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필터 기록

편집 필터 둘러보기 (처음 | 최근 필터의 바뀜 | 과거의 편집 검토하기 | 편집 필터 기록)
기록 12,352에 대한 자세한 정보

2016년 3월 29일 (화) 21:22: 58.143.39.44 (토론)님이 하츠네 미쿠 and Future Stars Project mirai에서 "edit" 동작을 수행하여 필터 0이(가) 작동했습니다. 조치: 태그; 필터 설명: (검사)

편집에서 바뀐 내용

== 개요 ==
하츠네 미쿠 and Future Stars Project mirai는 세가 AM2에서 제작한 닌텐도 3DS용 리듬 게임이다. 2012년 3월 8일에 발매되었다. 오프닝곡은 '유메유메', 엔딩곡은 '클로버♣클럽'.
수록곡의 컨셉은 '듣고 기운이 나는 노래'라고 한다. 몇가지 이유로 초기 판매량은 안좋았는데 디바 시리즈와 비교했을때 수록곡 수가 적었던 데다 당시에 [[니코니코 동화]]의 유행과는 거리가 멀었던 대부분의 수록곡들,  그리고 첫 번째 체험판인 Side-A에는 박자 맞추기 매우 어려운 '트리콜로 에어라인'을 집어 넣어서 잠재구매자들을 모조리 도망가게 만들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여아들을 노린 마케팅에 성공하여 세가 측에서는 약 20만장 이상의 누계출하량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 게임 상세 ==
프로젝트 디바 시리즈의 디바룸과 비슷한 마이룸이 있다. 세이브는 마이룸에서 이루어지며 자동으로 세이브가 된다. 처음에는 사용 가능한 마이룸이 제한되어 있지만 켜놓은 시간에 따라 고를 수 있는 마이룸이 늘어난다.
리듬 게임은 큰 원에 따라 나오는 노트를 시계방향으로 도는 화살표에 맞춰서 눌러야 하는 방식이다. 타이밍을 잘 맞춰서 누르면 화살표의 게이지가 올라가고 게이지가 가득찼을때 원 한바퀴를 끝내면 레벨이 올라가는 방식이다. 최대 레벨은 5로 0이 됬을때 실패하면 게임 오버가 된다. 후속작들과 비교했을때 노트 판정은 대단히 빡빡하지만 난이도는 프로젝트 디바 시리즈와 비교하면 낮은 편. 안그래도 쉽다고 평가되는 프로젝트 디바인데 프로젝트 미라이는 더 쉽다. 단 마트료시카와 유메유메는 대단히 어렵다.
리듬 게임에서 클리어한 곡들은 PV모드에서 감상이 가능해지며 해당 곡의 코스튬을 구입 할 수 있다. L과 R키로 설정을 할 수 있으며 L은 리듬 게임 플레이 설정, R은 캐릭터 설정이 가능하다. 원본 PV를 사용하는 곡들은 PV에서 코스튬 변경이 불가능하지만 멜랑콜릭 한정으로 AR라이브에서 복장 변경이 가능하다.
== 영상 ==
{{유튜브|YUr_QQPLj2Q}}
*PV
{{유튜브|0pY2jX6Yeb0}}
*TV CM
{{유튜브|-4dwTHnjgYQ}}
*오프닝
== 수록곡 ==
*[[나의 시간]]
*[[파인더]]
*[[거꾸로 레인보우]]
*[[트리콜로 에어라인]]
*[[동물점보기]]
*[[No Logic]]
*[[on the rocks]]
*[[망상 스케치]]
*[[악의 딸]]
*[[악의 하인]]
*[[SING&SMILE]]
*[[PIANO*GIRL]]
*[[멜랑콜릭]]
*[[하로/하와유]]
*[[LOL -lots of laugh-]]
*[[심해소녀]]
*[[너의 체온]]
*[[마트료시카]]
*[[해피 신시사이저]]
*[[유메유메]]
*[[클로버♣클럽]]
== 이야깃거리 ==
*이 게임을 홍보하기 위해 만들어진 인형탈은 그 모습이 매우 괴상하여 컬트적으로 인기를 끌게 되었고 [[미쿠다요]]라는 이름이 붙었다. 이 인형탈은 프로젝트 미라이 시리즈의 프로모션 캐릭터이자 이미지걸이 되었다.

명령 변수

변수
사용자의 편집 수 (user_editcount)
null
사용자 계정 이름 (user_name)
'58.143.39.44'
사용자 계정 만든 후 지난 시간 (user_age)
0
문서 ID (page_id)
0
문서 이름공간 (page_namespace)
0
(이름공간을 뺀) 문서 제목 (page_title)
'하츠네 미쿠 and Future Stars Project mirai'
전체 문서 제목 (page_prefixedtitle)
'하츠네 미쿠 and Future Stars Project mirai'
동작 (action)
'edit'
편집 요약/이유 (summary)
'일단 아는대로 적었습니다. 저는 이걸 해본적이 없는지라 이 게임에 대해 더 아는게 있다면 보충해주세요.'
사소한 편집으로 표시할지의 여부 (더 이상 쓰이지 않음) (minor_edit)
false
편집 전 과거 문서의 위키텍스트 (old_wikitext)
''
편집 후 새 문서의 위키텍스트 (new_wikitext)
'== 개요 == 하츠네 미쿠 and Future Stars Project mirai는 세가 AM2에서 제작한 닌텐도 3DS용 리듬 게임이다. 2012년 3월 8일에 발매되었다. 오프닝곡은 '유메유메', 엔딩곡은 '클로버♣클럽'. 수록곡의 컨셉은 '듣고 기운이 나는 노래'라고 한다. 몇가지 이유로 초기 판매량은 안좋았는데 디바 시리즈와 비교했을때 수록곡 수가 적었던 데다 당시에 [[니코니코 동화]]의 유행과는 거리가 멀었던 대부분의 수록곡들, 그리고 첫 번째 체험판인 Side-A에는 박자 맞추기 매우 어려운 '트리콜로 에어라인'을 집어 넣어서 잠재구매자들을 모조리 도망가게 만들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여아들을 노린 마케팅에 성공하여 세가 측에서는 약 20만장 이상의 누계출하량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 게임 상세 == 프로젝트 디바 시리즈의 디바룸과 비슷한 마이룸이 있다. 세이브는 마이룸에서 이루어지며 자동으로 세이브가 된다. 처음에는 사용 가능한 마이룸이 제한되어 있지만 켜놓은 시간에 따라 고를 수 있는 마이룸이 늘어난다. 리듬 게임은 큰 원에 따라 나오는 노트를 시계방향으로 도는 화살표에 맞춰서 눌러야 하는 방식이다. 타이밍을 잘 맞춰서 누르면 화살표의 게이지가 올라가고 게이지가 가득찼을때 원 한바퀴를 끝내면 레벨이 올라가는 방식이다. 최대 레벨은 5로 0이 됬을때 실패하면 게임 오버가 된다. 후속작들과 비교했을때 노트 판정은 대단히 빡빡하지만 난이도는 프로젝트 디바 시리즈와 비교하면 낮은 편. 안그래도 쉽다고 평가되는 프로젝트 디바인데 프로젝트 미라이는 더 쉽다. 단 마트료시카와 유메유메는 대단히 어렵다. 리듬 게임에서 클리어한 곡들은 PV모드에서 감상이 가능해지며 해당 곡의 코스튬을 구입 할 수 있다. L과 R키로 설정을 할 수 있으며 L은 리듬 게임 플레이 설정, R은 캐릭터 설정이 가능하다. 원본 PV를 사용하는 곡들은 PV에서 코스튬 변경이 불가능하지만 멜랑콜릭 한정으로 AR라이브에서 복장 변경이 가능하다. == 영상 == {{유튜브|YUr_QQPLj2Q}} *PV {{유튜브|0pY2jX6Yeb0}} *TV CM {{유튜브|-4dwTHnjgYQ}} *오프닝 == 수록곡 == *[[나의 시간]] *[[파인더]] *[[거꾸로 레인보우]] *[[트리콜로 에어라인]] *[[동물점보기]] *[[No Logic]] *[[on the rocks]] *[[망상 스케치]] *[[악의 딸]] *[[악의 하인]] *[[SING&SMILE]] *[[PIANO*GIRL]] *[[멜랑콜릭]] *[[하로/하와유]] *[[LOL -lots of laugh-]] *[[심해소녀]] *[[너의 체온]] *[[마트료시카]] *[[해피 신시사이저]] *[[유메유메]] *[[클로버♣클럽]] == 이야깃거리 == *이 게임을 홍보하기 위해 만들어진 인형탈은 그 모습이 매우 괴상하여 컬트적으로 인기를 끌게 되었고 [[미쿠다요]]라는 이름이 붙었다. 이 인형탈은 프로젝트 미라이 시리즈의 프로모션 캐릭터이자 이미지걸이 되었다.'
편집 전후의 차이 (edit_diff)
'@@ -1 +1,47 @@ +== 개요 == +하츠네 미쿠 and Future Stars Project mirai는 세가 AM2에서 제작한 닌텐도 3DS용 리듬 게임이다. 2012년 3월 8일에 발매되었다. 오프닝곡은 '유메유메', 엔딩곡은 '클로버♣클럽'. +수록곡의 컨셉은 '듣고 기운이 나는 노래'라고 한다. 몇가지 이유로 초기 판매량은 안좋았는데 디바 시리즈와 비교했을때 수록곡 수가 적었던 데다 당시에 [[니코니코 동화]]의 유행과는 거리가 멀었던 대부분의 수록곡들, 그리고 첫 번째 체험판인 Side-A에는 박자 맞추기 매우 어려운 '트리콜로 에어라인'을 집어 넣어서 잠재구매자들을 모조리 도망가게 만들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여아들을 노린 마케팅에 성공하여 세가 측에서는 약 20만장 이상의 누계출하량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 +== 게임 상세 == +프로젝트 디바 시리즈의 디바룸과 비슷한 마이룸이 있다. 세이브는 마이룸에서 이루어지며 자동으로 세이브가 된다. 처음에는 사용 가능한 마이룸이 제한되어 있지만 켜놓은 시간에 따라 고를 수 있는 마이룸이 늘어난다. + +리듬 게임은 큰 원에 따라 나오는 노트를 시계방향으로 도는 화살표에 맞춰서 눌러야 하는 방식이다. 타이밍을 잘 맞춰서 누르면 화살표의 게이지가 올라가고 게이지가 가득찼을때 원 한바퀴를 끝내면 레벨이 올라가는 방식이다. 최대 레벨은 5로 0이 됬을때 실패하면 게임 오버가 된다. 후속작들과 비교했을때 노트 판정은 대단히 빡빡하지만 난이도는 프로젝트 디바 시리즈와 비교하면 낮은 편. 안그래도 쉽다고 평가되는 프로젝트 디바인데 프로젝트 미라이는 더 쉽다. 단 마트료시카와 유메유메는 대단히 어렵다. + +리듬 게임에서 클리어한 곡들은 PV모드에서 감상이 가능해지며 해당 곡의 코스튬을 구입 할 수 있다. L과 R키로 설정을 할 수 있으며 L은 리듬 게임 플레이 설정, R은 캐릭터 설정이 가능하다. 원본 PV를 사용하는 곡들은 PV에서 코스튬 변경이 불가능하지만 멜랑콜릭 한정으로 AR라이브에서 복장 변경이 가능하다. + +== 영상 == +{{유튜브|YUr_QQPLj2Q}} +*PV + +{{유튜브|0pY2jX6Yeb0}} +*TV CM + +{{유튜브|-4dwTHnjgYQ}} +*오프닝 + +== 수록곡 == +*[[나의 시간]] +*[[파인더]] +*[[거꾸로 레인보우]] +*[[트리콜로 에어라인]] +*[[동물점보기]] +*[[No Logic]] +*[[on the rocks]] +*[[망상 스케치]] +*[[악의 딸]] +*[[악의 하인]] +*[[SING&SMILE]] +*[[PIANO*GIRL]] +*[[멜랑콜릭]] +*[[하로/하와유]] +*[[LOL -lots of laugh-]] +*[[심해소녀]] +*[[너의 체온]] +*[[마트료시카]] +*[[해피 신시사이저]] +*[[유메유메]] +*[[클로버♣클럽]] +== 이야깃거리 == +*이 게임을 홍보하기 위해 만들어진 인형탈은 그 모습이 매우 괴상하여 컬트적으로 인기를 끌게 되었고 [[미쿠다요]]라는 이름이 붙었다. 이 인형탈은 프로젝트 미라이 시리즈의 프로모션 캐릭터이자 이미지걸이 되었다. '
새 문서 크기 (new_size)
3163
이전 문서 크기 (old_size)
0
편집에서의 문서 크기 변화 (edit_delta)
3163
편집 중 추가된 줄 (added_lines)
[ 0 => '== 개요 ==', 1 => '하츠네 미쿠 and Future Stars Project mirai는 세가 AM2에서 제작한 닌텐도 3DS용 리듬 게임이다. 2012년 3월 8일에 발매되었다. 오프닝곡은 '유메유메', 엔딩곡은 '클로버♣클럽'.', 2 => '수록곡의 컨셉은 '듣고 기운이 나는 노래'라고 한다. 몇가지 이유로 초기 판매량은 안좋았는데 디바 시리즈와 비교했을때 수록곡 수가 적었던 데다 당시에 [[니코니코 동화]]의 유행과는 거리가 멀었던 대부분의 수록곡들, 그리고 첫 번째 체험판인 Side-A에는 박자 맞추기 매우 어려운 '트리콜로 에어라인'을 집어 넣어서 잠재구매자들을 모조리 도망가게 만들었기 때문이었다.', 3 => '하지만 여아들을 노린 마케팅에 성공하여 세가 측에서는 약 20만장 이상의 누계출하량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4 => false, 5 => '== 게임 상세 ==', 6 => '프로젝트 디바 시리즈의 디바룸과 비슷한 마이룸이 있다. 세이브는 마이룸에서 이루어지며 자동으로 세이브가 된다. 처음에는 사용 가능한 마이룸이 제한되어 있지만 켜놓은 시간에 따라 고를 수 있는 마이룸이 늘어난다.', 7 => false, 8 => '리듬 게임은 큰 원에 따라 나오는 노트를 시계방향으로 도는 화살표에 맞춰서 눌러야 하는 방식이다. 타이밍을 잘 맞춰서 누르면 화살표의 게이지가 올라가고 게이지가 가득찼을때 원 한바퀴를 끝내면 레벨이 올라가는 방식이다. 최대 레벨은 5로 0이 됬을때 실패하면 게임 오버가 된다. 후속작들과 비교했을때 노트 판정은 대단히 빡빡하지만 난이도는 프로젝트 디바 시리즈와 비교하면 낮은 편. 안그래도 쉽다고 평가되는 프로젝트 디바인데 프로젝트 미라이는 더 쉽다. 단 마트료시카와 유메유메는 대단히 어렵다.', 9 => false, 10 => '리듬 게임에서 클리어한 곡들은 PV모드에서 감상이 가능해지며 해당 곡의 코스튬을 구입 할 수 있다. L과 R키로 설정을 할 수 있으며 L은 리듬 게임 플레이 설정, R은 캐릭터 설정이 가능하다. 원본 PV를 사용하는 곡들은 PV에서 코스튬 변경이 불가능하지만 멜랑콜릭 한정으로 AR라이브에서 복장 변경이 가능하다.', 11 => false, 12 => '== 영상 ==', 13 => '{{유튜브|YUr_QQPLj2Q}}', 14 => '*PV', 15 => false, 16 => '{{유튜브|0pY2jX6Yeb0}}', 17 => '*TV CM', 18 => false, 19 => '{{유튜브|-4dwTHnjgYQ}}', 20 => '*오프닝', 21 => false, 22 => '== 수록곡 ==', 23 => '*[[나의 시간]]', 24 => '*[[파인더]]', 25 => '*[[거꾸로 레인보우]]', 26 => '*[[트리콜로 에어라인]]', 27 => '*[[동물점보기]]', 28 => '*[[No Logic]]', 29 => '*[[on the rocks]]', 30 => '*[[망상 스케치]]', 31 => '*[[악의 딸]]', 32 => '*[[악의 하인]]', 33 => '*[[SING&SMILE]]', 34 => '*[[PIANO*GIRL]]', 35 => '*[[멜랑콜릭]]', 36 => '*[[하로/하와유]]', 37 => '*[[LOL -lots of laugh-]]', 38 => '*[[심해소녀]]', 39 => '*[[너의 체온]]', 40 => '*[[마트료시카]]', 41 => '*[[해피 신시사이저]]', 42 => '*[[유메유메]]', 43 => '*[[클로버♣클럽]]', 44 => '== 이야깃거리 ==', 45 => '*이 게임을 홍보하기 위해 만들어진 인형탈은 그 모습이 매우 괴상하여 컬트적으로 인기를 끌게 되었고 [[미쿠다요]]라는 이름이 붙었다. 이 인형탈은 프로젝트 미라이 시리즈의 프로모션 캐릭터이자 이미지걸이 되었다.' ]
편집이 토르 끝 노드를 통해 바뀌었는 지의 여부 (tor_exit_node)
0
바뀐 시점의 유닉스 시간 기록 (timestamp)
1459254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