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필터 기록

편집 필터 둘러보기 (처음 | 최근 필터의 바뀜 | 과거의 편집 검토하기 | 편집 필터 기록)
기록 12,614에 대한 자세한 정보

2016년 4월 13일 (수) 16:32: 125.178.116.238 (토론)님이 슈돌리파리스에서 "edit" 동작을 수행하여 필터 0이(가) 작동했습니다. 조치: 태그; 필터 설명: (검사)

편집에서 바뀐 내용

http://i.livescience.com/images/i/000/040/292/original/snailfish-japan-trench-2-100701-02.jpg?width=400
{{ㅊ|심해어 치고는 멀쩡하게 생겼다}}


== 개요 ==
쏨뱅이목 꼼치과의 [[어류]]로 현재까지 발견된 어류중 가장 깊은 물에서 사는 물고기다.
무려 7600m의 깊은 해구에 서식하는 [[심해어]]로, 일본에서 가장처음 발견되었고, 이후 여러 해구에서 발견 되었는데 해구마다 발견된 녀석들이 모두 종이 달랐다고 한다. 즉 종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모두 생김새가 같았다.
== 상세 ==
7600m 초심해저대의 깊은 해구에 서식하며 해구는 각각 서로 이어져있지 않아 해구마다 고유종이 살고있는데 이 물고기는 발견된 해구마다 종이 달랐음에도 불구하고 같은 생김새를 하고 있는걸로 보아 7000m 이하의 환경에서는 저런모습을 띄게 되는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물론 이보다 깊은 곳에서 어류가 발견될 가능성은 있음으로 어디까지나 추측이다.]
등지느러미와 [[비늘]]은 없고 점막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꼬리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가 붙어있다. 몸에는 근육이 없어 흐물흐물 하며 바닥쪽에서 기어다니기 때문에 느려보이나 생김새와는 달리 생각보다 민첩하다고 한다.
이 녀석들이 사는 환경의 평방 수압은 약 8000t이며 수온 또한 빙점에 가까운 수준이라서 아마도 이 녀석들이 사는 환경에서 이 녀석들을 잡아먹을 만한 크기의 동물은 없을것으로 추측된다.
[[분류:어류]]

명령 변수

변수
사용자의 편집 수 (user_editcount)
null
사용자 계정 이름 (user_name)
'125.178.116.238'
사용자 계정 만든 후 지난 시간 (user_age)
0
문서 ID (page_id)
0
문서 이름공간 (page_namespace)
0
(이름공간을 뺀) 문서 제목 (page_title)
'슈돌리파리스'
전체 문서 제목 (page_prefixedtitle)
'슈돌리파리스'
동작 (action)
'edit'
편집 요약/이유 (summary)
'이 내용은 나무위키에 해당 부분을 작성한 저자 본인이 직접 가져온것'
사소한 편집으로 표시할지의 여부 (더 이상 쓰이지 않음) (minor_edit)
false
편집 전 과거 문서의 위키텍스트 (old_wikitext)
''
편집 후 새 문서의 위키텍스트 (new_wikitext)
'http://i.livescience.com/images/i/000/040/292/original/snailfish-japan-trench-2-100701-02.jpg?width=400 {{ㅊ|심해어 치고는 멀쩡하게 생겼다}} == 개요 == 쏨뱅이목 꼼치과의 [[어류]]로 현재까지 발견된 어류중 가장 깊은 물에서 사는 물고기다. 무려 7600m의 깊은 해구에 서식하는 [[심해어]]로, 일본에서 가장처음 발견되었고, 이후 여러 해구에서 발견 되었는데 해구마다 발견된 녀석들이 모두 종이 달랐다고 한다. 즉 종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모두 생김새가 같았다. == 상세 == 7600m 초심해저대의 깊은 해구에 서식하며 해구는 각각 서로 이어져있지 않아 해구마다 고유종이 살고있는데 이 물고기는 발견된 해구마다 종이 달랐음에도 불구하고 같은 생김새를 하고 있는걸로 보아 7000m 이하의 환경에서는 저런모습을 띄게 되는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물론 이보다 깊은 곳에서 어류가 발견될 가능성은 있음으로 어디까지나 추측이다.] 등지느러미와 [[비늘]]은 없고 점막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꼬리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가 붙어있다. 몸에는 근육이 없어 흐물흐물 하며 바닥쪽에서 기어다니기 때문에 느려보이나 생김새와는 달리 생각보다 민첩하다고 한다. 이 녀석들이 사는 환경의 평방 수압은 약 8000t이며 수온 또한 빙점에 가까운 수준이라서 아마도 이 녀석들이 사는 환경에서 이 녀석들을 잡아먹을 만한 크기의 동물은 없을것으로 추측된다. [[분류:어류]]'
편집 전후의 차이 (edit_diff)
'@@ -1 +1,15 @@ +http://i.livescience.com/images/i/000/040/292/original/snailfish-japan-trench-2-100701-02.jpg?width=400 +{{ㅊ|심해어 치고는 멀쩡하게 생겼다}} +== 개요 == +쏨뱅이목 꼼치과의 [[어류]]로 현재까지 발견된 어류중 가장 깊은 물에서 사는 물고기다. + +무려 7600m의 깊은 해구에 서식하는 [[심해어]]로, 일본에서 가장처음 발견되었고, 이후 여러 해구에서 발견 되었는데 해구마다 발견된 녀석들이 모두 종이 달랐다고 한다. 즉 종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모두 생김새가 같았다. + +== 상세 == +7600m 초심해저대의 깊은 해구에 서식하며 해구는 각각 서로 이어져있지 않아 해구마다 고유종이 살고있는데 이 물고기는 발견된 해구마다 종이 달랐음에도 불구하고 같은 생김새를 하고 있는걸로 보아 7000m 이하의 환경에서는 저런모습을 띄게 되는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물론 이보다 깊은 곳에서 어류가 발견될 가능성은 있음으로 어디까지나 추측이다.] + +등지느러미와 [[비늘]]은 없고 점막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꼬리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가 붙어있다. 몸에는 근육이 없어 흐물흐물 하며 바닥쪽에서 기어다니기 때문에 느려보이나 생김새와는 달리 생각보다 민첩하다고 한다. + +이 녀석들이 사는 환경의 평방 수압은 약 8000t이며 수온 또한 빙점에 가까운 수준이라서 아마도 이 녀석들이 사는 환경에서 이 녀석들을 잡아먹을 만한 크기의 동물은 없을것으로 추측된다. +[[분류:어류]] '
새 문서 크기 (new_size)
1633
이전 문서 크기 (old_size)
0
편집에서의 문서 크기 변화 (edit_delta)
1633
편집 중 추가된 줄 (added_lines)
[ 0 => 'http://i.livescience.com/images/i/000/040/292/original/snailfish-japan-trench-2-100701-02.jpg?width=400', 1 => '{{ㅊ|심해어 치고는 멀쩡하게 생겼다}}', 2 => '== 개요 ==', 3 => '쏨뱅이목 꼼치과의 [[어류]]로 현재까지 발견된 어류중 가장 깊은 물에서 사는 물고기다.', 4 => false, 5 => '무려 7600m의 깊은 해구에 서식하는 [[심해어]]로, 일본에서 가장처음 발견되었고, 이후 여러 해구에서 발견 되었는데 해구마다 발견된 녀석들이 모두 종이 달랐다고 한다. 즉 종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모두 생김새가 같았다.', 6 => false, 7 => '== 상세 ==', 8 => '7600m 초심해저대의 깊은 해구에 서식하며 해구는 각각 서로 이어져있지 않아 해구마다 고유종이 살고있는데 이 물고기는 발견된 해구마다 종이 달랐음에도 불구하고 같은 생김새를 하고 있는걸로 보아 7000m 이하의 환경에서는 저런모습을 띄게 되는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물론 이보다 깊은 곳에서 어류가 발견될 가능성은 있음으로 어디까지나 추측이다.]', 9 => false, 10 => '등지느러미와 [[비늘]]은 없고 점막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꼬리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가 붙어있다. 몸에는 근육이 없어 흐물흐물 하며 바닥쪽에서 기어다니기 때문에 느려보이나 생김새와는 달리 생각보다 민첩하다고 한다.', 11 => false, 12 => '이 녀석들이 사는 환경의 평방 수압은 약 8000t이며 수온 또한 빙점에 가까운 수준이라서 아마도 이 녀석들이 사는 환경에서 이 녀석들을 잡아먹을 만한 크기의 동물은 없을것으로 추측된다.', 13 => '[[분류:어류]]' ]
편집이 토르 끝 노드를 통해 바뀌었는 지의 여부 (tor_exit_node)
0
바뀐 시점의 유닉스 시간 기록 (timestamp)
14605327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