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필터 기록

편집 필터 둘러보기 (처음 | 최근 필터의 바뀜 | 과거의 편집 검토하기 | 편집 필터 기록)
기록 11,636에 대한 자세한 정보

2016년 2월 7일 (일) 15:15: GINZA (토론 | 기여)님이 영천역에서 "edit" 동작을 수행하여 필터 0이(가) 작동했습니다. 조치: 태그; 필터 설명: (검사)

편집에서 바뀐 내용

{{철도역 정보
|역명 = 영천
|배경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
|소재지 = [[경상북도]] [[영천시]] 금완로 98
|개업일 = [[1918년]] [[11월 1일]]
|종별 = 관리역
|등급 = 2급
|노선1 = [[대구선]]
|전방면1 = [[가천역|가 천]]
|전역1 = [[봉정역|봉 정]]
|전거리1 = 1.7
|노선2 = [[중앙선|중앙본선]]
|전방면2 = [[청량리역|청량리]]
|전역2 = [[북영천역|북영천]]
|전거리2 = 2.5
|후방면2 = [[경주역|경 주]]
|후역2 = [[송포역|송 포]]
|후거리2 = 5.2
|비고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


'''영천역'''(永川驛)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영천시]] [[완산동 (영천시)|완산동]]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 [[중앙선]]과 [[대구선]]의 [[철도역]]이다.
이 역의 [[급수탑]]은 [[1937년]]에 세워진 것이다. 그 보존 상태가 양호할 뿐 아니라 급수탑에 [[한국 전쟁]] 당시의 총탄 자국이 남아있어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중앙선]] [[영주역|영주]], [[안동역|안동]] 방면에서 [[대구선]]으로 직결 운행하는 여객열차는 [[북영천역]]에 정차한 뒤에, 이 역을 경유하지 않고 북영천삼각선을 따라 바로 [[대구선]]으로 진입한다.
== 연혁 ==
* [[1918년]] [[11월 1일]] : [[보통역]]으로 영업 개시<ref>조선총독부관보 휘보 경편철도운수개시인가, 1918년 11월 4일</ref>
* [[1938년]] [[7월 1일]] : 표준궤로 개량<ref>조선총독부관보 고시 제513호, 1938년 6월 24일</ref>
* [[1941년]] [[3월 1일]] : 역사 준공
* [[1971년]] [[9월 10일]] : 무연탄 화물 도착역 지정<ref>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제37호(1971년 9월 9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제43호(1975년 12월 29일)에서 무연탄 취급 승계</ref>
* [[1985년]] [[6월 1일]] : [[북영천역|북영천]], [[송포역|송포신호장]] 통합 관리
* [[1995년]] [[11월 27일]] : 현재의 역사 준공
* [[2006년]] [[5월 1일]] : 소화물 취급 중지
* [[2009년]] [[10월 31일]] : 화물취급 중지<ref>대한민국관보 국토해양부고시 제2009-1006호, 2009년 10월 20일</ref>
== 인접한 역 ==
이 역에 정차하는 열차는 대부분 [[동대구역]]을 기점으로 운행하고 있으며, 서울로 가는 열차는 [[청량리역]]까지 운행하는 [[부전역 (한국철도공사)|부전]]발 [[중앙선]]경유 [[무궁화호]]가 왕복 2회 있다.
{{인접정차역/열기}}
{{인접정차역
|노선 = [[대구선]]{{·}}[[중앙선|중앙본선]]
|전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M}}
|종별 = [[무궁화호|무궁화]]<br />[[동해선]]
|전역 = [[하양역|하양]]
|전방면 = [[동대구역|동대구]] 방면
|후역 = [[건천역|건천]]
|후방면 = [[포항역|포항]] 방면
|후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M}}
}}
{{인접정차역
|전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M}}
|종별 = [[무궁화호|무궁화]]<br />[[동해선]]
|전역 = [[하양역|하양]]
|전방면 = [[동대구역|동대구]] 방면
|후역 = [[서경주역|서경주]]
|후방면 = [[부전역 (한국철도공사)|부전]] 방면
|후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M}}
}}
{{인접정차역
|노선 = [[중앙선|중앙본선]]
|전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M}}
|종별 = [[무궁화호|무궁화]]<br />[[중앙선]]
|전역 = [[신녕역|신녕]]
|전방면 = [[청량리역|청량리]] 방면
|후역 = [[서경주역|서경주]]
|후방면 = [[부전역 (한국철도공사)|부전]] 방면
|후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M}}
}}
{{인접정차역
|전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M}}
|종별 = [[무궁화호|무궁화]]<br />[[영동선]]
|전역 = [[의성역|의성]]
|전방면 = [[정동진역|정동진]] 방면
|후역 = [[경주역|경주]]
|후방면 = [[부전역 (한국철도공사)|부전]] 방면
|후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M}}
}}
{{인접정차역/닫기}}
{{퍼온문서}}

명령 변수

변수
사용자의 편집 수 (user_editcount)
5
사용자 계정 이름 (user_name)
'GINZA'
사용자 계정 만든 후 지난 시간 (user_age)
606533
user_mobile
false
문서 ID (page_id)
0
문서 이름공간 (page_namespace)
0
(이름공간을 뺀) 문서 제목 (page_title)
'영천역'
전체 문서 제목 (page_prefixedtitle)
'영천역'
동작 (action)
'edit'
편집 요약/이유 (summary)
''
사소한 편집으로 표시할지의 여부 (더 이상 쓰이지 않음) (minor_edit)
false
편집 전 과거 문서의 위키텍스트 (old_wikitext)
''
편집 후 새 문서의 위키텍스트 (new_wikitext)
'{{철도역 정보 |역명 = 영천 |배경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 |소재지 = [[경상북도]] [[영천시]] 금완로 98 |개업일 = [[1918년]] [[11월 1일]] |종별 = 관리역 |등급 = 2급 |노선1 = [[대구선]] |전방면1 = [[가천역|가 천]] |전역1 = [[봉정역|봉 정]] |전거리1 = 1.7 |노선2 = [[중앙선|중앙본선]] |전방면2 = [[청량리역|청량리]] |전역2 = [[북영천역|북영천]] |전거리2 = 2.5 |후방면2 = [[경주역|경 주]] |후역2 = [[송포역|송 포]] |후거리2 = 5.2 |비고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 '''영천역'''(永川驛)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영천시]] [[완산동 (영천시)|완산동]]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 [[중앙선]]과 [[대구선]]의 [[철도역]]이다. 이 역의 [[급수탑]]은 [[1937년]]에 세워진 것이다. 그 보존 상태가 양호할 뿐 아니라 급수탑에 [[한국 전쟁]] 당시의 총탄 자국이 남아있어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중앙선]] [[영주역|영주]], [[안동역|안동]] 방면에서 [[대구선]]으로 직결 운행하는 여객열차는 [[북영천역]]에 정차한 뒤에, 이 역을 경유하지 않고 북영천삼각선을 따라 바로 [[대구선]]으로 진입한다. == 연혁 == * [[1918년]] [[11월 1일]] : [[보통역]]으로 영업 개시<ref>조선총독부관보 휘보 경편철도운수개시인가, 1918년 11월 4일</ref> * [[1938년]] [[7월 1일]] : 표준궤로 개량<ref>조선총독부관보 고시 제513호, 1938년 6월 24일</ref> * [[1941년]] [[3월 1일]] : 역사 준공 * [[1971년]] [[9월 10일]] : 무연탄 화물 도착역 지정<ref>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제37호(1971년 9월 9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제43호(1975년 12월 29일)에서 무연탄 취급 승계</ref> * [[1985년]] [[6월 1일]] : [[북영천역|북영천]], [[송포역|송포신호장]] 통합 관리 * [[1995년]] [[11월 27일]] : 현재의 역사 준공 * [[2006년]] [[5월 1일]] : 소화물 취급 중지 * [[2009년]] [[10월 31일]] : 화물취급 중지<ref>대한민국관보 국토해양부고시 제2009-1006호, 2009년 10월 20일</ref> == 인접한 역 == 이 역에 정차하는 열차는 대부분 [[동대구역]]을 기점으로 운행하고 있으며, 서울로 가는 열차는 [[청량리역]]까지 운행하는 [[부전역 (한국철도공사)|부전]]발 [[중앙선]]경유 [[무궁화호]]가 왕복 2회 있다. {{인접정차역/열기}} {{인접정차역 |노선 = [[대구선]]{{·}}[[중앙선|중앙본선]] |전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M}} |종별 = [[무궁화호|무궁화]]<br />[[동해선]] |전역 = [[하양역|하양]] |전방면 = [[동대구역|동대구]] 방면 |후역 = [[건천역|건천]] |후방면 = [[포항역|포항]] 방면 |후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M}} }} {{인접정차역 |전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M}} |종별 = [[무궁화호|무궁화]]<br />[[동해선]] |전역 = [[하양역|하양]] |전방면 = [[동대구역|동대구]] 방면 |후역 = [[서경주역|서경주]] |후방면 = [[부전역 (한국철도공사)|부전]] 방면 |후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M}} }} {{인접정차역 |노선 = [[중앙선|중앙본선]] |전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M}} |종별 = [[무궁화호|무궁화]]<br />[[중앙선]] |전역 = [[신녕역|신녕]] |전방면 = [[청량리역|청량리]] 방면 |후역 = [[서경주역|서경주]] |후방면 = [[부전역 (한국철도공사)|부전]] 방면 |후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M}} }} {{인접정차역 |전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M}} |종별 = [[무궁화호|무궁화]]<br />[[영동선]] |전역 = [[의성역|의성]] |전방면 = [[정동진역|정동진]] 방면 |후역 = [[경주역|경주]] |후방면 = [[부전역 (한국철도공사)|부전]] 방면 |후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M}} }} {{인접정차역/닫기}} {{퍼온문서}}'
편집 전후의 차이 (edit_diff)
'@@ -1 +1,82 @@ +{{철도역 정보 +|역명 = 영천 +|배경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 +|소재지 = [[경상북도]] [[영천시]] 금완로 98 +|개업일 = [[1918년]] [[11월 1일]] +|종별 = 관리역 +|등급 = 2급 +|노선1 = [[대구선]] +|전방면1 = [[가천역|가 천]] +|전역1 = [[봉정역|봉 정]] +|전거리1 = 1.7 +|노선2 = [[중앙선|중앙본선]] +|전방면2 = [[청량리역|청량리]] +|전역2 = [[북영천역|북영천]] +|전거리2 = 2.5 +|후방면2 = [[경주역|경 주]] +|후역2 = [[송포역|송 포]] +|후거리2 = 5.2 +|비고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 +'''영천역'''(永川驛)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영천시]] [[완산동 (영천시)|완산동]]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 [[중앙선]]과 [[대구선]]의 [[철도역]]이다. + +이 역의 [[급수탑]]은 [[1937년]]에 세워진 것이다. 그 보존 상태가 양호할 뿐 아니라 급수탑에 [[한국 전쟁]] 당시의 총탄 자국이 남아있어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 +[[중앙선]] [[영주역|영주]], [[안동역|안동]] 방면에서 [[대구선]]으로 직결 운행하는 여객열차는 [[북영천역]]에 정차한 뒤에, 이 역을 경유하지 않고 북영천삼각선을 따라 바로 [[대구선]]으로 진입한다. + +== 연혁 == +* [[1918년]] [[11월 1일]] : [[보통역]]으로 영업 개시<ref>조선총독부관보 휘보 경편철도운수개시인가, 1918년 11월 4일</ref> +* [[1938년]] [[7월 1일]] : 표준궤로 개량<ref>조선총독부관보 고시 제513호, 1938년 6월 24일</ref> +* [[1941년]] [[3월 1일]] : 역사 준공 +* [[1971년]] [[9월 10일]] : 무연탄 화물 도착역 지정<ref>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제37호(1971년 9월 9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제43호(1975년 12월 29일)에서 무연탄 취급 승계</ref> +* [[1985년]] [[6월 1일]] : [[북영천역|북영천]], [[송포역|송포신호장]] 통합 관리 +* [[1995년]] [[11월 27일]] : 현재의 역사 준공 +* [[2006년]] [[5월 1일]] : 소화물 취급 중지 +* [[2009년]] [[10월 31일]] : 화물취급 중지<ref>대한민국관보 국토해양부고시 제2009-1006호, 2009년 10월 20일</ref> + +== 인접한 역 == +이 역에 정차하는 열차는 대부분 [[동대구역]]을 기점으로 운행하고 있으며, 서울로 가는 열차는 [[청량리역]]까지 운행하는 [[부전역 (한국철도공사)|부전]]발 [[중앙선]]경유 [[무궁화호]]가 왕복 2회 있다. + +{{인접정차역/열기}} +{{인접정차역 +|노선 = [[대구선]]{{·}}[[중앙선|중앙본선]] +|전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M}} +|종별 = [[무궁화호|무궁화]]<br />[[동해선]] +|전역 = [[하양역|하양]] +|전방면 = [[동대구역|동대구]] 방면 +|후역 = [[건천역|건천]] +|후방면 = [[포항역|포항]] 방면 +|후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M}} +}} +{{인접정차역 +|전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M}} +|종별 = [[무궁화호|무궁화]]<br />[[동해선]] +|전역 = [[하양역|하양]] +|전방면 = [[동대구역|동대구]] 방면 +|후역 = [[서경주역|서경주]] +|후방면 = [[부전역 (한국철도공사)|부전]] 방면 +|후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M}} +}} +{{인접정차역 +|노선 = [[중앙선|중앙본선]] +|전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M}} +|종별 = [[무궁화호|무궁화]]<br />[[중앙선]] +|전역 = [[신녕역|신녕]] +|전방면 = [[청량리역|청량리]] 방면 +|후역 = [[서경주역|서경주]] +|후방면 = [[부전역 (한국철도공사)|부전]] 방면 +|후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M}} +}} +{{인접정차역 +|전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M}} +|종별 = [[무궁화호|무궁화]]<br />[[영동선]] +|전역 = [[의성역|의성]] +|전방면 = [[정동진역|정동진]] 방면 +|후역 = [[경주역|경주]] +|후방면 = [[부전역 (한국철도공사)|부전]] 방면 +|후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M}} +}} +{{인접정차역/닫기}} + +{{퍼온문서}} '
새 문서 크기 (new_size)
4077
편집 중 추가된 줄 (added_lines)
[ 0 => '{{철도역 정보', 1 => '|역명 = 영천', 2 => '|배경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 3 => '|소재지 = [[경상북도]] [[영천시]] 금완로 98', 4 => '|개업일 = [[1918년]] [[11월 1일]]', 5 => '|종별 = 관리역', 6 => '|등급 = 2급', 7 => '|노선1 = [[대구선]]', 8 => '|전방면1 = [[가천역|가 천]]', 9 => '|전역1 = [[봉정역|봉 정]]', 10 => '|전거리1 = 1.7', 11 => '|노선2 = [[중앙선|중앙본선]]', 12 => '|전방면2 = [[청량리역|청량리]]', 13 => '|전역2 = [[북영천역|북영천]]', 14 => '|전거리2 = 2.5', 15 => '|후방면2 = [[경주역|경 주]]', 16 => '|후역2 = [[송포역|송 포]]', 17 => '|후거리2 = 5.2', 18 => '|비고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19 => '}}', 20 => ''''영천역'''(永川驛)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영천시]] [[완산동 (영천시)|완산동]]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 [[중앙선]]과 [[대구선]]의 [[철도역]]이다.', 21 => false, 22 => '이 역의 [[급수탑]]은 [[1937년]]에 세워진 것이다. 그 보존 상태가 양호할 뿐 아니라 급수탑에 [[한국 전쟁]] 당시의 총탄 자국이 남아있어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23 => false, 24 => '[[중앙선]] [[영주역|영주]], [[안동역|안동]] 방면에서 [[대구선]]으로 직결 운행하는 여객열차는 [[북영천역]]에 정차한 뒤에, 이 역을 경유하지 않고 북영천삼각선을 따라 바로 [[대구선]]으로 진입한다.', 25 => false, 26 => '== 연혁 ==', 27 => '* [[1918년]] [[11월 1일]] : [[보통역]]으로 영업 개시<ref>조선총독부관보 휘보 경편철도운수개시인가, 1918년 11월 4일</ref>', 28 => '* [[1938년]] [[7월 1일]] : 표준궤로 개량<ref>조선총독부관보 고시 제513호, 1938년 6월 24일</ref>', 29 => '* [[1941년]] [[3월 1일]] : 역사 준공', 30 => '* [[1971년]] [[9월 10일]] : 무연탄 화물 도착역 지정<ref>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제37호(1971년 9월 9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제43호(1975년 12월 29일)에서 무연탄 취급 승계</ref>', 31 => '* [[1985년]] [[6월 1일]] : [[북영천역|북영천]], [[송포역|송포신호장]] 통합 관리', 32 => '* [[1995년]] [[11월 27일]] : 현재의 역사 준공', 33 => '* [[2006년]] [[5월 1일]] : 소화물 취급 중지', 34 => '* [[2009년]] [[10월 31일]] : 화물취급 중지<ref>대한민국관보 국토해양부고시 제2009-1006호, 2009년 10월 20일</ref>', 35 => false, 36 => '== 인접한 역 ==', 37 => '이 역에 정차하는 열차는 대부분 [[동대구역]]을 기점으로 운행하고 있으며, 서울로 가는 열차는 [[청량리역]]까지 운행하는 [[부전역 (한국철도공사)|부전]]발 [[중앙선]]경유 [[무궁화호]]가 왕복 2회 있다.', 38 => false, 39 => '{{인접정차역/열기}}', 40 => '{{인접정차역', 41 => '|노선 = [[대구선]]{{·}}[[중앙선|중앙본선]]', 42 => '|전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M}}', 43 => '|종별 = [[무궁화호|무궁화]]<br />[[동해선]]', 44 => '|전역 = [[하양역|하양]]', 45 => '|전방면 = [[동대구역|동대구]] 방면', 46 => '|후역 = [[건천역|건천]]', 47 => '|후방면 = [[포항역|포항]] 방면', 48 => '|후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M}}', 49 => '}}', 50 => '{{인접정차역', 51 => '|전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M}}', 52 => '|종별 = [[무궁화호|무궁화]]<br />[[동해선]]', 53 => '|전역 = [[하양역|하양]]', 54 => '|전방면 = [[동대구역|동대구]] 방면', 55 => '|후역 = [[서경주역|서경주]]', 56 => '|후방면 = [[부전역 (한국철도공사)|부전]] 방면', 57 => '|후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M}}', 58 => '}}', 59 => '{{인접정차역', 60 => '|노선 = [[중앙선|중앙본선]]', 61 => '|전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M}}', 62 => '|종별 = [[무궁화호|무궁화]]<br />[[중앙선]]', 63 => '|전역 = [[신녕역|신녕]]', 64 => '|전방면 = [[청량리역|청량리]] 방면', 65 => '|후역 = [[서경주역|서경주]]', 66 => '|후방면 = [[부전역 (한국철도공사)|부전]] 방면', 67 => '|후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M}}', 68 => '}}', 69 => '{{인접정차역', 70 => '|전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M}}', 71 => '|종별 = [[무궁화호|무궁화]]<br />[[영동선]]', 72 => '|전역 = [[의성역|의성]]', 73 => '|전방면 = [[정동진역|정동진]] 방면', 74 => '|후역 = [[경주역|경주]]', 75 => '|후방면 = [[부전역 (한국철도공사)|부전]] 방면', 76 => '|후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M}}', 77 => '}}', 78 => '{{인접정차역/닫기}}', 79 => false, 80 => '{{퍼온문서}}' ]
편집이 토르 끝 노드를 통해 바뀌었는 지의 여부 (tor_exit_node)
0
바뀐 시점의 유닉스 시간 기록 (timestamp)
1454825737