하에서는 x>2637에 대해
:<math>|\pi(x)- \operatorname{li}(x)|<\frac{\sqrt x\,\log x}{8\pi}</math>인 것이 알려져 있다.
두 함수의 크기를 비교할 경우 Li(x)>π(x)로 알려져 있고 실제로도 "거의 모든 x에 대해" 성립한다. 그러나 100% 맞지는 아닌데 영국의 수학자 리틀우드가 Li(x)<π(x)인 x가 존재함을 증명했다. <ref> [[:wikipedia:Prime Numbet Theorem]] 참조. </ref>
== 초등적인 증명 ==
노버트 위너 타베리안 정리(Wiener's Tauberian Theorem, [[:wikipedia:Wiener's tauberian theorem]] 참조)가 증명되면서 초등적인 증명의 단서가 열렸다. 이후에 셀베르그와 에르되시가 1949년에 소수 정리의 초등적인 증명을 발견했다.
보통 "초등적 증명(elementary proof)"은 페아노 공리계(Peano Arithmetic)에서 [[1차 논리]]<ref>공식(formula)에는 한정자를 사용하지 않고 변수에만 한정자를 사용하는 수리적 논리 방법이다. </ref> 사용할 수 있는 만을 이용해서 증명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쉽게 말하면 미적분적인 요소 등을 사용하지 않고 오로지 정수 함수와 사칙연산에 기초한 방법을 이용한 것이다.
자세한 증명은 [http://www.math.columbia.edu/~goldfeld/ErdosSelbergDispute.pdf 이곳]에 나와있다. 여기서는 이 증명법이 어떠한 아이디어를 이용하는지만 설명할 것이다.
=== 간단한 증명 과정 요약 ===
추가예정
== 참조 ==
* [[:wikipedia:Prime Number Theorem]]
* Elias M Stein, Rami Shakarchi, 《Complex Analysis》 2th editoin, Princeton University, 2002
{{각주}}
{{번역한 문서|Prime Number Theorem|726559858|일부}}

명령 변수

변수
사용자의 편집 수 (user_editcount)
2463
사용자 계정 이름 (user_name)
'Utolee90'
사용자 계정 만든 후 지난 시간 (user_age)
16550054
문서 ID (page_id)
0
문서 이름공간 (page_namespace)
0
(이름공간을 뺀) 문서 제목 (page_title)
'소수 정리'
전체 문서 제목 (page_prefixedtitle)
'소수 정리'
동작 (action)
'edit'
편집 요약/이유 (summary)
'소수정리 설명'
사소한 편집으로 표시할지의 여부 (더 이상 쓰이지 않음) (minor_edit)
false
편집 전 과거 문서의 위키텍스트 (old_wikitext)
''
편집 후 새 문서의 위키텍스트 (new_wikitext)
'{{학술|이 문서는 [[수학]]에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소수 정리(Prime Number Theorem)은 정수론의 가장 유명한 정리 중 하나로, 소수의 개수에 관한 정리이다. == 소수 정리란? == 소수의 개별적인 분포는 상당히 불규칙하지만 소수의 전체적인 갯수는 특정한 패턴을 따른다. 소수 정리는 이러한 특정한 소수의 개수의 특별한 패턴을 보여주는 정리다. 소수 정리(Prime Number Theorem)은 특정한 자연수 이하의 소수의 개수 <math>\pi(x)</math>가 ''x''값이 커짐에 따라 <math>x/\ln x</math>에 근사적으로 수렴한다는 것을 보인다. 또 다른 형태로는 <math> \pi(x) \sim \rm{Li} (x) = \int_2^x \frac{1}{\ln t} dt</math>로 로그적분함수(Logarithmic Integral Function)을 이용해서도 유도할 수 있다. 이것을 역으로 이용하면 n번째 소수 p<sub>n</sub>에 대해서 n에 커짐에 따라 <math>p_n \sim n \ln n</math>에 근사적으로 다가간다는 것도 보일 수 있다. == 역사 == 1797년에 프랑스의 수학자 아드리엔 마리 르장드르(Adrien Marie Legendre)가 소수의 개수에 관한 점근식을 <math>\pi(x) \sim x/(A \ln x+B)</math>로 추측했다고 전해진다. 르장드르는 1808년에 A=1, B=-1.08366으로 자신의 추측을 더 구체적으로 명시한다. 한편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Carl Friedrich Gauss)에 따르면 자신이 15~16살 사이에 이 정리에 대한 추측을 발견했다고 서술하기도 했다. 이후 러시아의 수학자 파브누티 체비쇼프(Pafnuty L'vovich Chebyshev)는 1848년과 1850년 사이에 이 정리에 대한 증명을 시도하였다. 체비쇼프는 리만 제타 함수 ζ(s)의 성질을 이용해서 이 정리보다 약한 정리인 <math>\pi(x) \ln x /x </math>가 x가 무한히 커짐에 따라 특정한 상수로 수렴함을 보였다. 1859년 베른하르트 리만(Bernhard Riemann)이 자신의 유일한 논문 ''On the Number of Primes Less Than a Given Magnitude''(특정한 숫자보다 작은 소수들의 숫자에 관해서)에서 이 소수 정리의 완전한 형태를 처음으로 증명했다. 이 증명에서는 리만제타함수를 복소평면에 확장한 함수를 이용해서 증명하였다. 1896년에는 아다마드(Jacques Hadamard)와 발레푸신(Charles Jean de la Vallée-Poussin)이 제각기 리만의 방법을 개선한 증명을 보였다. 두 정리 모두 복소해석학(Complex Analysis)적 방법을 사용하며, 리만 제타 함수 ζ(s)가 Re(s)≥1인 모든 s에 대해 (특히 Re(s)=1인 모든 s에 대해) 0이 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용해서 유도하였다. 복소해석학을 이용한 증명이 나온 한참 후에 아들레 셀베르그(Atle Selberg)와 폴 에르되시(Paul Erdös)가 [[1949년]]에 순수하게 수론적인 증명(흔히 elementary proof라고 부르는 방법)을 찾아냈으며, 1980년에는 뉴먼(Donald J Newman)이 해석학적인 방법 중 좀 더 간단한 방법을 찾았다. 2016년 현재까지 소수 정리의 증명 중 가장 간단한 방법이다. == 복소해석학을 사용한 정리 증명 == 소수 정리는 구체적으로 증명하다보면 복잡해진다. 여기서는 증명하는 전략에 대해서만 다룰 것이다. 여기서는 필즈상 수상자인 테렌스 타오(Terence Tao)의 강의 노트에 언급한 방법을 이용한다. === 1단계 === 우선 <math>\pi(x)</math>의 점근식에 대해 증명하는 대신 <math>\psi(x) = \sum_{p^k \le x, \atop p \, \text{is prime}} \ln p.</math>로 정의되는 체비세브 함수(Chevychev Function)</math>가 y=x에 근사적으로 접근한다는 것을 보일 것이다. 즉, <math>\lim_{x \to \infty} {\frac{\psi (x)}{x}} = 1</math>을 보이면 충분하다. 우선 :<math>\psi(x) = \sum_{p\le x} \ln p \left\lfloor \frac{\ln x}{\ln p} \right\rfloor \le \sum_{p\le x} \log x = \pi(x)\ln x</math> 따라서 <math>1 \le { \lim \inf}_{x \to \infty} \frac{\pi(x) \ln x}{\psi(x)}</math> 한편 big O notation을 이용해서 <math> \varepsilon > 0</math>가 성립할 때 :<math>\psi(x) \ge \sum_{x^{1-\varepsilon}\le p\le x} \ln p\ge\sum_{x^{1-\varepsilon}\le p\le x}(1-\varepsilon)\ln x=(1-\varepsilon)(\pi(x)+O(x^{1-\varepsilon}))\ln x.</math>. 따라서 임의의 작은 <math>\eta, \varepsilon >0</math>. <math> {\lim \sup}_{x \to \infty} \left| \frac{\psi(x) - (1-\varepsilon) \pi(x)}{x} \right| < \eta </math>가 성립한다. 즉 <math> \lim_{x \to \infty} \frac{ \pi(x) \ln x - \psi(x)}{x} =0</math>이고, <math>\lim_{x \to \infty}\frac{\pi(x) \ln x}{x} =1 \Leftrightarrow \lim_{x \to \infty}\frac{\psi(x)}{x} =1 </math>. 폰 망골트 함수(von Mangoldt Function)는 <math>\Lambda (n) = \begin{cases} \ln n & n~ \rm{prime} \\ 0 & n=1 ~ or ~ n ~\rm{composite} \end{cases}</math>로 정의되고, 한편 μ(n)이 뫼비우스 함수(Mōbius Function)일 때 <math> \Lambda(n)= \sum_{d|n} \mu(d) \ln (n/d)</math>, 이 때 <math>\frac{\zeta'(s)}{\zeta(s)} = -\sum_{n=1}^{\infty} \Lambda(n) n^{-s} </math>. 아래의 페론의 정리(Perron's Theorem)을 사용하면 정수가 아닌 <math>x</math>, <math>c>1</math>에 대해 (x가 정수일 때까지 감안한다면 <math>\psi_0 = \lim_{h \to 0}{\psi(x+h)+\psi(x-h)}/2</math>를 이용하면 된다. 오직 x가 소수의 k제곱수일 때에만 값이 달라진다.) {{숨기기|페론의 정리(Perron's Theorem)| 정수 함수 <math>\{a(n)\}</math>와 그것으로 유도되는 디레클레 급수 <math>g(s){{=}}\sum_{n{{=}}1}^{\infty} \frac{a(n)}{n^s}</math>에 대해서 이 급수가 특정한 실수 s<sub>0</sub>에 대해 <math>\Re (s) \gt s_0</math>가 성립하면 실수 ''x'', ''c''>''s''<sub>0</sub>에 대해서 :: <math>A(x){{=}}\sum_{n \le x} ' a(n) {{=}} \int_{c-i \cdot \infty}^{c+ i \cdot \infty} g(z) \frac{x^z}{z} dz</math> 여기서 시그마 기호의 프라임 표시는 x가 정수일 때는 마지막 항 a(n)의 1/2를 더하라는 의미이다. }}<ref> 출처: [[:wikipedia:Perron's Theorem]] </ref> <math>\psi(x) = \sum_{n \le x} \Lambda (n) = {\frac{1}{2 \pi i}} \int_{c-i \cdot \infty}^{c+ i \cdot \infty} \left( - \frac{\zeta ' (z) }{\zeta (z)} \right) \frac{x^z}{z} dz</math> === 2단계 === 이제 <math>\psi(x)= x-\sum_{\rho}{\rm{Res}}_{s=\rho} \frac{\zeta'(s)}{\zeta(s)}{x^{\rho}}</math>임을 보인다. 우선 <math>\zeta(s) = \prod_{p~ \rm{prime}} \frac{1}{1-p^{-s}}, \Re(s)>1, \xi(s)= \pi^{-s/2}\Gamma(s/2)\zeta(s)</math>에서 <math>\xi(s)</math>는 s=0, 1에서 극점을 갖는 유리형 함수(meromorphic)이면서 <math>\xi(s)=\xi(1-s)</math>를 만족한다. 구체적으로 세타함수를 <math>\vartheta(u)=\sum_{n=-\infty}^{\infty} e^{-\pi n^2 u}</math>와 같이 정의하면 <math>\xi(s) = \int_{1}^{\infty} \left( u^{-s/2-1/2}+u^{s/2-1} \right) \psi(u) du - \frac{1}{s}-\frac{1}{1-s}</math> {{숨기기|증명하기|추가 예정}}■<ref> 증명 과정은 Complex Analysis의 section 6.2의 참조.</ref> 따라서 <math>\zeta(s)</math>는 복소수 <math>\mathbb{C}</math>에 대해서 s=1에서만 극점을 가진 유리형 함수(meromorphic function)가 된다. 또한 제타함수의 <math>(s-1)\zeta(s)</math>가 복소수 전체에서 정칙함수(holomorphic)이고, 차수(growth order)가 1이므로 바이에스트라스의 곱정리(Weierstrass product theorem)을 이용하면 제타함수의 비자명근(nontrivial root) ρ에 대해서(참고로 제타함수는 자명근 n=-2, -4, -6, …을 가진다.)<br> {{숨김 시작|title=바이에스테라스의 곱정리(Weierstrass product theorem)}} 복소수 <math>\mathbb{C}</math> 전체에서 정칙인 함수(entire funciton) ''f(z)''의 차수(growth order, 충분히 절대값이 큰 z에 대해서 <math>|f(z)| \le A {\rm{exp}}(B|z|^{\rho})</math>를 만족하는 최소 ρ)를 <math>\rho_0</math>라고 놓자. 이때 m을 z=0에서의 f의 영점의 차수(f(z)=0일 때만, f(z)≠0이면 m=0), <math>a_1 , a_2 , \cdot\cdot\cdot a_n, \cdot\cdot\cdot</math>를 f의 0 아닌 근(중근일 경우 차수만큼 a<sub>i</sub>를 중복해서 쓴다.)이라고 가정하자. <math>k \le rho_0 \le k+1</math>를 만족하는 k와 초등인수 <math>E_k (z)= (1-z) {\rm{exp}}(z+{z^2}/2+\cdot\cdot\cdot+{z^k}/k)</math>, 차수가 k 이하인 P(z)에 대해서 <math>f(z)=e^{P(z)}z^m \prod_{n=1}^{\infty}E_k(z/a_n) </math> {{숨김 끝}}■<ref>증명 과정은 Complex Analysis의 5.5 Hadamard Factorization Theorem 참조. </ref>γ <math>(s-1)\zeta(s)=e^{a+bs}\prod_{n=1}^{\infty}(1+s/2n)e^{-s/2n} \prod_{\rho} (1-z/\rho)e^{z/\rho}</math> 여기서 제타함수의 곱셈식 <math>\zeta(s)=\prod_{p} \frac{1}{1-p^{-s}}</math>를 이용해서 <math>\zeta'(s)/\zeta(s)=-\prod_{p} {-\ln p}p^{-ms}=b-\frac{1}{s-1}- \sum_{n=1}^{\infty}\frac{s}{2n(s+2n)} +\sum_{\rho} \frac{s}{\rho(s-\rho)}</math> 이 식에서 s=0을 대입하면 <math>b+1=\zeta'(0)/\zeta(0)</math>이므로, <math>\Re(s)>0</math>에 대해서<br> <math>- \frac{\zeta'(s)}{\zeta(s)}=\sum_{p} \ln p \cdot p^{-ms} = \frac{s}{s-1} - \frac{\zeta'(0)}{\zeta(0)}+\sum_{n=1}^{\infty}\frac{s}{2n(s+2n)} -\sum_{\rho} \frac{s}{\rho(s-\rho)}</math>. 한편 <math>\psi(x) = {\frac{1}{2 \pi i}} \int_{c-i \cdot \infty}^{c+ i \cdot \infty} \left( - \frac{\zeta ' (z) }{\zeta (z)} \right) \frac{x^z}{z} dz</math>에서 이 식은 <math>\frac{1}{2 \pi i} \int_{c-i \cdot \infty}^{c+ i \cdot \infty} \left( \frac{s}{s-1} - \frac{\zeta'(0)}{\zeta(0)}+\sum_{n=1}^{\infty}\frac{s}{2n(s+2n)} -\sum_{\rho} \frac{s}{\rho(s-\rho)} \right) \frac{x^z}{z} dz</math> 여수 정리(Residue Theorem)를 활용하면 위의 식은 <math>s-\sum_{\rho} x^{\rho}/\rho - \zeta'(0)/\zeta(0) - 1/2 \sum_{n=1}^{\infty} s^{-2n}/n</math>으로 증명된다. <ref> 참조 : [http://people.reed.edu/~jerry/361/lectures/rvm.pdf 출처] </ref> === 3단계 === 이제 제타함수 ζ(s)의 근 ρ에 대해 실수부 Re(ρ)<1인 것을 보여서 충분히 큰 s에 대해 ψ(s)~s임을 보인다. 참고로 [[리만 가설]](Riemann Hypothesis)은 좀 더 강한 가설로 이 제타함수의 비자명근의 실수부가 1/2밖에 없다는 것에 대한 추측이다. 우선 실수 x에 대해서 <math>x^{a+bi} = x^a \cdot e^{\ln x \cdot bi} </math>이므로 허수 지수는 x<sup>s</sup>의 절대값의 크기를 변화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충분히 큰 x에 대해서 x에 비해 작은 값으로 나타나게 된다. 우선 <math>\Re (s) >1 </math>인 경우를 보면 <math>\zeta(s)= \prod_{p} \frac{1}{1-p^{-s}}</math>와 같이 수렴하는 곱셈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각각의 곱셈을 이루는 식이 0이 되지 않으므로 따라서 자명하게 ζ(s)가 0이 되지 않는다. 이제 Re(s)=1, s≠1 에 대해서 ζ(s)가 0이 되지 않음을 보일 것이다. 우선 우리는 <math>3+4 \cos \theta + cos 2\theta = 2(1+\cos \theta)^2 \ge 0</math>임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우리는 σ>1, 실수 t에서 <math> ln| \zeta^3 (\sigma) \zeta^4 (\sigma + it) \zeta (\sigma + 2 it)| \ge 0 </math>임을 확인할 수 있다. 우선 <math>\Re (n^{-\sigma - it}) = \Re (e^{-(\sigma+it) \ln n}) = n^{-\sigma} \cos (t \ln n)</math>이므로<br> <math> ln| \zeta^3 (\sigma) \zeta^4 (\sigma + it) \zeta (\sigma + 2 it)| = 3 \Re [\ln \zeta(\sigma)] + 4 \Re [\ln (\zeta(\sigma + it))]+ \Re [\ln (\zeta (\sigma + 2it))]</math> 여기서 <math>\ln [\zeta(s)]= \sum_n {c_n n^{-s}}, ~ c_n=\begin{cases} 1/m & n=p^r \\ 0 & n \neq p^r \end{cases}</math>를 이용하면 <math>=\sum_n c_n n^{-\sigma}[3+ 4 \cos (t \ln n) + \cos 2(t \ln n)]</math> 당연히 c<sub>n</sub>와 대괄호 안의 부분은 0 이상이기에 전체 식도 0 이상이 된다. 따라서 위의 식이 성립한다. 이제 <math> \zeta(1+ it_0) = 0</math>을 만족하는 ''t<sub>0</sub>''의 존재가 있다는 가정을 한 뒤에 모순을 이끌어내자. 우선 1+''it<sub>0</sub>''에서 함수 ζ(s)가 정칙이므로 σ→1로 접근함에 따라 <math>{|\zeta (\sigma + it_0 )|}^4 \le C(\sigma -1)^4 </math>를 만족하게 하는 상수 C>0를 찾을 수 있다. 한편 σ=1에서는 ζ(s)가 1차원 극점이기에 상수 D>0에 대해서 <math>|\zeta(\sigma)|^3 \le D (\sigma -1)^{-3} </math>를 만족한다. 또한 ζ가 <math>\sigma + 2it_0</math>에서도 정칙이기에 특정한 값이 존재한다. 따라서 σ→1로 감에 따라 <math> |\zeta^3 (\sigma) \zeta^4 (\sigma + it) \zeta (\sigma + 2it)| \le CD|\zeta(\sigma + 2it)|(\sigma-1)</math>가 성립하므로 0으로 간다. 결과적으로 위의 결과와 모순되므로 <math> \zeta(1+ it_0) = 0</math>는 성립하지 않게 된다. 위의 1, 2, 3단계를 종합하면 x가 커짐에 따라 <math> \psi (x) \sim x </math>임이 증명되고, 따라서 <math> \pi (x) \sim \frac{x}{\ln x}</math>임이 증명된다. === 여담 === Tom Apostol의 Analytic Number Theorey에서는 직접 체비쇼브 함수 ψ(s)에 대해 구하는 대신 적분함수 <math> \psi_1 (s)=\int_{0}^{x} \psi(u) du \sim s^2 /2 </math>임을 보여서 증명하였다. 이 경우에는 위의 페론의 정리를 쓰지 않고 적분공식 <math> \int_{c-i \cdot \infty}^{c+i \cdot \infty} \frac{x^s}{s(s+1)}ds = \begin{cases} 0 & 0<a \le 1 \\ 1-1/a & 1 \le a \end{cases}</math>과 <math>\psi_1 (x) = \sum_{n\le x} \Lambda(n) (x-n)</math>를 이용해서 <math>\psi_1 (x) = \frac{1}{2\pi i} \int_{c-i \infty}^{c+ i \infty} \frac{x^{s+1}}{s(s+1)} \left( \frac{\zeta'(s)}{\zeta(s)}\right) ds </math>인 사실, 또한 이것을 이용해서 <math>\frac{\psi_1 (x)}{x^2}- 1/2{\left(1-1/x \right)}^2 =\frac{1}{2\pi i} \int_{c-i \infty}^{c+ i \infty} \frac{x^{s-1}}{s(s+1)} \left( - \frac{\zeta'(s)}{\zeta(s)}-\frac{1}{s-1} \right)ds </math>(1)임을 증명한다. 그 다음에 σ≥1, 실수 t에 대해 <math>\zeta(\sigma+it) \neq 0</math>임을 확인한 후에 충분히 큰 실수 t에 대해서 <math> \left| \frac{\zeta'(1+it)}{\zeta(1+it)}\right| \leq M {(\ln t)}^9 </math>임을 통해서 적분(1)이 x가 커짐에 따라 수렴함을 보이면서 <math>\psi_1 (x) \sim x^2 /2 </math>임을 보일 수 있다. == Li(x)와 관계 == 로그적분 함수 <math> {\rm{Li}}(x)= \int_{2}^{\infty} \{1}{₩ln u} du</math> 에 대해서 <math> \pi(x) \sim {\rm{Li}}(x)</math>가 성립한다. 두 함수간의 오차는 대략 :<math>\pi(x)=\operatorname{Li} (x) + O \left(x \, \exp \left( -\frac{A(\log x)^{3/5}}{(\log \log x)^{1/5}} \right) \right).</math> 이 정도로 알려져 있으나 [[리만 가설]](Riemann Hypothesis)이 참이라는 전제하에서는 x>2637에 대해 :<math>|\pi(x)- \operatorname{li}(x)|<\frac{\sqrt x\,\log x}{8\pi}</math>인 것이 알려져 있다. 두 함수의 크기를 비교할 경우 Li(x)>π(x)로 알려져 있고 실제로도 "거의 모든 x에 대해" 성립한다. 그러나 100% 맞지는 아닌데 영국의 수학자 리틀우드가 Li(x)<π(x)인 x가 존재함을 증명했다. <ref> [[:wikipedia:Prime Numbet Theorem]] 참조. </ref> == 초등적인 증명 == 노버트 위너 타베리안 정리(Wiener's Tauberian Theorem, [[:wikipedia:Wiener's tauberian theorem]] 참조)가 증명되면서 초등적인 증명의 단서가 열렸다. 이후에 셀베르그와 에르되시가 1949년에 소수 정리의 초등적인 증명을 발견했다. 보통 "초등적 증명(elementary proof)"은 페아노 공리계(Peano Arithmetic)에서 [[1차 논리]]<ref>공식(formula)에는 한정자를 사용하지 않고 변수에만 한정자를 사용하는 수리적 논리 방법이다. </ref> 사용할 수 있는 만을 이용해서 증명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쉽게 말하면 미적분적인 요소 등을 사용하지 않고 오로지 정수 함수와 사칙연산에 기초한 방법을 이용한 것이다. 자세한 증명은 [http://www.math.columbia.edu/~goldfeld/ErdosSelbergDispute.pdf 이곳]에 나와있다. 여기서는 이 증명법이 어떠한 아이디어를 이용하는지만 설명할 것이다. === 간단한 증명 과정 요약 === 추가예정 == 참조 == * [[:wikipedia:Prime Number Theorem]] * Elias M Stein, Rami Shakarchi, 《Complex Analysis》 2th editoin, Princeton University, 2002 {{각주}} {{번역한 문서|Prime Number Theorem|726559858|일부}}'
편집 전후의 차이 (edit_diff)
'@@ -1 +1,118 @@ +{{학술|이 문서는 [[수학]]에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소수 정리(Prime Number Theorem)은 정수론의 가장 유명한 정리 중 하나로, 소수의 개수에 관한 정리이다. + +== 소수 정리란? == +소수의 개별적인 분포는 상당히 불규칙하지만 소수의 전체적인 갯수는 특정한 패턴을 따른다. 소수 정리는 이러한 특정한 소수의 개수의 특별한 패턴을 보여주는 정리다. 소수 정리(Prime Number Theorem)은 특정한 자연수 이하의 소수의 개수 <math>\pi(x)</math>가 ''x''값이 커짐에 따라 <math>x/\ln x</math>에 근사적으로 수렴한다는 것을 보인다. 또 다른 형태로는 <math> \pi(x) \sim \rm{Li} (x) = \int_2^x \frac{1}{\ln t} dt</math>로 로그적분함수(Logarithmic Integral Function)을 이용해서도 유도할 수 있다. 이것을 역으로 이용하면 n번째 소수 p<sub>n</sub>에 대해서 n에 커짐에 따라 <math>p_n \sim n \ln n</math>에 근사적으로 다가간다는 것도 보일 수 있다. + +== 역사 == +1797년에 프랑스의 수학자 아드리엔 마리 르장드르(Adrien Marie Legendre)가 소수의 개수에 관한 점근식을 <math>\pi(x) \sim x/(A \ln x+B)</math>로 추측했다고 전해진다. 르장드르는 1808년에 A=1, B=-1.08366으로 자신의 추측을 더 구체적으로 명시한다. 한편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Carl Friedrich Gauss)에 따르면 자신이 15~16살 사이에 이 정리에 대한 추측을 발견했다고 서술하기도 했다. + +이후 러시아의 수학자 파브누티 체비쇼프(Pafnuty L'vovich Chebyshev)는 1848년과 1850년 사이에 이 정리에 대한 증명을 시도하였다. 체비쇼프는 리만 제타 함수 ζ(s)의 성질을 이용해서 이 정리보다 약한 정리인 <math>\pi(x) \ln x /x </math>가 x가 무한히 커짐에 따라 특정한 상수로 수렴함을 보였다. + +1859년 베른하르트 리만(Bernhard Riemann)이 자신의 유일한 논문 ''On the Number of Primes Less Than a Given Magnitude''(특정한 숫자보다 작은 소수들의 숫자에 관해서)에서 이 소수 정리의 완전한 형태를 처음으로 증명했다. 이 증명에서는 리만제타함수를 복소평면에 확장한 함수를 이용해서 증명하였다. 1896년에는 아다마드(Jacques Hadamard)와 발레푸신(Charles Jean de la Vallée-Poussin)이 제각기 리만의 방법을 개선한 증명을 보였다. 두 정리 모두 복소해석학(Complex Analysis)적 방법을 사용하며, 리만 제타 함수 ζ(s)가 Re(s)≥1인 모든 s에 대해 (특히 Re(s)=1인 모든 s에 대해) 0이 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용해서 유도하였다. + +복소해석학을 이용한 증명이 나온 한참 후에 아들레 셀베르그(Atle Selberg)와 폴 에르되시(Paul Erdös)가 [[1949년]]에 순수하게 수론적인 증명(흔히 elementary proof라고 부르는 방법)을 찾아냈으며, 1980년에는 뉴먼(Donald J Newman)이 해석학적인 방법 중 좀 더 간단한 방법을 찾았다. 2016년 현재까지 소수 정리의 증명 중 가장 간단한 방법이다. + +== 복소해석학을 사용한 정리 증명 == + +소수 정리는 구체적으로 증명하다보면 복잡해진다. 여기서는 증명하는 전략에 대해서만 다룰 것이다. 여기서는 필즈상 수상자인 테렌스 타오(Terence Tao)의 강의 노트에 언급한 방법을 이용한다. + +=== 1단계 === +우선 <math>\pi(x)</math>의 점근식에 대해 증명하는 대신 <math>\psi(x) = \sum_{p^k \le x, \atop p \, \text{is prime}} \ln p.</math>로 정의되는 체비세브 함수(Chevychev Function)</math>가 y=x에 근사적으로 접근한다는 것을 보일 것이다. 즉, <math>\lim_{x \to \infty} {\frac{\psi (x)}{x}} = 1</math>을 보이면 충분하다. 우선 + +:<math>\psi(x) = \sum_{p\le x} \ln p \left\lfloor \frac{\ln x}{\ln p} \right\rfloor \le \sum_{p\le x} \log x = \pi(x)\ln x</math> 따라서 <math>1 \le { \lim \inf}_{x \to \infty} \frac{\pi(x) \ln x}{\psi(x)}</math> + +한편 big O notation을 이용해서 <math> \varepsilon > 0</math>가 성립할 때 +:<math>\psi(x) \ge \sum_{x^{1-\varepsilon}\le p\le x} \ln p\ge\sum_{x^{1-\varepsilon}\le p\le x}(1-\varepsilon)\ln x=(1-\varepsilon)(\pi(x)+O(x^{1-\varepsilon}))\ln x.</math>. 따라서 임의의 작은 <math>\eta, \varepsilon >0</math>. <math> {\lim \sup}_{x \to \infty} \left| \frac{\psi(x) - (1-\varepsilon) \pi(x)}{x} \right| < \eta </math>가 성립한다. 즉 <math> \lim_{x \to \infty} \frac{ \pi(x) \ln x - \psi(x)}{x} =0</math>이고, <math>\lim_{x \to \infty}\frac{\pi(x) \ln x}{x} =1 \Leftrightarrow \lim_{x \to \infty}\frac{\psi(x)}{x} =1 </math>. + +폰 망골트 함수(von Mangoldt Function)는 <math>\Lambda (n) = \begin{cases} \ln n & n~ \rm{prime} \\ 0 & n=1 ~ or ~ n ~\rm{composite} \end{cases}</math>로 정의되고, 한편 μ(n)이 뫼비우스 함수(Mōbius Function)일 때 <math> \Lambda(n)= \sum_{d|n} \mu(d) \ln (n/d)</math>, + +이 때 <math>\frac{\zeta'(s)}{\zeta(s)} = -\sum_{n=1}^{\infty} \Lambda(n) n^{-s} </math>. + +아래의 페론의 정리(Perron's Theorem)을 사용하면 정수가 아닌 <math>x</math>, <math>c>1</math>에 대해 (x가 정수일 때까지 감안한다면 <math>\psi_0 = \lim_{h \to 0}{\psi(x+h)+\psi(x-h)}/2</math>를 이용하면 된다. 오직 x가 소수의 k제곱수일 때에만 값이 달라진다.) + +{{숨기기|페론의 정리(Perron's Theorem)| +정수 함수 <math>\{a(n)\}</math>와 그것으로 유도되는 디레클레 급수 <math>g(s){{=}}\sum_{n{{=}}1}^{\infty} \frac{a(n)}{n^s}</math>에 대해서 이 급수가 특정한 실수 s<sub>0</sub>에 대해 <math>\Re (s) \gt s_0</math>가 성립하면 실수 ''x'', ''c''>''s''<sub>0</sub>에 대해서 +:: <math>A(x){{=}}\sum_{n \le x} ' a(n) {{=}} \int_{c-i \cdot \infty}^{c+ i \cdot \infty} g(z) \frac{x^z}{z} dz</math> + +여기서 시그마 기호의 프라임 표시는 x가 정수일 때는 마지막 항 a(n)의 1/2를 더하라는 의미이다. +}}<ref> 출처: [[:wikipedia:Perron's Theorem]] </ref> + +<math>\psi(x) = \sum_{n \le x} \Lambda (n) = {\frac{1}{2 \pi i}} \int_{c-i \cdot \infty}^{c+ i \cdot \infty} \left( - \frac{\zeta ' (z) }{\zeta (z)} \right) \frac{x^z}{z} dz</math> + +=== 2단계 === +이제 <math>\psi(x)= x-\sum_{\rho}{\rm{Res}}_{s=\rho} \frac{\zeta'(s)}{\zeta(s)}{x^{\rho}}</math>임을 보인다. + +우선 <math>\zeta(s) = \prod_{p~ \rm{prime}} \frac{1}{1-p^{-s}}, \Re(s)>1, \xi(s)= \pi^{-s/2}\Gamma(s/2)\zeta(s)</math>에서 <math>\xi(s)</math>는 s=0, 1에서 극점을 갖는 유리형 함수(meromorphic)이면서 <math>\xi(s)=\xi(1-s)</math>를 만족한다. 구체적으로 세타함수를 <math>\vartheta(u)=\sum_{n=-\infty}^{\infty} e^{-\pi n^2 u}</math>와 같이 정의하면 <math>\xi(s) = \int_{1}^{\infty} \left( u^{-s/2-1/2}+u^{s/2-1} \right) \psi(u) du - \frac{1}{s}-\frac{1}{1-s}</math> +{{숨기기|증명하기|추가 예정}}■<ref> 증명 과정은 Complex Analysis의 section 6.2의 참조.</ref> + +따라서 <math>\zeta(s)</math>는 복소수 <math>\mathbb{C}</math>에 대해서 s=1에서만 극점을 가진 유리형 함수(meromorphic function)가 된다. 또한 제타함수의 <math>(s-1)\zeta(s)</math>가 복소수 전체에서 정칙함수(holomorphic)이고, 차수(growth order)가 1이므로 바이에스트라스의 곱정리(Weierstrass product theorem)을 이용하면 제타함수의 비자명근(nontrivial root) ρ에 대해서(참고로 제타함수는 자명근 n=-2, -4, -6, …을 가진다.)<br> + + +{{숨김 시작|title=바이에스테라스의 곱정리(Weierstrass product theorem)}} + +복소수 <math>\mathbb{C}</math> 전체에서 정칙인 함수(entire funciton) ''f(z)''의 차수(growth order, 충분히 절대값이 큰 z에 대해서 <math>|f(z)| \le A {\rm{exp}}(B|z|^{\rho})</math>를 만족하는 최소 ρ)를 <math>\rho_0</math>라고 놓자. 이때 m을 z=0에서의 f의 영점의 차수(f(z)=0일 때만, f(z)≠0이면 m=0), <math>a_1 , a_2 , \cdot\cdot\cdot a_n, \cdot\cdot\cdot</math>를 f의 0 아닌 근(중근일 경우 차수만큼 a<sub>i</sub>를 중복해서 쓴다.)이라고 가정하자. <math>k \le rho_0 \le k+1</math>를 만족하는 k와 초등인수 <math>E_k (z)= (1-z) {\rm{exp}}(z+{z^2}/2+\cdot\cdot\cdot+{z^k}/k)</math>, 차수가 k 이하인 P(z)에 대해서 <math>f(z)=e^{P(z)}z^m \prod_{n=1}^{\infty}E_k(z/a_n) </math> +{{숨김 끝}}■<ref>증명 과정은 Complex Analysis의 5.5 Hadamard Factorization Theorem 참조. </ref>γ + +<math>(s-1)\zeta(s)=e^{a+bs}\prod_{n=1}^{\infty}(1+s/2n)e^{-s/2n} \prod_{\rho} (1-z/\rho)e^{z/\rho}</math> + +여기서 제타함수의 곱셈식 <math>\zeta(s)=\prod_{p} \frac{1}{1-p^{-s}}</math>를 이용해서 <math>\zeta'(s)/\zeta(s)=-\prod_{p} {-\ln p}p^{-ms}=b-\frac{1}{s-1}- \sum_{n=1}^{\infty}\frac{s}{2n(s+2n)} +\sum_{\rho} \frac{s}{\rho(s-\rho)}</math> 이 식에서 s=0을 대입하면 <math>b+1=\zeta'(0)/\zeta(0)</math>이므로, <math>\Re(s)>0</math>에 대해서<br> +<math>- \frac{\zeta'(s)}{\zeta(s)}=\sum_{p} \ln p \cdot p^{-ms} = \frac{s}{s-1} - \frac{\zeta'(0)}{\zeta(0)}+\sum_{n=1}^{\infty}\frac{s}{2n(s+2n)} -\sum_{\rho} \frac{s}{\rho(s-\rho)}</math>. + +한편 <math>\psi(x) = {\frac{1}{2 \pi i}} \int_{c-i \cdot \infty}^{c+ i \cdot \infty} \left( - \frac{\zeta ' (z) }{\zeta (z)} \right) \frac{x^z}{z} dz</math>에서 이 식은 + +<math>\frac{1}{2 \pi i} \int_{c-i \cdot \infty}^{c+ i \cdot \infty} \left( \frac{s}{s-1} - \frac{\zeta'(0)}{\zeta(0)}+\sum_{n=1}^{\infty}\frac{s}{2n(s+2n)} -\sum_{\rho} \frac{s}{\rho(s-\rho)} \right) \frac{x^z}{z} dz</math> + +여수 정리(Residue Theorem)를 활용하면 위의 식은 <math>s-\sum_{\rho} x^{\rho}/\rho - \zeta'(0)/\zeta(0) - 1/2 \sum_{n=1}^{\infty} s^{-2n}/n</math>으로 증명된다. +<ref> 참조 : [http://people.reed.edu/~jerry/361/lectures/rvm.pdf 출처] </ref> +=== 3단계 === +이제 제타함수 ζ(s)의 근 ρ에 대해 실수부 Re(ρ)<1인 것을 보여서 충분히 큰 s에 대해 ψ(s)~s임을 보인다. 참고로 [[리만 가설]](Riemann Hypothesis)은 좀 더 강한 가설로 이 제타함수의 비자명근의 실수부가 1/2밖에 없다는 것에 대한 추측이다. 우선 실수 x에 대해서 <math>x^{a+bi} = x^a \cdot e^{\ln x \cdot bi} </math>이므로 허수 지수는 x<sup>s</sup>의 절대값의 크기를 변화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충분히 큰 x에 대해서 x에 비해 작은 값으로 나타나게 된다. + +우선 <math>\Re (s) >1 </math>인 경우를 보면 <math>\zeta(s)= \prod_{p} \frac{1}{1-p^{-s}}</math>와 같이 수렴하는 곱셈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각각의 곱셈을 이루는 식이 0이 되지 않으므로 따라서 자명하게 ζ(s)가 0이 되지 않는다. + +이제 Re(s)=1, s≠1 에 대해서 ζ(s)가 0이 되지 않음을 보일 것이다. 우선 우리는 <math>3+4 \cos \theta + cos 2\theta = 2(1+\cos \theta)^2 \ge 0</math>임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우리는 σ>1, 실수 t에서 <math> ln| \zeta^3 (\sigma) \zeta^4 (\sigma + it) \zeta (\sigma + 2 it)| \ge 0 </math>임을 확인할 수 있다. + +우선 <math>\Re (n^{-\sigma - it}) = \Re (e^{-(\sigma+it) \ln n}) = n^{-\sigma} \cos (t \ln n)</math>이므로<br> +<math> ln| \zeta^3 (\sigma) \zeta^4 (\sigma + it) \zeta (\sigma + 2 it)| = 3 \Re [\ln \zeta(\sigma)] + 4 \Re [\ln (\zeta(\sigma + it))]+ \Re [\ln (\zeta (\sigma + 2it))]</math> 여기서 <math>\ln [\zeta(s)]= \sum_n {c_n n^{-s}}, ~ c_n=\begin{cases} 1/m & n=p^r \\ 0 & n \neq p^r \end{cases}</math>를 이용하면 + +<math>=\sum_n c_n n^{-\sigma}[3+ 4 \cos (t \ln n) + \cos 2(t \ln n)]</math> 당연히 c<sub>n</sub>와 대괄호 안의 부분은 0 이상이기에 전체 식도 0 이상이 된다. 따라서 위의 식이 성립한다. + +이제 <math> \zeta(1+ it_0) = 0</math>을 만족하는 ''t<sub>0</sub>''의 존재가 있다는 가정을 한 뒤에 모순을 이끌어내자. 우선 1+''it<sub>0</sub>''에서 함수 ζ(s)가 정칙이므로 σ→1로 접근함에 따라 <math>{|\zeta (\sigma + it_0 )|}^4 \le C(\sigma -1)^4 </math>를 만족하게 하는 상수 C>0를 찾을 수 있다. 한편 σ=1에서는 ζ(s)가 1차원 극점이기에 상수 D>0에 대해서 <math>|\zeta(\sigma)|^3 \le D (\sigma -1)^{-3} </math>를 만족한다. 또한 ζ가 <math>\sigma + 2it_0</math>에서도 정칙이기에 특정한 값이 존재한다. 따라서 σ→1로 감에 따라 <math> |\zeta^3 (\sigma) \zeta^4 (\sigma + it) \zeta (\sigma + 2it)| \le CD|\zeta(\sigma + 2it)|(\sigma-1)</math>가 성립하므로 0으로 간다. 결과적으로 위의 결과와 모순되므로 <math> \zeta(1+ it_0) = 0</math>는 성립하지 않게 된다. + +위의 1, 2, 3단계를 종합하면 x가 커짐에 따라 <math> \psi (x) \sim x </math>임이 증명되고, 따라서 <math> \pi (x) \sim \frac{x}{\ln x}</math>임이 증명된다. + +=== 여담 === + +Tom Apostol의 Analytic Number Theorey에서는 직접 체비쇼브 함수 ψ(s)에 대해 구하는 대신 적분함수 <math> \psi_1 (s)=\int_{0}^{x} \psi(u) du \sim s^2 /2 </math>임을 보여서 증명하였다. 이 경우에는 위의 페론의 정리를 쓰지 않고 적분공식 <math> \int_{c-i \cdot \infty}^{c+i \cdot \infty} \frac{x^s}{s(s+1)}ds = \begin{cases} 0 & 0<a \le 1 \\ 1-1/a & 1 \le a \end{cases}</math>과 <math>\psi_1 (x) = \sum_{n\le x} \Lambda(n) (x-n)</math>를 이용해서 <math>\psi_1 (x) = \frac{1}{2\pi i} \int_{c-i \infty}^{c+ i \infty} \frac{x^{s+1}}{s(s+1)} \left( \frac{\zeta'(s)}{\zeta(s)}\right) ds </math>인 사실, 또한 이것을 이용해서 <math>\frac{\psi_1 (x)}{x^2}- 1/2{\left(1-1/x \right)}^2 =\frac{1}{2\pi i} \int_{c-i \infty}^{c+ i \infty} \frac{x^{s-1}}{s(s+1)} \left( - \frac{\zeta'(s)}{\zeta(s)}-\frac{1}{s-1} \right)ds </math>(1)임을 증명한다. 그 다음에 σ≥1, 실수 t에 대해 <math>\zeta(\sigma+it) \neq 0</math>임을 확인한 후에 충분히 큰 실수 t에 대해서 <math> \left| \frac{\zeta'(1+it)}{\zeta(1+it)}\right| \leq M {(\ln t)}^9 </math>임을 통해서 적분(1)이 x가 커짐에 따라 수렴함을 보이면서 <math>\psi_1 (x) \sim x^2 /2 </math>임을 보일 수 있다. + +== Li(x)와 관계 == + +로그적분 함수 <math> {\rm{Li}}(x)= \int_{2}^{\infty} \{1}{₩ln u} du</math> 에 대해서 <math> \pi(x) \sim {\rm{Li}}(x)</math>가 성립한다. + +두 함수간의 오차는 대략 +:<math>\pi(x)=\operatorname{Li} (x) + O \left(x \, \exp \left( -\frac{A(\log x)^{3/5}}{(\log \log x)^{1/5}} \right) \right).</math> + +이 정도로 알려져 있으나 [[리만 가설]](Riemann Hypothesis)이 참이라는 전제하에서는 x>2637에 대해 + +:<math>|\pi(x)- \operatorname{li}(x)|<\frac{\sqrt x\,\log x}{8\pi}</math>인 것이 알려져 있다. + +두 함수의 크기를 비교할 경우 Li(x)>π(x)로 알려져 있고 실제로도 "거의 모든 x에 대해" 성립한다. 그러나 100% 맞지는 아닌데 영국의 수학자 리틀우드가 Li(x)<π(x)인 x가 존재함을 증명했다. <ref> [[:wikipedia:Prime Numbet Theorem]] 참조. </ref> + +== 초등적인 증명 == + +노버트 위너 타베리안 정리(Wiener's Tauberian Theorem, [[:wikipedia:Wiener's tauberian theorem]] 참조)가 증명되면서 초등적인 증명의 단서가 열렸다. 이후에 셀베르그와 에르되시가 1949년에 소수 정리의 초등적인 증명을 발견했다. + +보통 "초등적 증명(elementary proof)"은 페아노 공리계(Peano Arithmetic)에서 [[1차 논리]]<ref>공식(formula)에는 한정자를 사용하지 않고 변수에만 한정자를 사용하는 수리적 논리 방법이다. </ref> 사용할 수 있는 만을 이용해서 증명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쉽게 말하면 미적분적인 요소 등을 사용하지 않고 오로지 정수 함수와 사칙연산에 기초한 방법을 이용한 것이다. + +자세한 증명은 [http://www.math.columbia.edu/~goldfeld/ErdosSelbergDispute.pdf 이곳]에 나와있다. 여기서는 이 증명법이 어떠한 아이디어를 이용하는지만 설명할 것이다. +=== 간단한 증명 과정 요약 === +추가예정 + +== 참조 == +* [[:wikipedia:Prime Number Theorem]] +* Elias M Stein, Rami Shakarchi, 《Complex Analysis》 2th editoin, Princeton University, 2002 + +{{각주}} + +{{번역한 문서|Prime Number Theorem|726559858|일부}} '
새 문서 크기 (new_size)
16266
편집 중 추가된 줄 (added_lines)
[ 0 => '{{학술|이 문서는 [[수학]]에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 => '소수 정리(Prime Number Theorem)은 정수론의 가장 유명한 정리 중 하나로, 소수의 개수에 관한 정리이다.', 2 => '', 3 => '== 소수 정리란? ==', 4 => '소수의 개별적인 분포는 상당히 불규칙하지만 소수의 전체적인 갯수는 특정한 패턴을 따른다. 소수 정리는 이러한 특정한 소수의 개수의 특별한 패턴을 보여주는 정리다. 소수 정리(Prime Number Theorem)은 특정한 자연수 이하의 소수의 개수 <math>\pi(x)</math>가 ''x''값이 커짐에 따라 <math>x/\ln x</math>에 근사적으로 수렴한다는 것을 보인다. 또 다른 형태로는 <math> \pi(x) \sim \rm{Li} (x) = \int_2^x \frac{1}{\ln t} dt</math>로 로그적분함수(Logarithmic Integral Function)을 이용해서도 유도할 수 있다. 이것을 역으로 이용하면 n번째 소수 p<sub>n</sub>에 대해서 n에 커짐에 따라 <math>p_n \sim n \ln n</math>에 근사적으로 다가간다는 것도 보일 수 있다.', 5 => '', 6 => '== 역사 ==', 7 => '1797년에 프랑스의 수학자 아드리엔 마리 르장드르(Adrien Marie Legendre)가 소수의 개수에 관한 점근식을 <math>\pi(x) \sim x/(A \ln x+B)</math>로 추측했다고 전해진다. 르장드르는 1808년에 A=1, B=-1.08366으로 자신의 추측을 더 구체적으로 명시한다. 한편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Carl Friedrich Gauss)에 따르면 자신이 15~16살 사이에 이 정리에 대한 추측을 발견했다고 서술하기도 했다.', 8 => '', 9 => '이후 러시아의 수학자 파브누티 체비쇼프(Pafnuty L'vovich Chebyshev)는 1848년과 1850년 사이에 이 정리에 대한 증명을 시도하였다. 체비쇼프는 리만 제타 함수 ζ(s)의 성질을 이용해서 이 정리보다 약한 정리인 <math>\pi(x) \ln x /x </math>가 x가 무한히 커짐에 따라 특정한 상수로 수렴함을 보였다. ', 10 => '', 11 => '1859년 베른하르트 리만(Bernhard Riemann)이 자신의 유일한 논문 ''On the Number of Primes Less Than a Given Magnitude''(특정한 숫자보다 작은 소수들의 숫자에 관해서)에서 이 소수 정리의 완전한 형태를 처음으로 증명했다. 이 증명에서는 리만제타함수를 복소평면에 확장한 함수를 이용해서 증명하였다. 1896년에는 아다마드(Jacques Hadamard)와 발레푸신(Charles Jean de la Vallée-Poussin)이 제각기 리만의 방법을 개선한 증명을 보였다. 두 정리 모두 복소해석학(Complex Analysis)적 방법을 사용하며, 리만 제타 함수 ζ(s)가 Re(s)≥1인 모든 s에 대해 (특히 Re(s)=1인 모든 s에 대해) 0이 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용해서 유도하였다.', 12 => '', 13 => '복소해석학을 이용한 증명이 나온 한참 후에 아들레 셀베르그(Atle Selberg)와 폴 에르되시(Paul Erdös)가 [[1949년]]에 순수하게 수론적인 증명(흔히 elementary proof라고 부르는 방법)을 찾아냈으며, 1980년에는 뉴먼(Donald J Newman)이 해석학적인 방법 중 좀 더 간단한 방법을 찾았다. 2016년 현재까지 소수 정리의 증명 중 가장 간단한 방법이다. ', 14 => '', 15 => '== 복소해석학을 사용한 정리 증명 ==', 16 => '', 17 => '소수 정리는 구체적으로 증명하다보면 복잡해진다. 여기서는 증명하는 전략에 대해서만 다룰 것이다. 여기서는 필즈상 수상자인 테렌스 타오(Terence Tao)의 강의 노트에 언급한 방법을 이용한다. ', 18 => '', 19 => '=== 1단계 ===', 20 => '우선 <math>\pi(x)</math>의 점근식에 대해 증명하는 대신 <math>\psi(x) = \sum_{p^k \le x, \atop p \, \text{is prime}} \ln p.</math>로 정의되는 체비세브 함수(Chevychev Function)</math>가 y=x에 근사적으로 접근한다는 것을 보일 것이다. 즉, <math>\lim_{x \to \infty} {\frac{\psi (x)}{x}} = 1</math>을 보이면 충분하다. 우선', 21 => '', 22 => ':<math>\psi(x) = \sum_{p\le x} \ln p \left\lfloor \frac{\ln x}{\ln p} \right\rfloor \le \sum_{p\le x} \log x = \pi(x)\ln x</math> 따라서 <math>1 \le { \lim \inf}_{x \to \infty} \frac{\pi(x) \ln x}{\psi(x)}</math>', 23 => '', 24 => '한편 big O notation을 이용해서 <math> \varepsilon > 0</math>가 성립할 때 ', 25 => ':<math>\psi(x) \ge \sum_{x^{1-\varepsilon}\le p\le x} \ln p\ge\sum_{x^{1-\varepsilon}\le p\le x}(1-\varepsilon)\ln x=(1-\varepsilon)(\pi(x)+O(x^{1-\varepsilon}))\ln x.</math>. 따라서 임의의 작은 <math>\eta, \varepsilon >0</math>. <math> {\lim \sup}_{x \to \infty} \left| \frac{\psi(x) - (1-\varepsilon) \pi(x)}{x} \right| < \eta </math>가 성립한다. 즉 <math> \lim_{x \to \infty} \frac{ \pi(x) \ln x - \psi(x)}{x} =0</math>이고, <math>\lim_{x \to \infty}\frac{\pi(x) \ln x}{x} =1 \Leftrightarrow \lim_{x \to \infty}\frac{\psi(x)}{x} =1 </math>.', 26 => '', 27 => '폰 망골트 함수(von Mangoldt Function)는 <math>\Lambda (n) = \begin{cases} \ln n & n~ \rm{prime} \\ 0 & n=1 ~ or ~ n ~\rm{composite} \end{cases}</math>로 정의되고, 한편 μ(n)이 뫼비우스 함수(Mōbius Function)일 때 <math> \Lambda(n)= \sum_{d|n} \mu(d) \ln (n/d)</math>,', 28 => '', 29 => '이 때 <math>\frac{\zeta'(s)}{\zeta(s)} = -\sum_{n=1}^{\infty} \Lambda(n) n^{-s} </math>. ', 30 => '', 31 => '아래의 페론의 정리(Perron's Theorem)을 사용하면 정수가 아닌 <math>x</math>, <math>c>1</math>에 대해 (x가 정수일 때까지 감안한다면 <math>\psi_0 = \lim_{h \to 0}{\psi(x+h)+\psi(x-h)}/2</math>를 이용하면 된다. 오직 x가 소수의 k제곱수일 때에만 값이 달라진다.)', 32 => '', 33 => '{{숨기기|페론의 정리(Perron's Theorem)|', 34 => '정수 함수 <math>\{a(n)\}</math>와 그것으로 유도되는 디레클레 급수 <math>g(s){{=}}\sum_{n{{=}}1}^{\infty} \frac{a(n)}{n^s}</math>에 대해서 이 급수가 특정한 실수 s<sub>0</sub>에 대해 <math>\Re (s) \gt s_0</math>가 성립하면 실수 ''x'', ''c''>''s''<sub>0</sub>에 대해서', 35 => ':: <math>A(x){{=}}\sum_{n \le x} ' a(n) {{=}} \int_{c-i \cdot \infty}^{c+ i \cdot \infty} g(z) \frac{x^z}{z} dz</math> ', 36 => '', 37 => '여기서 시그마 기호의 프라임 표시는 x가 정수일 때는 마지막 항 a(n)의 1/2를 더하라는 의미이다.', 38 => '}}<ref> 출처: [[:wikipedia:Perron's Theorem]] </ref>', 39 => '', 40 => '<math>\psi(x) = \sum_{n \le x} \Lambda (n) = {\frac{1}{2 \pi i}} \int_{c-i \cdot \infty}^{c+ i \cdot \infty} \left( - \frac{\zeta ' (z) }{\zeta (z)} \right) \frac{x^z}{z} dz</math>', 41 => '', 42 => '=== 2단계 ===', 43 => '이제 <math>\psi(x)= x-\sum_{\rho}{\rm{Res}}_{s=\rho} \frac{\zeta'(s)}{\zeta(s)}{x^{\rho}}</math>임을 보인다.', 44 => '', 45 => '우선 <math>\zeta(s) = \prod_{p~ \rm{prime}} \frac{1}{1-p^{-s}}, \Re(s)>1, \xi(s)= \pi^{-s/2}\Gamma(s/2)\zeta(s)</math>에서 <math>\xi(s)</math>는 s=0, 1에서 극점을 갖는 유리형 함수(meromorphic)이면서 <math>\xi(s)=\xi(1-s)</math>를 만족한다. 구체적으로 세타함수를 <math>\vartheta(u)=\sum_{n=-\infty}^{\infty} e^{-\pi n^2 u}</math>와 같이 정의하면 <math>\xi(s) = \int_{1}^{\infty} \left( u^{-s/2-1/2}+u^{s/2-1} \right) \psi(u) du - \frac{1}{s}-\frac{1}{1-s}</math>', 46 => '{{숨기기|증명하기|추가 예정}}■<ref> 증명 과정은 Complex Analysis의 section 6.2의 참조.</ref>', 47 => '', 48 => '따라서 <math>\zeta(s)</math>는 복소수 <math>\mathbb{C}</math>에 대해서 s=1에서만 극점을 가진 유리형 함수(meromorphic function)가 된다. 또한 제타함수의 <math>(s-1)\zeta(s)</math>가 복소수 전체에서 정칙함수(holomorphic)이고, 차수(growth order)가 1이므로 바이에스트라스의 곱정리(Weierstrass product theorem)을 이용하면 제타함수의 비자명근(nontrivial root) ρ에 대해서(참고로 제타함수는 자명근 n=-2, -4, -6, …을 가진다.)<br>', 49 => '', 50 => '', 51 => '{{숨김 시작|title=바이에스테라스의 곱정리(Weierstrass product theorem)}}', 52 => '', 53 => '복소수 <math>\mathbb{C}</math> 전체에서 정칙인 함수(entire funciton) ''f(z)''의 차수(growth order, 충분히 절대값이 큰 z에 대해서 <math>|f(z)| \le A {\rm{exp}}(B|z|^{\rho})</math>를 만족하는 최소 ρ)를 <math>\rho_0</math>라고 놓자. 이때 m을 z=0에서의 f의 영점의 차수(f(z)=0일 때만, f(z)≠0이면 m=0), <math>a_1 , a_2 , \cdot\cdot\cdot a_n, \cdot\cdot\cdot</math>를 f의 0 아닌 근(중근일 경우 차수만큼 a<sub>i</sub>를 중복해서 쓴다.)이라고 가정하자. <math>k \le rho_0 \le k+1</math>를 만족하는 k와 초등인수 <math>E_k (z)= (1-z) {\rm{exp}}(z+{z^2}/2+\cdot\cdot\cdot+{z^k}/k)</math>, 차수가 k 이하인 P(z)에 대해서 <math>f(z)=e^{P(z)}z^m \prod_{n=1}^{\infty}E_k(z/a_n) </math>', 54 => '{{숨김 끝}}■<ref>증명 과정은 Complex Analysis의 5.5 Hadamard Factorization Theorem 참조. </ref>γ', 55 => '', 56 => '<math>(s-1)\zeta(s)=e^{a+bs}\prod_{n=1}^{\infty}(1+s/2n)e^{-s/2n} \prod_{\rho} (1-z/\rho)e^{z/\rho}</math>', 57 => '', 58 => '여기서 제타함수의 곱셈식 <math>\zeta(s)=\prod_{p} \frac{1}{1-p^{-s}}</math>를 이용해서 <math>\zeta'(s)/\zeta(s)=-\prod_{p} {-\ln p}p^{-ms}=b-\frac{1}{s-1}- \sum_{n=1}^{\infty}\frac{s}{2n(s+2n)} +\sum_{\rho} \frac{s}{\rho(s-\rho)}</math> 이 식에서 s=0을 대입하면 <math>b+1=\zeta'(0)/\zeta(0)</math>이므로, <math>\Re(s)>0</math>에 대해서<br>', 59 => '<math>- \frac{\zeta'(s)}{\zeta(s)}=\sum_{p} \ln p \cdot p^{-ms} = \frac{s}{s-1} - \frac{\zeta'(0)}{\zeta(0)}+\sum_{n=1}^{\infty}\frac{s}{2n(s+2n)} -\sum_{\rho} \frac{s}{\rho(s-\rho)}</math>.', 60 => '', 61 => '한편 <math>\psi(x) = {\frac{1}{2 \pi i}} \int_{c-i \cdot \infty}^{c+ i \cdot \infty} \left( - \frac{\zeta ' (z) }{\zeta (z)} \right) \frac{x^z}{z} dz</math>에서 이 식은', 62 => '', 63 => '<math>\frac{1}{2 \pi i} \int_{c-i \cdot \infty}^{c+ i \cdot \infty} \left( \frac{s}{s-1} - \frac{\zeta'(0)}{\zeta(0)}+\sum_{n=1}^{\infty}\frac{s}{2n(s+2n)} -\sum_{\rho} \frac{s}{\rho(s-\rho)} \right) \frac{x^z}{z} dz</math>', 64 => '', 65 => '여수 정리(Residue Theorem)를 활용하면 위의 식은 <math>s-\sum_{\rho} x^{\rho}/\rho - \zeta'(0)/\zeta(0) - 1/2 \sum_{n=1}^{\infty} s^{-2n}/n</math>으로 증명된다.', 66 => '<ref> 참조 : [http://people.reed.edu/~jerry/361/lectures/rvm.pdf 출처] </ref>', 67 => '=== 3단계 ===', 68 => '이제 제타함수 ζ(s)의 근 ρ에 대해 실수부 Re(ρ)<1인 것을 보여서 충분히 큰 s에 대해 ψ(s)~s임을 보인다. 참고로 [[리만 가설]](Riemann Hypothesis)은 좀 더 강한 가설로 이 제타함수의 비자명근의 실수부가 1/2밖에 없다는 것에 대한 추측이다. 우선 실수 x에 대해서 <math>x^{a+bi} = x^a \cdot e^{\ln x \cdot bi} </math>이므로 허수 지수는 x<sup>s</sup>의 절대값의 크기를 변화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충분히 큰 x에 대해서 x에 비해 작은 값으로 나타나게 된다.', 69 => '', 70 => '우선 <math>\Re (s) >1 </math>인 경우를 보면 <math>\zeta(s)= \prod_{p} \frac{1}{1-p^{-s}}</math>와 같이 수렴하는 곱셈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각각의 곱셈을 이루는 식이 0이 되지 않으므로 따라서 자명하게 ζ(s)가 0이 되지 않는다. ', 71 => '', 72 => '이제 Re(s)=1, s≠1 에 대해서 ζ(s)가 0이 되지 않음을 보일 것이다. 우선 우리는 <math>3+4 \cos \theta + cos 2\theta = 2(1+\cos \theta)^2 \ge 0</math>임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우리는 σ>1, 실수 t에서 <math> ln| \zeta^3 (\sigma) \zeta^4 (\sigma + it) \zeta (\sigma + 2 it)| \ge 0 </math>임을 확인할 수 있다.', 73 => '', 74 => '우선 <math>\Re (n^{-\sigma - it}) = \Re (e^{-(\sigma+it) \ln n}) = n^{-\sigma} \cos (t \ln n)</math>이므로<br>', 75 => '<math> ln| \zeta^3 (\sigma) \zeta^4 (\sigma + it) \zeta (\sigma + 2 it)| = 3 \Re [\ln \zeta(\sigma)] + 4 \Re [\ln (\zeta(\sigma + it))]+ \Re [\ln (\zeta (\sigma + 2it))]</math> 여기서 <math>\ln [\zeta(s)]= \sum_n {c_n n^{-s}}, ~ c_n=\begin{cases} 1/m & n=p^r \\ 0 & n \neq p^r \end{cases}</math>를 이용하면', 76 => '', 77 => '<math>=\sum_n c_n n^{-\sigma}[3+ 4 \cos (t \ln n) + \cos 2(t \ln n)]</math> 당연히 c<sub>n</sub>와 대괄호 안의 부분은 0 이상이기에 전체 식도 0 이상이 된다. 따라서 위의 식이 성립한다.', 78 => '', 79 => '이제 <math> \zeta(1+ it_0) = 0</math>을 만족하는 ''t<sub>0</sub>''의 존재가 있다는 가정을 한 뒤에 모순을 이끌어내자. 우선 1+''it<sub>0</sub>''에서 함수 ζ(s)가 정칙이므로 σ→1로 접근함에 따라 <math>{|\zeta (\sigma + it_0 )|}^4 \le C(\sigma -1)^4 </math>를 만족하게 하는 상수 C>0를 찾을 수 있다. 한편 σ=1에서는 ζ(s)가 1차원 극점이기에 상수 D>0에 대해서 <math>|\zeta(\sigma)|^3 \le D (\sigma -1)^{-3} </math>를 만족한다. 또한 ζ가 <math>\sigma + 2it_0</math>에서도 정칙이기에 특정한 값이 존재한다. 따라서 σ→1로 감에 따라 <math> |\zeta^3 (\sigma) \zeta^4 (\sigma + it) \zeta (\sigma + 2it)| \le CD|\zeta(\sigma + 2it)|(\sigma-1)</math>가 성립하므로 0으로 간다. 결과적으로 위의 결과와 모순되므로 <math> \zeta(1+ it_0) = 0</math>는 성립하지 않게 된다. ', 80 => '', 81 => '위의 1, 2, 3단계를 종합하면 x가 커짐에 따라 <math> \psi (x) \sim x </math>임이 증명되고, 따라서 <math> \pi (x) \sim \frac{x}{\ln x}</math>임이 증명된다.', 82 => '', 83 => '=== 여담 ===', 84 => '', 85 => 'Tom Apostol의 Analytic Number Theorey에서는 직접 체비쇼브 함수 ψ(s)에 대해 구하는 대신 적분함수 <math> \psi_1 (s)=\int_{0}^{x} \psi(u) du \sim s^2 /2 </math>임을 보여서 증명하였다. 이 경우에는 위의 페론의 정리를 쓰지 않고 적분공식 <math> \int_{c-i \cdot \infty}^{c+i \cdot \infty} \frac{x^s}{s(s+1)}ds = \begin{cases} 0 & 0<a \le 1 \\ 1-1/a & 1 \le a \end{cases}</math>과 <math>\psi_1 (x) = \sum_{n\le x} \Lambda(n) (x-n)</math>를 이용해서 <math>\psi_1 (x) = \frac{1}{2\pi i} \int_{c-i \infty}^{c+ i \infty} \frac{x^{s+1}}{s(s+1)} \left( \frac{\zeta'(s)}{\zeta(s)}\right) ds </math>인 사실, 또한 이것을 이용해서 <math>\frac{\psi_1 (x)}{x^2}- 1/2{\left(1-1/x \right)}^2 =\frac{1}{2\pi i} \int_{c-i \infty}^{c+ i \infty} \frac{x^{s-1}}{s(s+1)} \left( - \frac{\zeta'(s)}{\zeta(s)}-\frac{1}{s-1} \right)ds </math>(1)임을 증명한다. 그 다음에 σ≥1, 실수 t에 대해 <math>\zeta(\sigma+it) \neq 0</math>임을 확인한 후에 충분히 큰 실수 t에 대해서 <math> \left| \frac{\zeta'(1+it)}{\zeta(1+it)}\right| \leq M {(\ln t)}^9 </math>임을 통해서 적분(1)이 x가 커짐에 따라 수렴함을 보이면서 <math>\psi_1 (x) \sim x^2 /2 </math>임을 보일 수 있다.', 86 => '', 87 => '== Li(x)와 관계 ==', 88 => '', 89 => '로그적분 함수 <math> {\rm{Li}}(x)= \int_{2}^{\infty} \{1}{₩ln u} du</math> 에 대해서 <math> \pi(x) \sim {\rm{Li}}(x)</math>가 성립한다. ', 90 => '', 91 => '두 함수간의 오차는 대략', 92 => ':<math>\pi(x)=\operatorname{Li} (x) + O \left(x \, \exp \left( -\frac{A(\log x)^{3/5}}{(\log \log x)^{1/5}} \right) \right).</math>', 93 => '', 94 => '이 정도로 알려져 있으나 [[리만 가설]](Riemann Hypothesis)이 참이라는 전제하에서는 x>2637에 대해', 95 => '', 96 => ':<math>|\pi(x)- \operatorname{li}(x)|<\frac{\sqrt x\,\log x}{8\pi}</math>인 것이 알려져 있다. ', 97 => '', 98 => '두 함수의 크기를 비교할 경우 Li(x)>π(x)로 알려져 있고 실제로도 "거의 모든 x에 대해" 성립한다. 그러나 100% 맞지는 아닌데 영국의 수학자 리틀우드가 Li(x)<π(x)인 x가 존재함을 증명했다. <ref> [[:wikipedia:Prime Numbet Theorem]] 참조. </ref>', 99 => '', 100 => '== 초등적인 증명 ==', 101 => '', 102 => '노버트 위너 타베리안 정리(Wiener's Tauberian Theorem, [[:wikipedia:Wiener's tauberian theorem]] 참조)가 증명되면서 초등적인 증명의 단서가 열렸다. 이후에 셀베르그와 에르되시가 1949년에 소수 정리의 초등적인 증명을 발견했다.', 103 => '', 104 => '보통 "초등적 증명(elementary proof)"은 페아노 공리계(Peano Arithmetic)에서 [[1차 논리]]<ref>공식(formula)에는 한정자를 사용하지 않고 변수에만 한정자를 사용하는 수리적 논리 방법이다. </ref> 사용할 수 있는 만을 이용해서 증명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쉽게 말하면 미적분적인 요소 등을 사용하지 않고 오로지 정수 함수와 사칙연산에 기초한 방법을 이용한 것이다.', 105 => '', 106 => '자세한 증명은 [http://www.math.columbia.edu/~goldfeld/ErdosSelbergDispute.pdf 이곳]에 나와있다. 여기서는 이 증명법이 어떠한 아이디어를 이용하는지만 설명할 것이다. ', 107 => '=== 간단한 증명 과정 요약 ===', 108 => '추가예정', 109 => '', 110 => '== 참조 ==', 111 => '* [[:wikipedia:Prime Number Theorem]]', 112 => '* Elias M Stein, Rami Shakarchi, 《Complex Analysis》 2th editoin, Princeton University, 2002', 113 => '', 114 => '{{각주}}', 115 => '', 116 => '{{번역한 문서|Prime Number Theorem|726559858|일부}}' ]
편집이 토르 끝 노드를 통해 바뀌었는 지의 여부 (tor_exit_node)
0
바뀐 시점의 유닉스 시간 기록 (timestamp)
14674715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